$\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교과의 소비자교육이 중학생의 소비자역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consumer education through Home Economics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sumer competency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0 no.2, 2018년, pp.1 - 20  

박미정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교과의 소비자교육이 중학생의 소비자역량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에 단일집단 사전·사후 유사 실험 설계를 사용하여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 1학년 7개 학급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가정교과에서 소비자교육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 대응표본 t검증, 다중회귀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신입생의 인지적 소비자역량은 100점 만점에 37.66으로 중간보다 낮았고, 실천적 소비자역량은 5점 만점에 3.26으로 중간보다 높았다. 인지적 소비자역량은 시민역량(M=39.97)이 거래역량(M=36.15)보다 높았고, 실천적 소비자역량은 거래역량(M=3.32)이 시민역량(M=3.16)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은 가정교과에서 소비자교육을 받고 난 후에, 인지적·실천적 소비자역량(거래, 시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가정과수업을 통한 소비자교육은 인지적인 측면에서는 구매의사 결정력과 소비자권리 주장력을 향상시키고, 실천적인 측면에서는 정보이해·활용력과 소비자권리 주장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가정과교육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과 생활만족도도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셋째, 중학생의 실천적 소비자역량(거래, 시민)은 가정과교육내용이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할수록, 인지적 소비자 시민역량이 높을수록, 소비자 거래 또는 시민 영역이 중요하다고 인식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성별과 생활만족도, 인지적 소비자 거래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가정과수업을 통한 소비자교육은 중학생의 인지적 소비자역량과 실천적 소비자역량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후속 연구를 위해 소비자역량 척도, 소비자역량 연구, 가정과교육의 소비자역량 강화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ntens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umer competency and to assess effectivenes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on consumer competency. One group pretest-posttest quasi experimental design was employ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Home Economic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량은 무엇인가? OECD는 DeSeCo프로젝트를 통해 역량을 직무와 관련된 것에서 벗어나 일반적인 삶의 질과 관련된 논의로 확장하였다. 즉,역량을 ‘삶의 어떤 맥락에 있어서의 복잡한 요구를 성공적으로 충족시키고 이를 통해 성공적인 개인의 삶과 사회를 이루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능력’이라 규정하고, 개인이 행복하고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고 사회에 공헌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술뿐만 아니라 태도, 감정, 가치, 동기 등의 내적 요인도 포함한다고 보았다(Kim & Choi, 2011). 이에 따라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등에서 국가 교육과정의 틀을 역량중심 학습체계로 전환하였고, UNESCO도 2015년부터 Learning Matrix 프로젝트 등을 통해 교육과정을 역량 중심으로 개편하려는 시도를 본격화하고 있다(Sung, Choi, Kim, Oh & Jin, 2015).
국내에서 청소년의 역량에 대한 개념을 구체화하고 이를 교육과정이나 자격체계에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어떻게 진행되었나? 국내에서도 청소년의 역량에 대한 개념을 구체화하고 이를 교육과정이나 자격체계에 도입하려는 시도가 진행되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07년부터 교육과정과 관련된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를 추진하였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는 2008년부터 청소년들에게 요구되는 생애핵심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측정 진단할 수 있는 지표 및 도구를 개발하였다. 교육과정개발원에서는 2013년부터 학생역량지수와 인성 역량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여 왔다(Sung et al., 2015). 교육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Ministry of Education, 2015a)에서 미래 사회를 살아갈 인재 양성을 위하여 자기관리, 지식정보처리, 창의적사고, 심미적 감성, 의사소통, 공동체 역량의 6가지 핵심역량을 제시하였다. 이는 인간으로서의 삶을 영위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측면의 문제들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교육을 통해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Hong, Lee, Choi, Kim & Lee, 2016).
청소년 역량은 무엇인가? 청소년 역량은 ‘청소년이 현재와 미래의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위하여 요구되는 핵심 행동특성으로서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에서 경험하고 충족시켜야 할 능력(지식, 기술, 태도)’이다. 특히 청소년은 아동에서 성인기로 이행하는 시기로 청소년 역량은 청소년기 현재뿐만 아니라 성인기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발달과정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포함하여야 하며, 개인의 내적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의 성장을 촉진하는 역량을 포함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e, S. Y., & Chun, H. J. (2010). Measurement & Evaluation of Consumer Competency in 2010. Policy research report of Korean Consumer Agency. 

  2. Chae et al. (2013).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1). Seoul: Samyang Media Co., Ltd. 

  3. Chae, J. H., Park, M. J., Kim, S. G., & Han, J. (2017). Introduction to home economics education (Second edition). paju: Kyomunsa. 

  4. Choi, K. S. (2015). Influence of socio-psychological factors and educational experience on adolescent consumers'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1), 67-83. 

