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과 질적 수준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 분야를 대상으로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Level of Single Subject Researches in the Stroke Patients : The Field of health care ~원문보기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누리미디어(DBpia),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국회도서관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2002년부터 2017년 까지 발간된 논문 중 뇌졸중', '편마비', '단일대상연구', '단일사례연구', '응용행동분석' 을 주요검색용어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선별과정을 거쳐 총 24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을 선별하여 연구방법과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설계 방법으로는 ABA설계가 가장 많았다. 1명이 12(50.0%)으로 가장 많았고, 3명이 8(33.3%)으로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으로는 상상훈련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종속변인은 상지기능과 편측무시가 가장 많았다. 또한 '기억력', '시각적 주의력', '연하 곤란', '시각-운동 협응', '균형능력', '일상생활활동', '부종' 등의 다양한 목표행동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모든 종속 변인에서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수준은 1개 연구를 제외한 연구들이 중간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 수행 시 갖추어야 할 항목들에 대한 분석하였다는 것에 학문적의의가 있고,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나 임상현장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미약하나마 근거중심설계를 확립하여 양질의 단일대상연구를 수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누리미디어(DBpia),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국회도서관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2002년부터 2017년 까지 발간된 논문 중 뇌졸중', '편마비', '단일대상연구', '단일사례연구', '응용행동분석' 을 주요검색용어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선별과정을 거쳐 총 24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을 선별하여 연구방법과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설계 방법으로는 ABA설계가 가장 많았다. 1명이 12(50.0%)으로 가장 많았고, 3명이 8(33.3%)으로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으로는 상상훈련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종속변인은 상지기능과 편측무시가 가장 많았다. 또한 '기억력', '시각적 주의력', '연하 곤란', '시각-운동 협응', '균형능력', '일상생활활동', '부종' 등의 다양한 목표행동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모든 종속 변인에서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수준은 1개 연구를 제외한 연구들이 중간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 수행 시 갖추어야 할 항목들에 대한 분석하였다는 것에 학문적의의가 있고,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나 임상현장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미약하나마 근거중심설계를 확립하여 양질의 단일대상연구를 수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
Objective : This study sought to characterize and determine the qualitative level of a single target study for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Center (NDSL), DBpia (DBpia), RISS (Rad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orea Research Information (KISS), and ...
Objective : This study sought to characterize and determine the qualitative level of a single target study for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Center (NDSL), DBpia (DBpia), RISS (Rad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orea Research Information (K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s original case study from 2002 to 2017. A total of 24 single target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through the screening process to analyze the quality level of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design. Results : ABA design was th most common study design method. One person was the most with 12(50%). and three were the second with 8(33.3%). Imagination was the most used as an independent lawyer. Dependent variables had the highest level of situability and one-sidedness. The study was also conducted with a variety of target behaviors, including 'memory', 'visual attention', 'dysphagia', 'visual-motor coordination', 'balance', 'activity of daily life' and 'edema' behaviors. It also showed a positive effect on all dependent variables. The Qualitative level was found to be above the intermediate level except for one study. Conclusion : It is academic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analyzes the items to be prepared for in the performance of a single target study and further studies may require the establishment of a weak but good-quality single target study for researchers conducting research in local communities and clinical sites.
Objective : This study sought to characterize and determine the qualitative level of a single target study for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Center (NDSL), DBpia (DBpia), RISS (Rad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orea Research Information (K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s original case study from 2002 to 2017. A total of 24 single target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through the screening process to analyze the quality level of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design. Results : ABA design was th most common study design method. One person was the most with 12(50%). and three were the second with 8(33.3%). Imagination was the most used as an independent lawyer. Dependent variables had the highest level of situability and one-sidedness. The study was also conducted with a variety of target behaviors, including 'memory', 'visual attention', 'dysphagia', 'visual-motor coordination', 'balance', 'activity of daily life' and 'edema' behaviors. It also showed a positive effect on all dependent variables. The Qualitative level was found to be above the intermediate level except for one study. Conclusion : It is academic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analyzes the items to be prepared for in the performance of a single target study and further studies may require the establishment of a weak but good-quality single target study for researchers conducting research in local communities and clinical sit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모든 연구방법론에서와 마찬가지로 단일대상연구 역시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충분한 이해와 지식이 선행되어야만 양질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 적용의 문헌의 특성을 파악하고 질적 기준에 따른 수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보건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과 질적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연구를 선정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 설계는 ABA가 14편(58.
