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만관련 불가항력적 의료사고 보상제도에 있어 분담금부과에 관한 연구 -헌법재판소 2018. 4. 26. 선고 2015헌가13 사건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posing Contribution in the Compensation for Uncontrollable Medical Malpractice during Delivery 원문보기

의료법학, v.19 no.2, 2018년, pp.139 - 171  

범경철 (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록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이하 '의료분쟁조정법'이라 한다)에서는 보건의료인이 충분한 주의의무를 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분만 중 불가항력적으로 발생한 의료사고에 대하여 국가가 예산의 범위 안에서 그 피해자에게 보상하도록 하고 있다(의료분쟁조정법 제46조). 지금까지 의료사고 피해자가 소송을 통해서만 피해회복을 기대할 수 있었던 것에 비한다면 획기적인 법률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의료사고보상사업에 드는 비용의 100분의 30은 보건의료기관개설자 중 분만 실적이 있는 자가 부담하고 있는 바(의료분쟁조정법 시행령 제21조), 이 분담금 부과 조항이 분만 과정에서의 산모·신생아 사망 등의 사고가 의사의 과실이 없이 불가항력적으로 발생했음에도, 의사들에게 책임을 묻는 것은 아닌지 문제가 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헌법재판소에서 분담금 부과와 관련한 의료분쟁조정법법 제46조 제3항 중 '보건의료기관개설자의 범위' 및 '보상재원의 분담비율' 부분에 대하여 합헌 결정을 내린 바 있다(헌법재판소 2018. 4. 26. 선고 2015헌가13 결정, 이하 '이 사건 결정'이라 한다). 이 사건 결정에서는 법률유보원칙 및 포괄위임입법금지원칙에 의하여만 판단하였으나, 본고에서는 실질적인 판단도 가미하였다. 이 사건 분담금운 과잉금지원칙에 비추어 보더라도 보건의료기관개설자들의 재산권을 침해하지 않는 점을 논증하였다. 불가항력 의료보상제도의 분담금 부과가 민사책임의 중요 원칙인 과실책임원칙에 거스르는 측면이 존재한다. 그러나 의료사고보상사업은 의료사고 피해자를 위한 국가정책으로 합리성이 있으며, 동시에 의료분쟁의 조기종결 효과로 의료계 역시 이익을 얻는 측면이 분명 존재한다. 분담금의 납부를 통한 보상재원의 확충은 이러한 의료사고보상제도를 빠르게 정착시킴으로서 분만과정에서 발생한 의료사고 피해자의 고통과 오해를 경감시키고 의료인의 안정적 진료환경 구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ct on Remedies for Injuries from Medical Malpractice and Mediation of Medical Disputes」(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ct on Mediation of Medical Disputes') provides that the state should compensate the victims of medical accidents occurred irresistibly in childbirth despit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에서는 이 사건 결정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 후, 첫째, 위 분담금 부과의 근거 법령조항들이 법률유보원칙 및 포괄위임입법금지 원칙에 위반되는지 여부 둘째, 위 분담금 부과가 비례의 원칙에 반하여 청구인들의 기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를 검토함으로써, 이 사건 결정이 타당한지 고찰해보도록 하겠다.
