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손보조기 적용이 손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plints on Hand Function in Person with Traumatic Brain Injur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511 - 516  

김은주 (전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게 일반적인 형태의 짧은 엄지보조기(thumb splint)와 헬스장갑을 수정하여 만든 장갑형 보조기를 적용하여 손기능과 기능적 과제 수행에서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외상성 뇌손상 1인을 대상으로 하였고 개별실험연구 방법 중 동시중재교차 연구설계를 적용하였다. 짧은 엄지보조기와 맞춤 제작한 장갑형 보조기를 이용한 중재의 결과는 보조기를 적용하지 않은 손과 비교하였을 때 즉각적인 손기능의 향상이 있었으며 두 가지 보조기 중에서는 장갑형 보조기를 사용하였을 때 기능적 과제에서 더 유용하였다. 외상성 뇌손상 환자가 가지는 손기능 장애의 작업치료중재로써의 보조기가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개인별 특성에 맞춘 보조기 적용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유사한 대상자들에 대한 다양한 상태에서의 보조기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short thumb splint and a glove type splint which combined features of a fitness glove in order to improve hand function and performance of functional task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One subject with traumatic brain injur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적 자세의 근긴장도의 문제가 아닌 움직임 중의 근긴장도와 속도의 문제로 기능적인 손의 움직임이 어려운 문제를 가지고 있는 뇌손상 환자에게는 그 개인에게 필요한 맞춤형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 방법을 기반으로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특정한 손기능 장애에 대해 맞춤한 엄지보조기 및 헬스장갑을 수정하여 만든 장갑형 보조기를 적용하여 보조기 착용이 기능적 과제 수행을 위한 손기능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보조기들 간에는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 방법을 기반으로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특정한 손기능 장애에 대해 맞춤한 엄지보조기 및 헬스장갑을 수정하여 만든 장갑형 보조기를 적용하여 보조기 착용이 기능적 과제 수행을 위한 손기능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보조기들 간에는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 1인을 대상으로 국소적인 손기능의 장애에 대한 중재로써 보조기를 사용하여 기능적 활동의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두 가지의 보조기 중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보조기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와 두 가지 종류의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즉각적인 손기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 기존의 연구에서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게 주로 휴식형 보조기(resting splint)를 사용하여 기능적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6개월 이내의 급성기 뇌손상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기능적 자세를 제공하는 고정형 보조기를 4주간 착용하였으나 구축과 기능에 있어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고 하였고[5], 10명의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휴식형 보조기의 효과를 보고한 연구에서는 손목의 수동 관절가동범위(passive range of motion; PROM)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 임상적으로도 손가락의 PROM과 손목과 손가락의 경직과 뻣뻣함에 효과가 있었다[3].
  • 본 연구에서는 경직을 감소시키거나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이 아닌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원하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과의 차이는 이전의 연구에서는 보조기를 일정시간 적용 후 나타나는 변화를 보조기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하여 손의 변화를 보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보조기 착용한 상태에서 손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직을 감소시키거나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이 아닌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원하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과의 차이는 이전의 연구에서는 보조기를 일정시간 적용 후 나타나는 변화를 보조기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하여 손의 변화를 보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보조기 착용한 상태에서 손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갑형 보조기의 장점은 무엇인가? 장갑형 보조기가 검지의 과도한 굽힘을 제한하여 손바닥면 집기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제작된 것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이 필수적인 커피믹스 봉지 뜯기 활동과 같은 미세조작 능력이 중요한 과제를 성공할 수 있었다. 장갑형 보조기는 헬스 장갑을 수정하여 만든 관계로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하는 일반적인 보조기에 비해 손의 움직임을 덜 제한하고 편안함을 주는 장점이 있지만 검지손가락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부속품은 오히려 휴식중 자연스러운 손의 자세를 방해하고 옷이나 물건에 걸려 불편한 측면도 있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 대상자는 실험 중 세밀한 과제를 성공한 것에 대해서는 장갑형 보조기에 큰 만족감을 보였으나 일상생활에서의 손 사용을 위한 보조기는 이전부터 착용해왔던 엄지보조기를 선택하여 착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LTT로 만든 엄지보조기는 어떤 형태인가? LTT로 만든 엄지보조기는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갈퀴막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엄지손가락의 손가락뼈사이관절(interphalangeal joints; IP joint)의 사용과 손목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는 형태로 대상자에게 맞춤 제작하였다. 관절자세는 엄지 손가락의 맞섬 자세를 촉진하도록 손허리손가락관절(metacarpophalangeal joint; MP joint)을 약간 굽힘한 자세로 하였다.
기능적 과제 수행시 엄지보조기와 장갑형 보조기의 효과가 달라진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기능적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을 때는 장갑형 보조기를 사용하였을 때 7회 중 6회를 성공할 수 있었고 엄지보조기는 1회만 성공하여 장갑형 보조기가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손기능 평가의 내용에 비해 기능적 과제의 내용이 좀 더 세밀하고 정교한 과제가 제공되어 정확하게 손바닥면으로 집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려운 과제였기 때문에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갑형 보조기가 검지의 과도한 굽힘을 제한하여 손바닥면 집기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제작된 것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이 필수적인 커피믹스 봉지 뜯기 활동과 같은 미세조작 능력이 중요한 과제를 성공할 수 있었다. 장갑형 보조기는 헬스 장갑을 수정하여 만든 관계로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하는 일반적인 보조기에 비해 손의 움직임을 덜 제한하고 편안함을 주는 장점이 있지만 검지손가락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부속품은 오히려 휴식중 자연스러운 손의 자세를 방해하고 옷이나 물건에 걸려 불편한 측면도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T. R. Han & M. S. Bang. (2008). Rehabilitation Medicine 3rd. Seoul : KoonjapublishingINC 