본 연구는 보건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과 질적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연구를 선정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 설계는 ABA가 14편(58.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선별된 논문들의 연구 방법의 내용과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에 대한 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변인, 연구 설계, 대상자, 총회기, 연구기간, 중재시간, 장소, 종속변인, 측정도구, 결과를 분석하였다(Choi, Park, 2012).
수집된 문헌은 연구자에 의해 2주간에 걸쳐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내용의 특성에 대해 귀납적 방법과 연역적 방법을 사용하여 서술하였다. 또한 질적 수준에 대한 분석은 엑셀 201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코딩한 후 빈도수와 백분율을 계산하여 처리한 후 평가항목에 대한 내용 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를 적용한 논문을 수집하기 위해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누리 미디어(DBpia),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국회도서관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였다. 2018년 5월 16일부터 19일까지 4일간 위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활용하여 2002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16년 동안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기초선 측정 자료가 없는 연구, 개인별로 자료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연구, 질적 사례 연구의 변형, 학위논문, 보고서를 배제하는 과정을 거쳤다. 총 24편의 문헌을 선별하여 이 연구에 사용하였다.
2002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개재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중 단일대상연구를 적용한 총 24편의 문헌의 적용의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table 2)와 같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에 사용된 중재로는 24편의 연구에서 20가지의 다양한 중재방법이 사용되었다. 그중 ‘상상 훈련’이 3편 (12.
데이터처리
수집된 문헌은 연구자에 의해 2주간에 걸쳐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내용의 특성에 대해 귀납적 방법과 연역적 방법을 사용하여 서술하였다. 또한 질적 수준에 대한 분석은 엑셀 201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코딩한 후 빈도수와 백분율을 계산하여 처리한 후 평가항목에 대한 내용 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질적 수준의 평가는 Logan 등(2008)이 제시하고 Choi, Kim, Park(2012)에서 사용한 질적 평가 척도를 사용하였다. 척도는 대상자와 환경에 대한 기술, 독립변인, 종속변인, 설계, 분석의 5개 영역 14문항으로 구성되며, 각 문항은 1점씩으로 평가한다.
일상생활동작 관련 측정도구는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AMPS), ‘Motor Activity Log’(MAL)이 사용되었으며, 연하 기능 측정도구는 ‘Mann Assessment of Swallowing Ability’(MASA), ‘Dysphagia Outcome and Severity’(DOSS)가 사용되었다. 균형관련 측정도구는 ‘Berg Balance Scale’(BBS), ‘Tetrax Portable Multiple system’, 'Timed up & Go test(TUG)'가 사용되었다.
일상생활동작 관련 측정도구는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AMPS), ‘Motor Activity Log’(MAL)이 사용되었으며, 연하 기능 측정도구는 ‘Mann Assessment of Swallowing Ability’(MASA), ‘Dysphagia Outcome and Severity’(DOSS)가 사용되었다. 균형관련 측정도구는 ‘Berg Balance Scale’(BBS), ‘Tetrax Portable Multiple system’, 'Timed up & Go test(TUG)'가 사용되었다.
성능/효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 세부항목별 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대상자 환경에 대한 기술, 종속변수의 조작적정의, 설계 형태의 정확성 항목은 모든 논문에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효과에 대한 적절한 시각적 제시와 그래프를 표준적인 방법으로 제시한 연구는 23(95.