  • 따라서, 기본권을 제한하는 내용의 본질적 사항은 법률에 근거해야 하며(법률유보원칙), 위와 같은 본질적인 사항을 시행령 등에 포괄적으로 위임하여서는 안 된다(포괄위임금지원칙). 이 사건 헌법재판소 결정에서는 법률유보원칙과 포괄위임금지원칙에 관하여만 판단하였으나, 본고에서는 이 사건 법률조항들이 보건의료기관 개설자들의 기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 이러한 의료분쟁조정법의 입법목적 및 산부인과 의료의 특수성에 비추어, 본고에서 살펴보는 보상제도는첫째, 분만 중 무과실에 의한 의료사고로 인하여 보건의료인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을 가지지 못하는 환자 등에게 국가가 사회보장적 차원에서 그 피해액의 일부를 보상하고자 하는 것이며 8) 둘째, 조정을 통한 신속한 사건해결을 도모함으로써 산부인과 의료에 있어 안정적인 진료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할 수 있다.9)
  • 포괄위임입법금지와 관련하여 이 사건 법률조항의 ‘분만사고’의 해석이 문제될 수 있으나,19) 본고에서는 분담금 부과처분을 받는 ‘보건의료기관개설자’ 에 한정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그러나 이 사건 보상제도는 처음 도입되는 단계에 있으므로 필요한 분담금이 어느 정도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어야 하는지를 제도 운영 이전에 입법단계에서 예측하기 어렵다.21) 보상에 필요한 전체적인 재원의 액수는 보상제도를 실제로 운영하는 과정을 통해서 추산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국가와 보건의료 기관개설자 사이의 분담비율의 산정기준 혹은 분담비율의 상한을 법률에서 정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도 문제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의 제 46조 1항의 내용은? 7. 법률 제10566호로 제정된 것, 이하 ‘의료분쟁조정법’이라 한다) 제46조 제1항에서는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이하 ‘조정중재원’이라 한다)이 불가항력적으로 발생한 의료사고 피해자에 대해 보상을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의료분쟁조정법은 조정중재원의 불가항력 분만사고에 대한 보상금의 재원을 보건복지부 장관의 예산지원(의료분쟁조정법 제46조 제2항) 또는 보건의료기관개설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로부터의 분담금부과(의료분쟁조정법 제46조 제3항)를 통해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의료분쟁조정법에 대한 헌법소원 심판 청구 결과는? 의료분쟁조정법에 대하여 분만의료기관 개설자들은 위 법령들이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하였으나, 헌법재판소는 ‘개별 보건의료기관개설자가 부담하는 구체적인 분담액이 의료분쟁조정중재원장이 납부의무자인 보건의료기관개설자에게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한 방법으로 계산한 분담금을 부과하는 때에 비로소 확정되므로, 위 법령만으로 기본권을 직접적으로 침해한다고 볼 수 없다’고 하며 기본권침해의 직접성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는 이유로 분만의료기관 개설자들의 청구를 각하한 바 있었다(헌법재판소 2014. 3.
의료분쟁조정법에 대해 분만의료기관 개설자들이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한 이유는? 의료분쟁조정법에 대하여 분만의료기관 개설자들은 위 법령들이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하였으나, 헌법재판소는 ‘개별 보건의료기관개설자가 부담하는 구체적인 분담액이 의료분쟁조정중재원장이 납부의무자인 보건의료기관개설자에게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한 방법으로 계산한 분담금을 부과하는 때에 비로소 확정되므로, 위 법령만으로 기본권을 직접적으로 침해한다고 볼 수 없다’고 하며 기본권침해의 직접성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는 이유로 분만의료기관 개설자들의 청구를 각하한 바 있었다(헌법재판소 2014.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5)