  2. M. Y. Jung, J. R. Kim, K. C. Min & I. S. Gu. (2006). An Offer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nd Ergonomic Approach to Improve Functional Capacity of the Disabled. Disability & Employment, 16(2), 27-48. 

  3. J. Copley, K. Kuipers, J. Fleming & M. Rassafiani. (2013). Individualised resting hand splints for adults with acquired brain injury: A randomized, single blinded, single case design. NeuroRehabilitation, 32(4), 885-898. DOI : 10.3233/NRE-130913 

  4. A. Thibaut et al. (2015). Impact of soft splints on upper limb spasticity in chronic patients with disorders of consciousness: A randomized, single-blind, controlled trial. Brain Injury, 29(7-8), 830-836, DOI: 10.3109/02699052.2015.1005132 

  5. N. A. Lannin, S. A. Horsley, R. Herbert, A. McCluskey & A. Cusick. (2003). Splinting the hand in the functional position after brain impairm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4(2), 297-302. DOI : org/10.1053/apmr.2003.50031 

  6. J. Hill. (1994). The effects of casting on upper extremity motor disorders after brain injury.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8(3), 219-224. DOI : 10.5014/ajot.48.3.219 

  7. J. M. Gracies et al. (2015). Safety and efficacy of abobotulinumtoxinA for hemiparesis in adults with upper limb spasticity after stroke or traumatic brain injury: a double-blind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 Neurology, 14(10), 992-1001. DOI : org/10.1016/S1474-4422(15)00216-1 

  8. S. E. Shaw, D. M. Morris, G. Uswatte, S. McKay, J. M. Meythaler & E. Taub. (2005).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for recovery of upper-limb function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 Development, 42(6), 769-778. DOI: 10.1682/JRRD.2005.06.0094 

  9. V. Cimolin et al. (2012).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for Children With Hemiplegia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 Quantitative Study. Journal of Head Trauma Rehabilitation, 27(3), 177-187. DOI: 10.1097/HTR.0b013e3182172276 

  10. P. McKee & L. Morgan. (1998). Orthotics in Rehabilitation : Splinting the Hand and Body, Philadelphia : F. A. Davis Company. 

  11. V. Mathiowetz, G. Volland, N. Kashman & K. Weber. (1985). Adult Norms for the Box and Block Test of Manual Dexterity.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9(6), 386-391. 

  12. R. H. Jebsen, N. Taylor, R. B. Treischmann, M. J. Trotte & L. A. Howard, (1969). An objective and standardized test of hand func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50(6), 311-319. 

  13. S. H. Park & H. S. Jung. (1998). The Effects of Short Thumb Opponens Splint on Hand Function in Cerebral Palsy. Physical Therapy Korea, 5(2), 39-46. 

  14. S. G.. Chae & H. B. Kim. (2003). The Effect of Hand-Splint for 2 Ca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Therapy, 9(2), 13-23. 

  15. S. J. Shin, C. K. Ahn & K. Y. Park. (2017). A Case Study od the Application of New Hand Splint Using 3D Printing.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2), 25-29. DOI : https://doi.org/10.22156/CS4SMB.2017.7.2.02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