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 대학 대학생 핵심역량 설정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G universi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7, 2018년, pp.77 - 86  

김창규 (김천대학교 방사선학과) ,  장기덕 (김천대학교 유아교육과) ,  전열어 (김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 핵심역량을 기초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산업변화에 따른 산업인력 수요에 적합한 대학인력 양성이 가능하도록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설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절차는 핵심역량에 대한 문헌고찰과 학생, 교수, 산업체, 학부모 대상의 핵심역량의 중요도에 대한 조사 및 전문가의 타당도를 통해 대학생 핵심역량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문헌고찰을 통해 14개의 역량을 도출하였으며, 재학생, 졸업생, 교수 대상으로 중요도와 전문가 타당도를 통해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능력의 종합적 문제해결역량, 전문지식보유능력, 정보처리능력, 기술활용능력의 산업체맞춤전문역량, 배려 섬김인성, 사회봉사의 실천 나눔역량, 의사소통능력의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리더십, 외국어 능력, 글로벌 역량의 글로컬 리더십의 최종 5대 핵심역량과 세부 14개 하위 역량이 설정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에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역량을 증진시키고, 향후 역량측정도구 개발을 통해 역량증진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based on core competency in order to provide divers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to train compatible human resources according to industrial change. The research set up the cor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document research and th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에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생들에게 대학생활에서 성취해야 할 역량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균형감 있는 역량들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설정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대학생 핵심역량을 기초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대학생활에서 목표된 역량을 성취할 수 있는 교육체제를 갖출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산업체는 산업변화에 따른 산업인력 수요에 적합한 대학인력 양성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대학생 핵심역량을 기초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대학생활에서 목표된 역량을 성취할 수 있는 교육체제 마련과 산업변화에 따른 산업인력 수요에 적합한 대학인력 양성이 가능하도록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설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절차는 핵심역량에 대한 문헌고찰과 학생, 교수, 산업체, 학부모 대상의 핵심역량의 중요도에 대한 조사 및 전문가의 타당도를 통해 대학생 핵심역량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설정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대학생 핵심역량을 기초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대학생활에서 목표된 역량을 성취할 수 있는 교육체제를 갖출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산업체는 산업변화에 따른 산업인력 수요에 적합한 대학인력 양성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설정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핵심역량이란? 핵심역량은 성공적으로 특정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지식, 기술, 태도, 지적전략을 포괄하는 통합적인 능력을 의미한다[14]. 본 연구에서 대학생 핵심역량은 학생이 대학생활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성취되어야 할 주요한 역량을 의미한다.
고등교육과정에서 필요한 핵심역량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핵심역량은 지식과 창의성, 사회성, 인성의 중요성을 부각하여 인지적 역량과 비인지적 역량을 균형적으로 함양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9], 고등교육과정에서 필요한 핵심역량으로 전공분야와 함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으로 제시하였다[11,12]. 또한 지식과 정보를 기반으로 성장 가능한 잠재력, 창의적 사고와 리더십, 도덕성과 원만한 대인관계, 문제해결력과 도전정신을 갖추어야 한다[13]고 하였다.
대학은 핵심 역량을 육성하기 위해 어떠한 것들이 이루어져야 하는가? 또한, 대학이 종전과 같이 특정 전공분야의 지식이나 기술을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졸업생들이 지식과 기술의 변화 및 고용시장의 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음에 따라, 범 직종분야에서 요구되는 공통적인 핵심 역량을 제공할 것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5, 6]. 대학은 미래의 변화에 요구되는 역량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전략적이고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필요한 역량을 타당하게 규명하고, 도출된 역량을 토대로 학습지원체계 구축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 D. Cho. & J. G. KIm. (2017). The Age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hallenges and Orientations of Citizenship Education.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49(4), 219-239. 

  2. M. K. Jeong.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ore Competency of University st udents, Campus Life Adjustment and Car eer Attitude Maturity, Psychology Major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Deagu. 

  3. Seoul National University(2013). New year address 2013. http://www.snu.ac.kr/president/speeches?bmv&bbsidx116477 

  4. J. D. Seo. (2010). Five Things to Open Future Universities. University education, 163. 

  5. DEST(2002). Striving for quality: Learning, teaching and scholarship. Australia Department of Education, Science and Training. 

  6. S. T. Kim. (2009).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Key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21(2), 599-626. 

  7. p. McLagan, (1996). Great ideas revisited: Job competency models. Training & Deve, 50(1), 60-65. 

  8. M. S. Jin.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inequality of core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4(1), 105-127. 

  9.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2011). Education strategy to foster creative talent for the 21st century. Research report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R2011-01. 

  10. A. H. Lee & M. S. Choi. (2014).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n the College Students' Key Competencies and Diagnosis Tools. The Korea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20(4), 561-588. 

  11.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2002). (The)research on the national standards of life skill and quality management for learning system. Research report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R2002-19. 243-257. 

  12. E. J. Kim & M. H. Seong. (2016). Influence of Personality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on Core Competences -Focusing on Humanistic, Global, Creative Convergence, Service and Devoti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Competences.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40, 133-156. 

  13. S. A. Kwon. (2009). Admission officer's present situation and perception of admission officer system. Dep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isity. Seoul. 

  14. M. S. Jung. (2014).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Dep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Seoul. 

  15. Korea Democracy Foundation(2005). DeSeCo Project : Core Competency Definition and Selection Project Summary: OECD. 

  16. M. J. Park. (2008). A New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Competence-based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6(4), 173-197. 

  17.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2008). The Core Competency needs in the Professional World.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ORM. 2008-14. 

  18. So Gang University(2013). 2013 annual report. 

  19. S. M. Park. (2011). Analysis of Core Competencies as An Element of Vocational Ability,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vocational education, 30(3). 327-351. 

  20.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1999). Analysis of the national core curriculum on key competencies needed for the workforce. Research report o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7-199. 

  21. S. L. Na, S. M. Jang, W. S. Seo, J. M. Kim, S. Lee, G. Y. Kim & S .T. Jeong(2003). Basic skills required for industrial worker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36(4), 139-158. 

  22.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2008). A Study on the Vis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to Promote Core Competencies of Future Koreans(2).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R 2008-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