  1. 곽순헌,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제도- 저출산 시대의 안전한 분만환경 조성방안", 국회토론회 자료집(저출산 시대의 안전한 분만환경 조성방안), 대한민국 국회, 2013. 

  2. 강원희, "의료분쟁과 보험제도에 관한 고찰", 보험학회지 제37집, 한국보험학회, 1991. 

  3. 김명엽, "의료분쟁조정법상의 문제점과 개선에 관한 고찰", 법률실무연구 제1권 2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3. 

  4. 김민규, "의료사고에 대한 무과실보상제안들", 동아법학 제17권,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1994. 

  5. 김민중, "의료분쟁조정법의 기본이념과 현실", 의료법학 제14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3. 

  6. 김민중.김주경, "의료분쟁조정법을 둘러싼 쟁점과 함의", 이슈와 논점, 국회입법조사처. 2011. 

  7. 김봉철, "공법적 시각에서 본 의료분쟁조정법", 토지공법연구 제57집, 한국토지공법학회, 2012. 

  8. 김용빈, "의료과오소송에 있어 입증책임 완화에 따른 의료과실의 의미와 판단기준", 의료법학 제9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8. 

  9. 김종두, "의료분쟁 조정 및 피해구제에 관한 법률안 검토보고", 보건복지가족위원회 검토보고서, 대한민국 국회, 2009. 

  10. 김천수, "의료분쟁과 ADR", 비교사법 제32호, 비교사법학회, 2006. 

  11. 남준희, "독일의 의료분쟁과 대체적 분쟁해결방안(ADR): 독일 의료중재윈과 의료감정위원회를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10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09. 

  12. 류여해. 박영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제도 연구", 경찰학논총 제7권 1호,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2. 

  13. 민혜영.원서연.선준구.김소윤, "일본 산과 무과실의료보상제도 고찰",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7권 2호, 한국의료법학회, 2009. 

  14. 민혜영.손명세.김기경, "산부인과 의료사고배상의 합리적 배상방안- 유형별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2권 2호, 한국의료법학회, 2004. 

  15. 박인화, "의료분쟁의 합리적 해결을 위한 입법방향", 입법조사연구 제252호, 국회도서관 입법조사연구실, 1998. 

  16. 박준수, 의료분쟁의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7. 박지용, "의료분쟁조정법의 내용과 향후 과제", 변호사 제42집, 서울지방변호사회, 2012. 

  18. 박지용, "의료분쟁조정법상 의료사고 보상사업의 법정책 방향에 대한 소고- 보상요건, 절차 및 재원을 중심으로", 법학논총 제30집,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19. 박지용, "산부인과 의료과오소송에 있어 판례상 책임제한 법리- 하급심 판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법학 제55권 2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20. 박현수.김암.오수영, "의료분쟁조정법상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대한주산학회지 제24권 2호, 대한주산의학회, 2013. 

  21. 범경철, "응급의료에 있어서 의사의 미수금 대불청구권", 의료법학 제4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3. 

  22. 신은주,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분쟁조정 등에 관한 법률에 있어서 조정제도 및 향후전망",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9권 1호, 한국의료법학회, 2011. 

  23. 신은주,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론의 전개와 발전", 의료법학 제9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8. 

  24. 신정호, "일본은 산부인과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였나?: 일본의 뇌성마비 무과실 보상제도의 소개", 국회토론회 자료집(저출산 시대의 안전한 분만환경 조성방안), 대한민국 국회, 2013. 

  25. 신현호, "최근 의료민사소송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8권 2호, 한국의료법학회, 2010. 

  26. 안법영, "산부인과 진료와 의사의 주의의무- 대법원 판결례의 분석을 중심으로",의료법학 창간호, 대한의료법학회, 2000. 

  27. 안법영.백경희, "분만 의료사고에 대한 보상사업-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분쟁조정 등에 관한 법률 제46조에 관하여", 의료법학 제12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11. 

  28. 안법영.백경희, "의료사고 보상사업법상 보상 청구권에 법적 의미에 관한 일별",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9호, 한국의료법학회, 2011. 

  29. 연세대학교 의료법학윤리학연구원, "의료분쟁조정제도 실행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09. 

  30. 연세대학교 의료법학윤리학연구원,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사업의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보건복지부, 2012. 

  31. 오수영, "뇌성마비의 최신지견", 대한산부회지 제50권 9호,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32. 오수영.권자영.신정호.김암, "의료분쟁조정법 및 시행령이 산부인과 전문의의 향후 진로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부회지 제55권 7호,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33. 오수영.노정래, "분만 관련 불가항력적인 의료사고에 대한 의학적 이해: 양수색전증, 폐색전증, 태변흡인증후군과 뇌성마비에 관하여", 대한의사협회지 제56권 9호, 대한의사협회, 2013. 

