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가정교과와 타 교과에 제시된 소비자역량의 내용과 구성요소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 and Components of Consumer Competency Presented in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of Middle School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2 no.3, 2020년, pp.81 - 96  

윤소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정교육 전공) ,  손상희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이수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초록

본 연구는 가정교과와 타 교과에 제시된 소비자역량의 내용과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학교 소비자교육에서 청소년의 소비자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가정교과가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집필된 중학교 가정교과와 타 교과인 사회, 도덕, 기술, 국어, 수학, 미술, 체육 교과서를 대상으로 소비자역량 내용,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소비자역량 내용은 소비자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체계화된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역량 내용체계를 준거로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소비자역량의 구성요소(지식, 태도, 실천)의 비중과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와 타 교과에 제시된 소비자역량의 내용에서 재무역량 이 양적으로 매우 부족하였으며, 가정교과는 재무역량 내용을 거의 다루지 않고 있었다. 둘째, 시민역량에서 책임수용은 비중 있게 다루고 있었던 반면, 권리주장과은 소홀히 다루고 있어, 권리와 책임 사이의 균형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가정교과에서 거래역량의 '정보통신기술활용'과 시민역량의 '소비자 참여'의 내용을 소홀히 다루고 있어 보완이 필요하였다. 넷째, 사회교과가 양적으로 가장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었으나, 내용의 범위 측면에서는 가정교과가 가장 다양한 소 영역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과별 소비자역량 내용의 초점을 살펴보면, 가정교과는 개인적 차원의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고, 사회교과는 소비환경과 소비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내용이 많았다. 한편, 도덕교과는 소비생활을 성찰하고 소비생활과 관련된 도덕적 문제를 다루고 있었다. 여섯째, 소비자교육 내용은 여전히 지식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소비자역량의 구성요소인 지식, 태도, 실천이 총체적으로 연계되어 제시되지 못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home economics in consumer education in middle schools focusing on building consumer competency. To this end, the content in middle school textbooks of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written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천은 내 삶에 적용하여 실제적으로 응용 및 실행해보는 내용으로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소비자역량 구성요소의 연계성은 소비자역량의 구성요소인 소비자지식, 소비자태도, 소비자실천의 총체성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역량의 소 영역 내용요소 안에 소비자역량의 구성요소인 소비자지식, 소비자태도, 소비자실천의 3 요소가 모두 제시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 한편, 가정교과와 타 교과를 비교⋅분석한 연구(Huh, Ryu, & Han, 2007; Kim & Lee, 2005; Lee & Yu, 2015)는 사회, 도덕교과와 가정교과를 비교분석한 연구가주이다. 따라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가정교과와 전체 타 교과와의 비교를 통해 소비자역량의 내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정교과와 타 교과에 제시된 소비자역량의 내용과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청소년의 소비자역량 함양을 위한 소비자교육에 있어 가정교과의 역할을 타 교과와의 관련성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에 기초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가정교과가 학교 소비자교육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교육과정의 가정교과와 타 교과에 제시된 소비자역량의 내용을 분석하고, 지식, 태도, 실천을 포함하는 소비자역량의 구성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 소비자역량 함양을 위한 가정교과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더 나아가 교과 간 소비자교육 내용의 의미 있는 재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역량은 무슨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 소비자역량은 소비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이고, 소비자역량의 구성요소인 지식, 태도, 실천의 총체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Fair Trade Commission, 2007). 이는 변화하는 소비사회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는 영역에서 소비자역량을 강화하고, 소비생활 맥락과 관련된 지식이 태도, 신념에 연계되어 삶의 방향성에 영향을 주고 실천으로 전이되는 과정을 통해 소비자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소비자역량의 3대 구성요소가 각각 의미하는 것은? 소비자역량의 3대 구성요소는 소비자지식, 소비자태도, 소비자실천이다(Fair Trade Commission, 2007). 지식과 실천은 인지적이고 표면적인 영역이며, 태도는 잠재적이고 내재적인 영역을 의미한다(Spencer & Spencer, 1993). 즉, 소비자역량은 지식, 태도, 실천이라는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실천적 영역의 총체이다.
소비자역량의 개념은 무엇인가? 소비자역량의 개념을 살펴보면, 소비자역량은 경제시스템 내에서 생존하기 위해 개인에게 필요한 지식, 기능이고(Braun, 1979),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만족스러운 소비생활을 위해 경제적인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술로, 인지적⋅정의적⋅실천적 영역을 포괄한다(Moschis & Churchill, 1978). 또한 소비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개인의 능력, 재능으로 정의되었다(Dickinson, 198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Benn, J. (2004). Consumer education between 'consumership' and citizenship: experiences from studies of young peopl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8(2), 108-116. doi:10.1111/j.1470-6431.2003.003654.x 

  2. Braun, B. S. (1979). Consumer economic knowledge of older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Columbia, USA. 

  3. Cheon, H. J., Kim, S. W., Lee, D. I., & Lee, J. H. (2014). Creating shared values : Redefining the role of the corporation and consumer. The Korean Society of Consumer Studies, 25(3), 1-19. 

  4. Choi, J. W., Chun, Y. S., & Rha, J.-Y. (2015). A study on the expanded consumer roles in ICT environment.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11(4), 55-78. 

  5. Choi, Y. J. (2018). A delphy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prospects of financial education professionals. Social Studies Education, 57(3), 15-33. 

  6. Dickinson, V. H. (1980). Consumer education: A developmental approach. In Proceedings of the 26th Annual Conference. Columbia: American Council on Consumer Interest. 

