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인들의 양극성 장애 경향성에 따른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의 차이
Variability in the Visuo-spatial Attention Ability and Emotional Perception Ability Related with Bipolar Disorder Tendency in the Normal Population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1 no.2, 2018년, pp.145 - 158  

김상엽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정재범 (고려대학교 지혜과학연구센터) ,  남기춘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 질환을 진단받지 않은 일반인들이 양극성 장애 경향성에 따라 변화하는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을 탐구하는 것이다. 양극성 장애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형 자기보고형 양극성 장애 검사(K-MDQ)를 사용하였고, 시공간 주의집중력와 정서 지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공간 주의 과제(useful field of view task)와 정서 지각 과제(emotional perception task)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는 정신 질환 혹은 기타 의학적 문제가 없는 참가자들만 참여하였고 K-MDQ 점수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뉘어졌다. 시공간 주의 과제 수행 결과, K-MDQ 점수가 높은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수행 수준이 낮았다. 이는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은 일반인은 시공간 주의집중력의 저하가 나타난 것을 의미했다. 또한 정서 지각 과제 수행 결과, K-MDQ 점수가 높은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부정적 정서 지각 편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은 일반인은 부정적 정서 지각 편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즉,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은 일반인은 정서 지각 능력이 저하되었음을 의미했다. 이러한 결과는 양극성 장애 환자가 아닌 일반인이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아지면 양극성 장애 환자에게 나타난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의 저하가 점진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함의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suo-spatial attention ability and the emotional perception ability of people across the normal range of the scores on the bipolar disorder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Mood Disorder Questionnaire (K-MDQ) was used to measure the bipolar disord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함의점은 양극성 장애 환자군이 아닌 양극성 장애 및 기타 정신 장애 비환자군의 양극성 장애 경향성에 따른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의 탐구하였다는 것이다. 양극성 장애와 관련된 기존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양극성 장애 환자들의 인지적 특성에 대해서 연구하였고,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있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양극성 장애 경향성에 따른 인지적 특성을 살펴보지는 못했다.
  • 본 연구 질문은 이러한 환자의 결과가 일반인들에게서도 나타나는가이다. 과거에 특정 심리특성의 경향성을 지닌 일반인도 환자와 유사한 인지특성을 보인다는 연구들이 보고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질문도 타당하다고 여겨진다(Kim et al.
  •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의 양극성 장애 경향성과 관련된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자기보고형 검사인 K-MDQ를 통해 일반인들의 양극성 장애 경향성을 측정하고 UFOV와 정서지각과제를 통해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을 측정하여 K-MDQ 점수에 따라 나뉜 집단들의 인지 과제 수행 결과를 비교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첫 번째 가설은 일반인들의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아질수록 시공간 주의집중력이 저하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K-MDQ 점수가 높은 집단일수록 UFOV 과제에서 측정하는 시공간 주의집중력이 저하된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다. 두 번째 가설은 일반인들의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아질수록 부정적 정서 지각 편향성이 높아져 정서 지각 능력이 저하된다는 것이다.
  • , 2017). 그렇다면 이러한 양극성 장애의 증상들도 양극성 장애의 경향성을 보이는 일반인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가? 일반인들의 인지 과제 수행 능력이 양극성 장애 경향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측정하기 위해, 본연구에서는 K-MDQ 점수에 따라 참가자를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집단은 K-MDQ 점수가 낮은 집단(0-2점), 두 번째 집단은 K-MDQ 점수가 보통인집단(3-4점), 세 번째 집단은 K-MDQ 점수가 높은 집단(5-6점)이다.

