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파트너 간호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Dementia Partner Nursing Students on Dementi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7, 2018년, pp.317 - 323  

조상희 (문경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하 (문경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파트너로서 활동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정도를 파악하여 치매예방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치매파트너로서 활동을 경험한 간호학생 15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은 치매에 대한 지식수준이($9.77{\pm}2.55$점, 범위 0~15점), 치매에 대한 태도가($39.76{\pm}4.00$, 범위 0~60점)으로 나타났고, 치매 지식과 치매 태도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213, p=.001). 결론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국가 차원의 다양한 정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and program by identifying the degree of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dementia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as dementia partners. The participants were 157 nursing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매파트너 활동 경험이 있는 간호학생 2. 3. 4학년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한다
  •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일 개 대학 치매파트너 활동을 경험한 간호 학생의 치매에 대한 태도와 지식 정도를 조사하고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간호학생들은 지역 내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파트너 활동을 통하여 치매노인에 대한 이해를 높여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된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치매파트너를 경험한 간호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파악하여 미래 임상 간호현장에서 치매노인에게 간호를 제공하게 될 간호학생의 치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국가차원의 다양한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파트너로서의 활동 경험이 있는 간호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국가적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치매파트너 활동을 하는 간호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를 조사하고 이들 요인들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치매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국가 차원의 다양한 정책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는 뇌기능의 장애 때문에 만성적으로 기억·감정·언어·판단 등의 정신기능이 감퇴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질병이다. 치매는 환자 자신의 삶의 질 저하, 사망률 증가뿐만 아니라 장기간 동안 타인에 대한 의존성을 높임으로서 자신을 부양하는 사람들에게 심각한 심리적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여 부양자들의 삶마저 황폐화시키는 중증질환이다[3].
치매파트너의 역할은 무엇인가? 치매파트너는 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에서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예방과 관리를 위한 추진 정책으로, 치매환자의 존엄성과 안전한 삶을 보장하고 공공서비스에서 미치지 못하는 치매환자 가족 서비스 사각지대를 메우는 지역사회 치매 파수꾼으로서 지역사회 구성원의 치매환자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치매에 대한 이해, 치매파트너의 역할과 활동 이해, 치매극복 캠페인 활동 방법에 관한 2시간의 교육을 이수하면 지역 내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매선별검사 활동 및 치매예방운동법 및 예방수칙 교육, 기타 치매관련 봉사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6].
간호학생들이 치매 노인들에게 총체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치매에 대한 지식을 갖추는 게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학생들의 경우 임상 상황에서 치매를 가진 노인들을 만날 가능성이 높다. 치매의 증상은 대상자별로 다양하게 나타나 지식이나 정보가 부족하면 치매노인이 발생하였을 때 예기치 못한 상황에 처하게 되고 부적절한 초기대응으로 환자 및 가족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0]. 따라서 간호학생들은 이러한 치매 노인들에게 총체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치매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tatistics (2015).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Seoul : Kostat.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 H. Cho & Z. K. Ko. (2012). Current state of senile dementia and improvement of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Elderly Peopl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2), 5816-5828. DOI : 10.5762/KAIS.2012.13.12.5816 

  4. M. K .Kim & K. H. Seo. (2017). A comparative study on the national dementia policy.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 31(1), 233-260. 

  5. S. J. Go, Y. H. Jung & D. Y. Kim. (2016). The social burden and care management for people with dementia.. Sejong : KIHASTA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Dementia policy business information,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7. H. J. Lee. (2006). Care giving experience and adaptation process of the husbands who are caring for wives with Alzheimer-focusing on elderly couple household.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 (1), 45-62. 

  8. M. S. Lee & S. N. Yang. (2012). Effect of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senior citize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8), 265-273. 

  9. M. J. Park, H호 K. Moon & D. N. Oh. (2017). Effects of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dementia on social distance from senile dementia among University students. Health Nursing, 31(3), 554-566. DOI : 10.5932/JKPHN.2017.31.3.554 

  10. M. S. Lee, M. C. Kim & S. G. Kim. (2014). Study on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and physical therapists towards seniors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2(2), 21-29. DOI : 10.15268/ksim.2014.2.2.021 

  11. S. K. Das, S. Pal & M. K. Ghosal. (2012). Dementia: Indian scenario. Journal of Neurology India, 60(6), 618-624. DOI : 10.4103/0028-3886.105197 

  12. K. A. Kim. K. A. Kim & M. R Sung. (2012). A study on the level of dementia-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among care workers - focusing on the care workers who got education on dementia in Seoul dementia center,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6, 23-51. 

  13. S. H. Kim, O. H. An & D. H. Park. (2015). Nursing students and social welfar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dementia,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6(3), 111-117. DOI : 10.15207/JKCS.2015.6.3.111 

  14. B. Y. Oh. (2016). A study of knowledge and attitude, influenced factors on dementia in cybe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Welfare and Counselling Education, 5(1), 111-127. 

  15. M. S. Kwon & J. H. Lee. (2017). Analysis of knowledge, attitude and service requirements about dementia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9), 177-185. DOI : 10.5762/KAIS.2017.18.9.177 

  16. J. H. Kim. (2006). Effects of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um on attitudes toward elders with dementia and general elders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4), 645-651. 

  17. G. C. Kim & Y. H. Lee. (2017). Nurses' experiences of end of life care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2), 119-130. DOI : 10.7475/kjan.2017.29.2.119 

  18. M. J. JO et al. (2008).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Sejong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 Y. W. Lee. (2007). Annual report for Namgu dementia caring center. Incheon. 

  20. J. Y. Cho. (2016). Analysis of knowledge, attitude, and educational needs toward dementia in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2), 257-265. DOI : 10.14400/JDC.2016.14.12.257 

  21. M. R. Lee. (2016). The relationship among dementia care knowledge, attitudes toward to dementia and approach to dementia care of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2), 357-367. DOI : 10.14400/JDC.2016.14.12.357 

  22. I. S. Ko, E. K. Han & D. R. Kim (2017). Relationship among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care burden of nurses in center for dementia.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67-75. DOI : 10.15207/JKCS.2017.8.9.067 

  23. S. H.. Baik, J. S . Won & M. C. Kim. (2017). A convergence study of Korean adults'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dementia.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191-197. DOI : 10.15207/JKCS.2017.8.9.191 

  24. M. J. Cho et al. (2008).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1-243,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5. J. H. Shin, H. J. Seo, K. H. Kim, K. H. Kim & Y. J. Lee. (2015). Knowledge about dementia in South Korean nursing students: a cross-sectional survey. BMC Nursing, 14(1), 67. DOI : 10.1186/s12912-015-0116-4 

  26. Y. Kang. W. Moyle. & L. Ventturato. (2011). Korean nurses' attitudes towards older people with dementia in acute care settings. International Journal of Older People Nursing, 6(2), 143-152. DOI : 10.1111/j.1748-3743.2010.00254.x 

  27. H. Y. Kang, M. J. Chae, H. S. Seo & K. M. Yang. (2013). The Effect of dementia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9, 69-77. DOI : 10.5977/jkasne.2013.19.1.69 

  28. H. Hwang, B. K. Kim & H. R. Kim. (2013). A study ondementia-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s in adolescents.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taionNursing, 16(2), 133-140.DOI : 10.7587/kjrehn.2013.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