  7. Fair Trade Commission (2007). The development of consumer competency measure and index. Sejong: Sejong: Author. 

  8. Francis, J. J., Eccles, M. P., Johnston, M., Walker, A., Grimshaw, J., Foy, R.,...Bonetti, D. (2004). Constructing questionnair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 manual for health services researchers. Centre for Health Services Research. Retrieved from http://openaccess.city.ac.uk/1735/ 

  9. Heo, S. M. (2017). Analysis of finance units in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ocusing on the changes afte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24(4), 157-176. 

  10. Huh, K. O., Ryu, S. G., & Han, S. J. (2007). An analysis of content of consum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based on the 7th curriculum.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3(1), 79-97. 

  11. Ju, S. E. (2016). An analysis of contents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focused on the units of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2), 79-93. 

  12. Ju, S. E., & Park, M. S. (2015). The analysis of core contents in consumer area from 1st to 2009 revis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4), 37-50. 

  13. Kim, J.-S. (2014). Analysis on the contents of school consumer education: Focusing on unit of 'adolescent's consumption life' in technology.home Economics (1) textbooks us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3(1), 63-84. 

  14. Kim, J. H., & Lee, Y. S. (2005). Comparison between the contents of management of resource and environment area in home economics textbook and those of other subject textbooks of middle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1), 55-68. 

  15. Kim, J. H., & Choe, H. C. (2011). The development of consumer financial competency measure. Financial Planning Review, 4(3), 1-36. 

  16. Kim, J. S. (2018). Contents and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reflected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in South Korea: focusing on consumer life related uni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7. Kim, N. E. (2018). Proposal of consumer life area curriculum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ethical consumer practic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0(4), 57-81. 

  18. Korea Consumer Agency (2010). Measurement & evaluation of consumer competency in 2010. Eumseong: Author. 

  19. Korea Consumer Agency (2014). 2014 Consumer empowerment index. Policy Research Report, 1-326. Eumseong: Author. 

  20. Korea Consumer Agency (2015).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elementary school's content standards in consumer Education. Eumseong: Author. 

  21. Korea Consumer Agency (2017). Consumer policy I past, present and future. Eumseong: Author. 

  22. Krippendorff, K. (1980). Content analysis. Beverly Hill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23. Lee, J.-H. (2011). Effects of school consumer education on adolescents cellular phone consumption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4. Lee, J. Y., & Yu, N. S. (2015). The analyses of duplicated contents of 'consumer life' area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4), 121-140. 

  25. Lee, M. H. (2013).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type of female consumer competency: Focused on marital statu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6. Lee, Y. S. (2010). An analysis on the unit of 'adolescence self-management' and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used in middle schools: focusing on how the emphasis of the 2007 curriculum revision in reflected.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2(3), 55-75. 

  27.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doi:10.1037/h0034092 

  28. Ministry of Education (2015a).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Information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74 [Separate 10]. Sejong. 

  29. Ministry of Education (2015b). Social Studie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74 [Separate 7]. Sejong. 

  30. Ministry of Education (2015c). Moral Studie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74 [Separate 6]. Sejong. 

  31. Moon, Y. H. (2013). Toward a critical approach to the study on school consumer education in schools : An analysis of secondary home economics textbook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2. Moore, R. L., & Moschis, G. P. (1980). 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structural determinants in adolescent consumer socialization.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7, 757-759. 

  33. Moschis, G. P., & Churchill Jr, G. A. (1978). Consumer socialization: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5(4), 599-609. doi:10.2307/3150629 

  34. Oh, S. J., & Bae, S. Y. (2018). 2018 Consumer empowerment index in Korea.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1-307. 

  35. Owen, S. (1976). The development of the test of consumer competenc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DeKalb, USA. 

  36. Park, H. Y. (2010). An explanatory study on the concept and measure of digital consumer compete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7. Park, J. S., & Kim, J. S. (2017). Analysis of the content connectivity of the 2009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sumption' area.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5(4), 337-349. 

  38. Park, Y. M., & Lee, H. S. (2016). The difference of adolescents' consumer socialization according to gender.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47(1), 213-243. 

  39. Park. H. J. (2003). The content analysis of consumer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under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5(1), 173-197. 

  40. Rhee, K. C. (1985). A study on consumer education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 consumer competenc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1. Rychen, D. S., & Salganik, L. H. (2003). Highlights from the OECD project definition and selection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In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I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42. Schahn, J., & Holzer, E. (1990). Studies of individual environmental concern: The role of knowledge, gender, and background variables. Environment and behavior, 22(6), 767-786. 

  43. Smith, D. C., & Park, C. W. (1992). The effects of brand extensions on market share and advertising efficienc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9(3), 296-313. 

  44. Sohn, S.-H., Kim, K., Rha, J.-Y., & Choi, S. A. (2010). Green consumption competency: A conceptual model of its framework and component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6(3), 95-119. 

  45. Song, S. Y. (2008). The direction of consumer education policy in the global age. Consumer Policy Trends, (4), 1-24. 

  46. Spencer, M. L., & Spencer, M. S.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y & Son Inc.. 

  47. Wade, R. C. (1993). Content analysis of social studies textbooks: A review of ten years of research. Theory &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21(3), 232-256. 

  48. Yoo, H. J., & Joo, S.-H. (2012). Development of consumers' perceived food safety and food safety competency measurement. Korean Society of Consumer Sudies, 23(4), 79-104. 

  49. Yoo, M.-R., & Koo, H.-G. (2018). 2015 A study on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comparison of middle school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14(3), 51-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