후속연구
본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 수행 시 갖추어야 할 항목들에 대한 분석하였다는 것에 학문적의의가 있고,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나 임상현장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미약하나마 근거중심 설계를 확립하여 양질의 단일대상연구를 수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
7%)의 연구에서 중재 장소에 대한 기술이 없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중재를 실시한 장소에 대한 언급을 연구 방법에 기술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측정자간 신뢰도가 없는 이유로는 이미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다수로 측정자 간 신뢰도 검증을 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향후 연구자들은 연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측정자간 신뢰도를 전체 회귀 중 20% 이상을 수집하여 측정하고, 측정 전 측정자 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단일대상연구는 질적 근거 수준이 낮은 편에 속하고, 많은 대상으로 우수한 치료효과가 입증되었을 때 해당 치료를 인간에게 적용할 수 있는 보건의료분야에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연구자는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연구결과를 논리적으로 해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지난 16년간의 국내에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방법론 중 하나인 단일대상연구의 특성과 질적 수준을 검토하고 논의함으로써 근거중심 설계를 위한 방법론의 일환으로 확립될 수 있도록 노력한 것에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라고 사료된다. 향 후 단일대상연구 설계 시 연구 결과의 방법론적 향상을 위한 측정자 간의 신뢰도 확보, 중재 블라인드 처리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연구 설계는 ABA와 중다기초선, AB설계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이 중 대부분이 중간 수준 이상의 질적 수준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가 질적 수준이 비교적 낮은 단일 대상연구의 특성과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지만, 많은 대상군에게 우수한 치료의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와 더불어 특정 대상에게 적용된 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 또한 과학적 근거로 연구 결과를 논리적으로 해석하는데 필요한 연구일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oener 등은 단일대상 연구의 특성을 10단계로 질적 근거기준을 제시하였는데 여기서 10단계는 무엇일까?
단일대상연구방법의 충실도와 질적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과 방법들이 다양하다. Hoener 등(2003)은 단일대상 연구의 특성을 10단계(분석 단위, 대상자 환경, 종속변인, 독립변인, 기초선, 실험 통계, 시각적 분석, 외적타당도, 사회적 타당도, 적절한 연구문제)로 질적 근거기준으로 제시하였고, McCormick(1992)은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11단계(개별 자료 분석, 독립변인의 조작, 중재계획과 점검, 기초선 자료 수집, 한 번에 단 하나의 독립변인 조작, 변인 측정의 반복, 측정의 구체성과 일관성, 내적타당도를 위한 통제, 중재의 유치 측정, 일반화 효과, 외적타당도)로 제시하였다(Hoener et al., 2003; McCormick, 1992; Han, Nam, 2005).
뇌졸중의 특징은?
뇌졸중은 뇌 조직의 산소와 영양물을 공급하고 있는 혈액의 흐름이 갑작스러운 허혈과 출혈에 의해 발생하며 뇌 세포의 죽음을 가져온다(Norouzi-Gheidari, Archambault & Fung, 2012). 세계적으로 매년 550만 명이 뇌졸중으로 사망하거나 생존 시 신경학적 기능의 일부분을 상실하게 되며, 환자는 장기적인 장애를 감수하며 살게 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3).
뇌졸중 생존자들에 대한 치료나 약물에 대한 현재 실정은 어떠한가?
따라서 뇌졸중의 예방과 더불어 발병 후에는 환자의 ‘인간다움의 회복’과 가정과 사회로의 복귀를 위해 적극적인 의료재활 서비스가 필요하다. 그러나 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뇌졸중의 확실한 치료나 약물은 없는 실정이며, 재활치료 역시 뇌의 재 조직화와 기능 회복 사이의 관계에 대한 특정 재활방법과 기능적 회복 사이의 의학적, 치료적 관계가 아직은 불충분한 실정이다 (Shin, 2005).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