  34. 윤석찬, "의료분쟁조정법의 주요 쟁점과 평가", 재산법연구 제29권 3호, 한국재산법학회, 2012. 

  35. 이동학, "자회통합을 위한 의료분쟁의 조정과 중재", 저스티스 제134권 3호, 한국법학원, 2013. 

  36. 이백휴, "의료라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상 감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과 정책연구 제11집 4호, 한국법정책학회, 2011. 

  37. 이백휴.이얼.최진우, "의료분쟁조정제도의 실효적 운영방안", 대한의료정책,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2011. 

  38. 이상국, 산재보상책임의 이론적 배경 및 보상책임의 발전에 관한 연구, 노동법 논총 제11집,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07. 

  39. 이인영, "무과실의료사고의 피해구제에 관한 법정책의 고찰", 의료법학 제4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3. 

  40. 이인영, "무과실의료사고의 피해자 구제제도를 위한 실태조사 및 인식도 조사에 관한 연구", 의료정책연구소 보고서, 대한의사협회, 2003. 

  41. 이재경, 독일 의료과오책임의 구조와 입증 책임의 전환에 관한 연구, 원광법학 제30집 4호,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42. 이호용, "불가항력 의료사고에 대한 국가보상의 공법적 검토", 의료법학 제11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0. 

  43. 전병남, "의료분쟁조정법안(약칭)의 민사법적 고찰", 의료법학 제11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0. 

  44. 전광석, "의료분쟁조정법상 의료사고보상사업의 헌법적 쟁점", 의료법학 제13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2. 

  45. 전현희, "의료분쟁조정법의 쟁점사항 검토", 대한의사협회지 제489호, 대한의사협회, 2000. 

  46. 정용엽, "의료사고피해구제법안상 무과실책임주의의 도입 문제", 의료법학 제7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06. 

  47. 정호성, "의료분쟁조정법 입법방안: 의료제도발전특별위원회 의결안을 중심으로", 의료분쟁조정법 제정에 관한 공청회 자료집, 국회보건복지위원회, 2003. 

  48. 조용균, "양수색전증", 대한산부회지 제42권 11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49. 조정호, "불법행위 책임에 관한 고찰- 과실책임과 무과실책임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13집 2권, 영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3. 

  50. 조형원,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 관련 입법의 동향", 의료법학 제9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8. 

  51. 조형원, 의료분쟁과 피해자구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52. 표희진,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체계에 대한 비교제도론적 연구- 한국, 미국, 일본, 뉴질랜드, 스웨덴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 학위논문, 2015, 

  53. 최상희, "무과실책임의 현대적 의미", 법학연구 제12권 1호,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01. 

  54. 한두희,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을 둘러싼 몇 가지 쟁점에 대한 고찰", 법조 제675호, 법조협회, 2012. 

  55. 국회사무처, 제285회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회의록(법안심의소위원회) 제2호, 2009. 

  5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불가항력의료사고 보상사업의 효율적 재원 운영방안 정책토론회 자료집", 2015. 

  57.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2015년도 의료분쟁 조정? 중재 통계연보", 2016. 

  58.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2015년도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재원 분담금 부과.징수 공고(제2015-32호)", 2015. 

  59. 보건복지부, "규제영향분석서-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제도 재원 분담 비율 재검토 기한 설정", 2016. 

  60. 의협신문,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재원 계속 내라고?", 2016. 4. 30. 

  61. 메디파나뉴스, 분만사고 급증.. 병원 40% 불가항력 분담금 미납, 2017. 7. 15. 

  62. http://www.aekno.de 독일의료중재원 홈페이지 

  63. http://www.acc.co.nz 뉴질랜드 무과실보상제도 관련 홈페이지 

  64. http://www.nica.com 미국 무과실보상제도 기관 홈페이지 

  65. http://www.sanka-hp.jcqhc.co.jp/outline/index.html 일본의료기능평가기구 홈페이지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