가설 설정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K-MDQ 점수가 높은 집단일수록 UFOV 과제에서 측정하는 시공간 주의집중력이 저하된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다. 두 번째 가설은 일반인들의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아질수록 부정적 정서 지각 편향성이 높아져 정서 지각 능력이 저하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K-MDQ 점수가 높은 집단일수록 정서 지각 과제에서 측정하는 부정적 정서 지각 편향성 수준이 높아져 정서 지각 능력이 저하된다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첫 번째 가설은 일반인들의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아질수록 시공간 주의집중력이 저하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K-MDQ 점수가 높은 집단일수록 UFOV 과제에서 측정하는 시공간 주의집중력이 저하된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형 자기보고형 양극성 장애 검사 점수가 높은 집단의 특징은? 또한 본 연구에는 정신 질환 혹은 기타 의학적 문제가 없는 참가자들만 참여하였고 K-MDQ 점수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뉘어졌다. 시공간 주의 과제 수행 결과, K-MDQ 점수가 높은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수행 수준이 낮았다. 이는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은 일반인은 시공간 주의집중력의 저하가 나타난 것을 의미했다. 또한 정서 지각 과제 수행 결과, K-MDQ 점수가 높은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부정적 정서 지각 편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은 일반인은 부정적 정서 지각 편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즉,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은 일반인은 정서 지각 능력이 저하되었음을 의미했다. 이러한 결과는 양극성 장애 환자가 아닌 일반인이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아지면 양극성 장애 환자에게 나타난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의 저하가 점진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함의한다.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로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정신장애진단 및 통계편람 DSM-5에 따르면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는 기분이 비정상적으로 고양되어 생기는 조증 삽화(manic episode) 증상인 제1형 양극성 장애(bipolar I disorder), 증상이 조증 삽화만큼 심하지 않고 증상이 가볍고 지속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조증 삽화(hypomanic episode) 증상인 제2형 양극성 장애(bipolar II disorder), 최소 2년 동안 다수의 경조증 기간과 우울증 기간이 있는 순환성 장애(cyclothymic disorder), 그 밖에 물질 및 약물치료로 유발된 양극성 및 관련 장애와 위에 정의된 양극성 장애 범주에 속하지 않은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양극성 및 관련 장애가 있다. 양극성 장애는 현재 유병률이 제1형 양극성 장애는 0.
양극성 장애로 인해 나타나는 대표적 인지적 장애는? 양극성 장애로 인해 나타나는 대표적인 인지적 장애는 크게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이다. 기존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양극성 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들의 대표적인 초기 증상으로 시공간 주의집중력의 저하와(Cl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Addington, J., & Addington, D. (1998). Facial affect recogni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in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Schizophrenia Research, 32, 171-181. DOI: 10.1016/S0920-9964(98)00042-5 

  2. Adolphs, R., Tranel, D., Damasio, H., & Damasio, A. (1994). Impaired recognition of emotion in facial expressions following bilateral damage to the human amygdala. Nature, 372, 669. 

  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Text Revision (DSM-V).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Washington, DC. 

  4. Austin, E. J. (2004).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task performa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6, 1855-1964. DOI: 10.1016/j.paid.2003.07.006 

  5. Ball, K. K., Beard, B. L., Roenker, D. L., Miller, R. L., & Griggs, D. S. (1988). Age and visual research: expanding the useful field of view.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A, 5, 2210-2219. 

  6. Ball, K. K., Owsley, C., Sloane, M., Roenker, D. & Bruni, J. (1993). Visual attention problems as a predictor of vehicle crashes in older drivers.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October, 34, 3110-3123. 

  7. Bozikas, V. P., Tonia, T., Fokas, K., Karavatos, A., & Kosmidis, M. H. (2006). Impaired emotion processing in remitte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91, 53-56. DOI: 10.1016/j.jad.2005.11.013 

  8. Bowden, C. L. (2005). A different depression: Clinical distinctions between bipolar and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84(2), 117-125. DOI: 10.1016/S0165-0327(03)00194-0 

  9. Cao, Q., Zang, Y., Zhu, C., Cao, X., Sun, L., Zhou, X., & Wang, Y. (2008). Altering deficit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eventrelated fMRI evidence. Brain Research, 1219, 159-168. DOI: 10.1016/j.brainres.2008.04.028 

  10. Chang, K., Adleman, N. E., Dienes, K., Simeonova, D. I., Menon, V., & Reiss, A. (2004). Anomalous Prefrontal-Subcortical Activation in Familial Pediatric BipolarDisorder: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vestiga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1(8), 781-792. DOI: 10.1001/archpsyc.61.8.781 

  11. Clark, L., Iversen, S. D., & Goodwin, G. M. (2002). Sustained attention deficit in bipolar disorder.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80, 313-319. DOI: 10.1192/bjp.180.4.313 

  12. Clark, L., & Goodwin, G. M. (2004). State- and trait-related deficits in sustained attention in bipolar disorder.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254, 61-68. DOI: 10.1007/s00406-004-0460-y 

  13. Cubillo, A., Halari, R., Giampietro, V., Taylor, E., & Rubia, K. (2011). Fronto-striatal underactivation during interference inhibition and attention allocation in grown up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persistent symptoms. Psychiatry Research: Neuroimaging, 193, 17-27. DOI: 10.1016/j.pscychresns.2010.12.014 

  14. Das, A. K., Olfson, M., Gameroff, M. J., Pilowsky, D. J., Blanco, C., Feder, A., Gross, R., Neria, Y., Lantigua, R., Shea, S., & Weissman, M. M. (2005). Screening for bipolar disorder in a primary care practice. Jama, 293(8), 956-963. DOI: 10.1001/jama.293.8.956 

