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생강의 단회투여독성시험과 안전성등급화
Single oral toxicity test and safety classification for Kaempferia parviflora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33 no.4, 2018년, pp.53 - 58  

한영훈 (대구가톨릭대학교 화학물질독성평가학과 & GLP 센터) ,  박영철 (대구가톨릭대학교 화학물질독성평가학과 & GLP 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Kaempferia parviflora Rhizome is black ginger indigenous to Laos and Thailand. It has been used as a folk medicine to improve blood flow and promote vitality and longevity with good health and well being. For these reasons, Kaempferia parviflora Rhizome has been focused on developing 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효능을 지닌 흑생강의 한방에서 응용 및 처방전 개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안전성에 대한 평가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흑생강의 단회경구투여독성시험을 통해 한약의 안전성등급화를 확인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강에는 어떤 효능이 있는 가? 한방에서 건강이라고 불리는 생강(Zingiber officinale Rhizome)은 소시호탕 및 곽향정기산 등의 수많은 처방전에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한약재이다. 생강의 항염증, 항산화성, 혈지질조절, 항고혈압 그리고 울혈성심질환에 대한 유효성 기전인 양성변력작용(positive inotropic effect) 등의 기전으로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요약되고 있다.1)이와 같이 생강의 약리 효능과 더불어 최근에는 태국과 라오스등에서 전통식품으로 사용되어온 흑생강(black ginger)이라고 불리는 Kaempferia parviflora Rhizome이 국내에 식품으로 등록되고 있어 한방에서 응용 가능한 새로운 약리적 효능이기대되고 있다.
당화반응은 무엇인가? 2,3) 특히 흑생강에 의한 항당화효능은 항염증 및 항대사증후군 등의 효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당화반응은 효소반응에 기인하지 않고 당 자체가 단백질을 비롯하여 지질 분자와의 공유결합을 통해 당화된 단백질이나 지질을 생성하는 반응을 의미한다. 특히 이들 당화된 최종 산물을 AGE(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이라고 하는데 강력한 염증물질로 작용하여 노화와 관련된 당뇨, 만성신부전, 동맥경화증, 알츠하이머병 등의 퇴행성질환을 진행, 악화시킨다.
현대 의학적 측면에서 생강의 효능은 어떤 기전에서 기인하는 가? Zingiber officinale Roscoe으로 불리는 생강은 한의학에서는 건위제,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치료제 및 살균제로 이용되고 있는데 현대 의학적 측면에서 생강의 핵심성분인 gingerol류, shogaol류 그리고 zingerone류의 화합물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6-19) 이러한 효능은 생강의 항산화, 항염증, 혈당강하, 인슐린 분비촉진, 항고지혈 등을 유도하는 약리기전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9-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Nicoll R, Henein MY.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A hot remedy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t J Cardiol. 2009; 131(3): 408-9. 

  2. Wutythamawech W. Encyclopedia of ThaiHerbs. Bangkok: OS Printing House. 1997; p390. 

  3. Yenjai C, Prasanphen K, Daodee S, Wongpanich V, Kittakoop P. Bioactive flavonoids from Kaempferia parviflora. Fitoterapia. 2004; 75(1): 89-92. 

  4. Akase T, Shimada T, Terabayashi S, Ikeya Y, Sanada H, Aburada M. Antiobesity effects of Kaempferia parviflora in spontaneously obese type II diabetic mice. J Nat Med. 2011; 65(1): 73-80. 

  5. Tuntiyasawasdikul S, Limpongsa E, Jaipakdee N, Sripanidkulchai B. Transdermal Permeation of Kaempferia parviflora Methoxyflavones from Isopropyl Myristate-Based Vehicles. AAPS PharmSciTech. 2014; 15(4): 947-955. 

  6. Schmidt AM, Hori O, Brett J, Yan SD, Wautier JL, Stern D. Cellular receptors for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mplications for induction of oxidant stress and cellular dysfunction in the pathogenesis of vascular lesions. Arterioscler Thromb. 1994; 14(10): 1521-1528. 

  7. Nakata A, Koike Y, Matsui H, Shimadad T, Aburada M, Yang J. Potent SIRT1 enzyme-stimulating and anti-glycation activities of polymethoxyflavonoids from Kaempferia parviflora. Nat Prod Commun. 2014; 9(9): 1291-1294. 

  8. An MJ, Park YC. Acute toxicity test and safety classification for Termitomyces albuminosus containing pharmacologically similar ingredient of Aconitum koreanum. Kor. J. Herbol. 2017; 32(4): 33-38. 

  9. Travis CC, White RK. Interspecies Scaling of Toxicity Data. Risk Analysis. 1988; 8: 119-125. 

  10. Watanabe K, Bois FY, Zeise L. Interspecies Extrapolation: A Reexamination of Acute Toxicity Data. Risk Analysis. 1992; 12: 301-310. 

  11. Vit PJ. Approximate lethal dose versus median lethal dose in acute toxicity testing of pharmaceuticals. A retrospective study. Arch Toxicol. 1989; 63(4): 343-344. 

  12. Park YC, Lee SD. Evidence-based approach for herbal medicine-safety classification: Human equivalent dose-based the margin of safety.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3; 17(3): 1-12. 

  13. Park YC, Lee SD. Introduction of evidence-based practical medicine through safety classification for herbal medicine(1).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2014; 35(1): 114-123. 

  14. Park YC, Lee SD. Safety classification for frequently used herbal medicines inducing toxic metabolites.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2015; 19(2): 123-133. 

  15. Park YC, Lee SD. Toxicity and safety classification of 4 animal medicines-Focusing on venoms from bee, snake, blister beetle and scolopendrid-.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6; 20(1): 125-144. 

  16. Mathew AG, Krishnamurthy N, Nambudiri ES, Lewis YS. Oil of ginger. Flavour Ind. 1973; 4(5): 226-232. 

  17. Seo EY. Effects of (6)-gingerol, ginger component on adipocyte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in 3T3-L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2015; 48(4): 327-334. 

  18. Huang CN, Horng JS, Yin MC. Antioxidative and antiglycative effects of six organosulfur compounds in low-density lipoprotein and plasma. J Agric Food Chem. 2004; 5: 3674-3678. 

  19. Katiyar SK, Agarwal R, Mukhtar H. Inhibition of turnor promotion in SENCAR mouse skin by ethanol extract of Zingiber officinale rhizome. Cancer Res. 1996; 56: 1023-1030. 

  20. Kang JH, Ahn BW, Lee DH, Byun HS, Kim SB, Park YH. Inhibitory effects of ginger and garlic extracts on the DNA dam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1988; 20(3): 287-292. 

  21. Shin JH, Lee SJ, Sung NJ. Effects of Zingiber mioga, Zingiber mioga root and Zingiber officinale on the lipid concentration in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2; 31(4): 679-684. 

  22. Young HY, Luo YL, Cheng HY, Hsieh WC, Liao JC, Peng WH.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ves of [6]-gingerol. J Ethnopharmacol. 2005; 96: 207-210. 

  23. Shanmugam KR, Ramakrishna CH, Mallikarjuna K, Sathyavelu R. Protective effect of ginger in alcohol-induced renal damage and antioxidant enzymes in male albino rats. Ind J Exp Biol. 2010; 4: 143-149. 

  24. Woltjer RL, Maezawa I, Ou JJ, Montine KS, Montine TJ.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 precursor alters intracellular amyloid-beta/A beta PP carboxyterminal fragment aggregation and cytotoxicity. J Alzheimers Dis. 2003; 5(6): 467-4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