  5. Doo, K. J., & Seo, I. J. (2009). A analysis on the college students' consumer competencies. Social Science Research, 26, 1-12. 

  6. Fair Trade Commission (2008).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consumer competence index, Press Releases(2008. 6. 2.). http://www.ftc.go.kr. 

  7. Gwon, H. S., Kim, M. S., & Kang, Y. S. (2011).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School-based Key Competencies Program for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2(1), 141-173. 

  8. Hong, S. J., Lee, M. J., Choi, Y. I., Kim, J. S., & Lee, Y. S. (2016) Explore th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compared to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ORM 2016-26-9. 

  9. Hwang, H. S., Wang, Y. J, & Kim, K. O. (2014). Comparison of Consumer Empowerment Index between Korean and Chinese Young Adult Consumer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10(4), 1-29. 

  10. Jae, M. K., & Kim, Y. O. (2002). The Effect of Consumer Education and Other Related Factors on the Consumer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Child.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3), 25-36. 

  11. Jeon, M. Y., & Oh. K. H. (2014).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BL based Education Program for Ethical Consump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2), 69-87. 

  12. Jin, E. N., Ryu, S. H., & Lee, E. Y. (2016). Schemes to Incorporate Key Competencies in Family Life Class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9(1), 97-113. 

  13. Ju, S. E., & Park, M. S. (2015). The Analysis of Core Contents in Comsumer Area from 1st to 2009 Revis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4), 37-50. 

  14. Jung, J. W. (2012). A Study on Adolescents' Ethical Consumption Education Experience and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4(3), 191-208. 

  15. Jung, M. J. & Lee, Y. S. (2007). The Adolescents' Consumer Knowledge and Consumption Behavior and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1-17. 

  16. Kang, S. D. (2006). The alternative of hope is the green economy. Environment and Life, 50, 182-196. 

  17. Kim, H., & Kim, H. J. (2016). A Study on Consumer Competency of Chinese Adults Living in Korea. The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ety, 9(2), 301-337. 

  18. Kim, J. H., & Choi, H. J. (2011). The Development of Consumer Financial Competency Measure. Financial Planning Review, 4(3), 1-36. 

  19. Kim, J. S. (2014). Analysis on the contents of school consumer education - Focusing on unit of 'adolescent's consumption life'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us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3(1), 63-84. 

  20. Kim, S. W., & Cho, H. S. (2014). Satisfaction of Consumption Life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by Life Cycle : Focus on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Consumer Competency.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45(2), 47-76. 

  21. Kim, Y. O. (2005). A Study on Consumer Education and Youth Consump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 Buk, Korea. 

  22. Lee, H. S., & Lim, J. H. (2015). SPSS 18.0 manual. Seoul: Jibhyeonjae. 

  23. Lee, J. Y., & Yu, N. S. (2015). The analyses of duplicated contents of 'Consumer Life' area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4), 121-140. 

  24. Lee, K. C. (1999). Consumer education : theory & practice. paju: Kyomunsa. 

  25. Lee, K. C., Yang, S. J., Chung, K. H., Kim, S. R., & Kwon, H. J. (2007).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consumer competence index. Research report of Fair Trade Commission. 

  26. Ministry of Education (2015a). Introduction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80 [Separate1]. 

  27. Ministry of Education (2015b).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 Information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74 [Separate 10]. 

  2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tice 2011-361 [Separate 10] 

  29. Park, S. D. (1999). Consumer Ability and Related Variables of You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30. Son, J. Y., & Lee, K. A. (2014). Consumer Empowerment Index of Korea. Policy research report of Korean Consumer Agency. 

  31. Sung, E. M., Bag, H. J., & Jin, S. H. (2014). Measuring Youth Competency Index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 IEA ICCS 2016 .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32. Sung, E. M., Choi, C. W., Kim, H. K., Oh, S. Y., & Jin, S. H. (2015).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Youth Competency Index(KYCI) and Defini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16(2), 117-144. 

  33. Yang, J. S., & Yoo, T. M. (2015). Relations of Key Competencies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3), 1-18. 

  34. Yun, M. H., & Jang, A. L. (2008). Comparative analysis of life competence among general youth and crisis youth.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5, 49-66. 

  35. Yun, M. H., & Ku, K. H. (201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Life Competency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9(3), 53-76. 

  36. Yun, M. H., Kim, J. W. (2008). The Development of the Tests and Programs Aimed at Enhancing the Life Competencies of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19(2), 173-197. 

  37. Yun, M. H., Seo, H. J., Kim, K. H., & Jo, J. E. (2015).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a Life Competency Scale for Adolescence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8, 401-4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