  15. da Silva, J., Goncalves-Pereira, M., Xavier, M., & Mukaetova-Ladinska, E. B. (2013). Affective disorders and risk of developing dementia: Systematic review. Britisch Journal of Psychiatry, 202, 177-186. DOI: 10.1192/bjp.bp.111.101931 

  16. Derntl, B., Seidel, E. M., Kryspin-Exner, I., Hasmann, A., & Dobmeier, M. (2009). Facial emotion recognition in patients with bipolar I and bipolar II disorder.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8, 363-375. DOI:10.1348/014466509X404845 

  17. Edwards, J., Pattison, P. E., Jackson, H. J., & Wales, R. J. (2001). Facial effect and affective prosody recognition in first-episode schizophrenia. Schizophrenia Research, 48, 235-253. DOI: 10.1016/S0920-9964(00)00099-2 

  18. Edwards, J., Jackson, H. J., & Pattison, P. E. (2002). Emotion recognition via facial expression and affective prosody in schizophrenia: A methodological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2, 789-832. DOI: 10.1016/S0272-7358(02)00130-7 

  19. Ekman, P. (1992). Facial Expression and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48, 384-392. DOI: 10.1037/0003-066X.48.4.384 

  20. Ekman, P. (1992).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New Findings, New Questions. Psychological Science, 3, 34-38. 

  21. Faraone, S. V., Biederman, J., Wozniak, J., Mundy, E., Mennin, D., & O'Donnell, D. (1997a). Is comorbidity with ADHD a marker for juvenile-onset mania?.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6, 1046-1055. DOI: 10.1097/00004583-199708000-00012 

  22. Geller, B., Williams, M., Zimerman, B., Frazier, J., Beringer, L., & Warner, K. L. (1998). Prepubertal and early adolescent bipolarity differentiate from ADHD by manic symptoms, grandiose delusions, ultra-rapid or ultradian cycling.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51, 81-91. DOI: 10.1016/S0165-0327(98)00175-X 

  23. Getz, G. E., Shear, P. K., & Strakowski, S. M. (2003). Facial affect recognition deficits in bipolar disorder.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9, 623-632. DOI: 10.10170S1355617703940021 

  24. Grant, B. F., Saha, T. D., Ruan, W. J., Goldstein, R. B., Chou, S. P., Jung, J., Zhang, H., Smith, S. M., Pickering, R. P., Huang, B., & Hasin, D. S. (2016). Epidemiology of DSM-5 drug use disorder: results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III. JAMA Psychiatry, 73, 39-47. DOI: 10.1001/jamapsychiatry.2015.2132 

  25. Green, C. S., & Bavelier, D. (2003). Action video game modifies visual selective attention. Letter to Nature, 423, 534-537. DOI: :10.1038/nature01647 

  26. Harmer, C. J., Grayson, L., & Goodwin, G. M. (2002). Enhanced recognition of disgust in bipolar illness. Biological Psychiatry, 51, 298-304. DOI: 10.1016/S0006-3223(01)01249-5 

  27. Hirschfeld, R. M. A., Williams, J. B. W., Spitzer, R. L., Calabrese, J. R., Flynn, L., Keck, P. E., Lewis, L., McElroy, S. L., Post, R. M., Rapport, D. J., Russell, J. M., Sachs, G. S., & Zajecka, J. (200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reening Instrucment for Bipolar Spectrum Disorder: The Mood Disorder Questionnair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7, 1873-1875. DOI: /10.1176/appi.ajp.157.11.1873 

  28. Hirschfeld, R. M., Holzer, C., Calabrese, J. R., Weissman, M., Reed, M., Davies, M., Frye, M. A., Keck, P., McElroy, S., Lewis, L., Tierce, J., Wagner, K. D., & Hazard, E. (2003). Validity of the mood disorder questionnaire: a general population stud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0(1), 178-180. DOI: 10.1176/appi.ajp.160.1.178 

  29. Hirschfeld, R. M., Cass, A. R., Holt, D. C., & Carlson, C. A. (2005). Screening for bipolar disorder in patients treated for depression in a family medicine clinic. The Journal of the American Board of Family Practice, 18(4), 233-239. DOI: 10.3122/jabfm.18.4.233 

  30. Jon, D. I., Yoon, B. H., Jung, H. Y., Ha, K. S., Shin, Y. C., & Bahk, W. M. (2005).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Mood Disorder Questionnaire (K-MDQ).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44, 583-590. 

  31. Joormann, J., & Gotlib, I. H. (2006). Is this happiness I see? Biases in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in depression and social phobia.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5, 705. DOI: 10.1037/0021-843X.115.4.705 

  32. Kent, L., & Craddock, N. (2003).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bipolar disorder?.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73, 211-221. DOI: 10.1016/S0165-0327(02)00092-7 

  33. Kim, B., Wang, H. R., Son, J. I., Kim, C. Y., & Joo, Y. H. (2008). Bipolarity in depressive patients without histories of diagnosis of bipolar disorder, and the utility of the MDQ for detecting bipolarit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07, S109-S110. DOI: 10.1016/j.comppsych.2008.01.002 

  34. Kim, S. Y., Kang, J. W., Jung, J. B., Lee H. W., Han, D. H., Choi, M. K., & Nam, K. C. (2017). The research for relationship between self report ADHD test and computerized UFOV and VM tasks.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29(1), 81-88. DOI: 10.22172/cogbio.2017.29.1.005 

  35. Kim, W. W., Kwon, Y. J., Shim, S. H., Jeong, H. Y., Kwon, W. J., & Lee, H. Y. (2012). The Association Study between Mood Disorder Questionnaire and Bipolar Spectrum Disorder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1, 291-299. 

  36. Konarski, J. Z., McIntyre, R. S., Kennedy, S. H., Rafi-Tari, S., Soczynska, J. K., & Ketter, T. A. (2008). Volumetric neuroimaging investigations in mood disorders: Bipolar disorder versus major depressive disorder. Bipolar Disorders, 10, 1-37. DOI: 10.1111/j.1399-5618.2008.00435.x 

  37. Lembke, A., & Ketter, T. E. (2002). Impaired recognition of facial emotion in mania.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9, 302-304. DOI: 10.1176/appi.ajp.159.2.302 

  38. Leibenluft, E. (2011). Severe mood dysregulation, irritability, and the diagnostic boundaries of bipolar disorder in youth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8, 129-142. DOI: 10.1176/appi.ajp.2010.10050766 

  39. Martino, D. J., Samame, C., Ibanez, A., & Strejilevich, S. A. (2015). Neurocognitive functioning in the premorbid stage and in the first episode of bipolar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Psychiatry Research, 226, 23-30. DOI: 10.1016/j.psychres.2014.12.044 

  40. McClure, E. B., Treland, J. E., Snow, J., Schmajuk, M., Dickstein, D. P., Towbin, K. E., Charney, D. S., Pine, D. S., & Leibenluft, E. (2005). Deficits in social cognition and response flexibility in pediatric bipolar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2, 1644-1651. DOI: 10.1176/appi.ajp.162.9.1644 

  41. Merikangas, K. R., Jin, R., He, J. P., Kessler, R. C., Lee, S., Sampson, N. A., Viana, M. C., Andrade, L. H., Hu, C., Karam, E. G., Ladea, M., Medina-Mora, M. E., Ono, Y., Posada-Villa, J., Sagar, R., Wells, J. E., & Zarkov, Z. (2011).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Bipolar Spectrum Disorder in the World Mental Health Survey Initiativ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8, 241-251. DOI: 10.1001/archgenpsychiatry.2011.12 

  42. Montagne, B., Kessels, R. P. C., De Haan, E. H. F., & Perrett, D. I. (2007). The emotion recognition task: a paradigm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facial emotional expressions at different intensitie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04, 589-598. DOI: 10.2466/pms.104.2.589-598 

  43. Myers, R. S., Ball, K. K., Kalina, T. D., Roth, D. L., & Goode, K. T. (2000). Relation of useful field of view and other screening tests to on-road driving performance. Perception and Motor Skills, 91, 279-290. DOI: 10.2466/pms.2000.91.1.279 

  44. Phillips, M. L., Young, A. W., Senior, C., Brammer, M., Andrew, C., Calder, A. J., Bullmore, E. T., Perrett, D. I., Rowland, D., Williams, S. C. R., Gray, J. A., & David, A. S. (1997). A specific neural substrate for perceiving facial expressions of disgust. Nature, 389, 495-498. DOI: 10.1038/39051 

  45. Phillips, M. L., Drevets, W. C., Rauch, S. L., & Lane, R. (2003). Neurobiology of emotion perception II: Impications for major psychiatric disorders. Biological Psychiatry, 54, 515-528. DOI: 10.1016/S0006-3223(03)00171-9 

  46. Phillips, M. L., Ladouceur, C. D., & Drevets, W. C. (2008a). A neural model of voluntary and automatic emotion regulation: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pathophysiology and neurodevelopment of bipolar disorder. Molecular Psychiatry, 13, 833-857. DOI: 10.1038/mp.2008.65 

  47. Raes, F., Hermans, D., & Williams, J. M. G. (2006). Negative bias in the perception of others' facial emotional expressions in major depression: The role of depressive rumination.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4, 796-799. DOI: 10.1097/01.nmd.0000240187.80270.bb 

  48. Rich, B. A., Schmajuk, M., Perez-Edgar, K. E., Fox, N. A., Pine, D. S., & Leibenluft, E. (2007). Different Psychophysiological and behavioral responses elicited by frustration in pediatric bipolar disorder and severe mood dysregulat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4, 309-317. DOI: 10.1176/ajp.2007.164.2.309 

  49. Rubia, K., Smith, A. B., Brammer, M. J., & Taylor, E. (2007). Temporal lobe dysfunction in medicationnaive boy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during attention allocation and its relation to response variability. Biological Psychiatry, 62, 999-1006. DOI: 10.1016/j.biopsych.2007.02.024 

  50. Rubia, K., Halari, R., Smith, A. B., Mohammad, M., Scott, S., & Brammer, M. J. (2009). Shared and disorder-specific prefrontal abnormalities in boys with pure attention-deficit/hyperacitivity disorder compared to boys with pure CD during interference inhibition and attention allocatio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0, 669-678. DOI: 10.1111/j.1469-7610.2008.02022.x 

  51. Sachs, G. S., Baldassano, C. F., Truman, C. J., & Guille, C. (2000). Comorbidit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 early- and late-onset bipolar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7, 466-468. DOI: 10.1176/appi.ajp.157.3.466 

  52. Sprengelmeyer, R., Young, A. W., Calder, A. J., Karnat, A., Lange, H., H?mberg, V., Perrett, D. I., & Rowland, D. (1996). Loss of disgust Perception of faces and emotions in Huntington's disease. Brain, 119, 1647-1665. DOI: 10.1093/brain/119.5.1647 

  53. Strakowski, S. M., Adler, C. M., de Almeida, J. C. R., Altshuler, L. L., Blmberg, H. P., & Chang, K. D. (2012). The functional neuroanatomy of bipolar disorder: a consensus model. Bipolar Disorders, 16, 471-477. DOI: 10.1111/j.1399-5618.2012.01022.x 

  54. Surguladze, S. A., Young, A. W., Senior, C., Br? bion, G., Travis, M. J., & Phillips, M. L. (2004). Recognition accuracy and response bias to happy and sad facial expression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Neuropsychology, 18, 212. DOI: 10.1037/0894-4105.18.2.212 

  55. Tabares-Seisdedos, R., Balanza-Martinez, V., Sanches-Moreno, J., Martines-Aran, A., Slazar-Fraile, J., Selva-Vera, G., Rubio, C., Mata, I., Comez-Beneyto, M., & Vieta, E. (2008). Neurocognitive and clinical predictors of functional outcom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bipolar I disorder at one-year follow-up.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109, 286-299. DOI: 10.1016/j.jad.2007.12.234 

  56. Venn, H. R., Gray, J. M., Montagne, B., Murray, L. K., Burt, D. M., Frigerio, E., Perrett, D. I., & Young, A. H. (2004). Perception of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in bipolar disorder. Bipolar Disorders, 6, 286-293. DOI: 10.1111/j.1399-5618.2004.00121.x 

  57. Wang, H. R., Woo, Y. S., Ahn, H. S., Ahn, I. M., Kim, H. J., & Bahk, W. M. (2015). The validity of the mood disorder questionnaire for screening bipolar disorder: A meta-analysis. Depression and Anxiety, 32(7), 527-538. DOI: 10.1002/da.22374 

  58. West, S. A., McElroy, S. L., Strakowski, S. M., Keck, P. E., & McConville, B. (1995).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adolescent mania.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2, 271. 

  59. West, S. A., Strakowski, S. M., Sax, K. W., McElroy, S. L., Keck, P. E., & McConville, B. (1996). Phenomenology and comorbidity of adolescents hospitalized for the treatment of acute mania. Biological Psychiatry, 39, 458-460. DOI: 10.1016/0006-3223(95)00525-0 

  60. Yurgelun-Todd, D. A., Gruber, S. A., Kanayama, G., Killgore, W. D., Baird, A. A., & Young, A. D. (2000). fMRI during affect discrimination in bipolar affective disorder. Bipolar Disorders, 2, 248. DOI: 10.1034/j.1399-5618.2000.20304.x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