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공포증 수준의 증가에 따라 나타난 정서지각 편향성과 시공간 주의배분능력 저하 간의 관련성 연구
Research on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Perception Bias and Deteriorated Visuospatial Attention Allocation Ability in Increasing the Level of Social Phobia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3 no.2, 2020년, pp.35 - 50  

김상엽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정재범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남기춘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공포증 수준에 따른 정서지각 편향성의 변화와 이 변화에 기여하는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공포증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형 자기보고식 설문 검사인 사회공포증 검사(Korean version of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K-SAD)를 사용하였으며, 정서지각 편향성과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정서지각 과제(emotional perception task)와 UFOV 과제(useful field of view tas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는 118명의 연구참가자가 참여하였고 응답을 성실하게 하지 않은 연구참가자들을 제외하여 107명(남: 94명, 여: 1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참가자들은 K-SAD 점수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뉘어졌다. 연구 결과, 정서지각과제에서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은 사회공포증 수준이 높을수록 더 크게 나타났으며 UFOV 과제에서는 사회공포증 수준이 높을수록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공포증 수준의 증가에 따라 나타나는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이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에 부분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emotional perception bia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phobia and the relationship with visuospatial attention allocation ability. This study used the Korean self-report assessment test (Korean version of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K-SAD) to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사회공포증 수준을 세분화하여 나눈 뒤에 사회공포증 수준과 관련이 있는 정서지각의 편향성 및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가설은 K-SAD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 혹은 부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이 나타난다는 것과 두 번째 연구 가설은 K-SAD 점수가 높을수록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의 저하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 이렇듯 사회공포증이라는 인지장애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K-SAD 점수에 따라 연구참가자들을 나누고 연구 집단 간의 인지과제 수행 시 나타난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사회공포증 수준에 따른 정서지각 편향성과 시공간 주의배분능력 간의 관련성에 대해 탐구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공포증 수준의 증가에 따라 나타나는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이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에 미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공포증 수준에 따라 변화하는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과 시공간주의배분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이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공포증 수준을 세분화하여 사회공포증의 증상과 관련된 정서지각 편향성과 시공간 주의배분능력 간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회공포증 수준을 세분화함으로써 사회공포증 수준과 관련된 인지특성에 대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었는데, 이는 사회공포증이라는 정신과적 질병의 인지적 특성이 단순히 질병의 유/무에 따라 범주적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 본 연구의 두 가지 연구 가설에 대한 논의를 위해 위 연구 과제 수행 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이어가고자 한다.
  • 그리고 UFOV 과세 연구 결과, K-SAD 점수가 높은 집단일수록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이 저하되어 나타났다. 이 결과는 사회공포증에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의 저하가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의 증가와 관련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으며, 본 연구에는 사회공포증 증상에 의해 발현되는 ‘안전한 행동’이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의 저하를 일으키고 이것이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을 초래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공포증 수준에 따라 변화하는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과 시공간주의배분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이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가설은 K-SAD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 혹은 부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이 나타난다는 것과 두 번째 연구 가설은 K-SAD 점수가 높을수록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의 저하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가설 설정

  • 이를 통해,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이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가설은 K-SAD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 혹은 부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이 나타난다는 것과 두 번째 연구 가설은 K-SAD 점수가 높을수록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의 저하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가자들을 K-SAD 점수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누고 정서지각과제와 UFOV 과제 수행 결과를 비교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사회공포증 수준을 세분화하여 나눈 뒤에 사회공포증 수준과 관련이 있는 정서지각의 편향성 및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가설은 K-SAD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 혹은 부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이 나타난다는 것과 두 번째 연구 가설은 K-SAD 점수가 높을수록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의 저하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Amaral, D. G. (2003). The amygdala, social behavior, and danger detection.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000(1), 337-347. DOI: 10.1196/annals.1280.015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uthor. DOI: 10.1093/jama/9780195176339.022.529 

  3. Ball, K. K., Beard, B. L., Roenker, D. L., Miller, R. L., & Griggs, D. S. (1988). Age and visual search: Expanding the useful field of view.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A, 5(12), 2210-2219. DOI: 10.1364/josaa.5.002210 

  4. Ball, K., Owsley, C., Sloane, M. E., Roenker, D. L., & Bruni, J. R. (1993). Visual attention problems as a predictor of vehicle crashes in older drivers.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34(11), 3110-3123. 

  5. Batty, M., & Taylor, M. J. (2003). Early processing of the six basic facial emotional expressions. Cognitive Brain Research, 17(3), 613-620. DOI: 10.1016/s0926-6410(03)00174-5 

  6. Beck, A. T. (1976).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DOI: 10.1016/s0033-3182(77)71107-7 

  7. Beck, A. T., & Clark, D. A. (1997).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of anxiety: Automatic and strategic process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5(1), 49-58. DOI: 10.1016/s0005-7967(96)00069-1 

  8. Bentin, S., Allison, T., Puce, A., Perez, E., & McCarthy, G. (1996).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of face perception in humans.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8(6), 551-565. DOI: 10.1162/jocn.1996.8.6.551 

  9. Birbaumer, N., Grodd, W., Diedrich, O., Klose, U., Erb, M., Lotze, M., Schneider, F., Weiss, U., & Flor, H. (1998). fMRI reveals amygdala activation to human faces in social phobics. NeuroReport, 9(6), 1223-1226. DOI: 10.1097/00001756-199804200-00048 

  10. Caharel, S., Courtay, N., Bernard, C., Lalonde, R., & Rebai, M. (2005). Familiarity and emotional expression influence an early stage of face processing: an electrophysiological study. Brain and Cognition, 59(1), 96-100. DOI: 10.1016/j.bandc.2005.05.005 

  11. Clark, D. M., & Wells, A. (1995). A cognitive model of social phobia. In R. G. Heimberg, M. R. Liebowitz, D. A. Hope, & F. R. Schneier (Eds.), Social phobia: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pp. 69-93).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2. Clark, V. P., & Hillyard, S. A. (1996). Spatial selective attention affects early extrastriate but not striate components of the visual evoked potential.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8(5), 387-402. DOI: 10.1162/jocn.1996.8.5.387 

  13. Di Russo, F., Martinez, A., & Hillyard, S. A. (2003). Source analysis of event-related cortical activity during visuo-spatial attention. Cerebral Cortex, 13(5), 486-499. DOI: 10.1093/cercor/13.5.486 

  14. Edwards, J., Jackson, H. J., & Pattison, P. E. (2002). Emotion recognition via facial expression and affective prosody in schizophrenia: a methodological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2(6), 789-832. DOI: 10.1016/s0272-7358(02)00130-7 

  15. Ekman, P. (1993). Facial expression and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48(4), 384. DOI: 10.1037/10770-009 

  16. Ekman, P. (1992).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New findings, new questions. Psychological Science, 3(1), 34-38. DOI: 10.1111/j.1467-9280.1992.tb00253.x 

  17. Eysenck, M. W. (1997). Anxiety and cognition: A unified theory. Hove, England: Psychology Press. DOI: 10.4324/9781315804606 

  18. Foa, E. B., & Kozak, M. J. (1986). Emotional processing of fear: exposure to corrective information. Psychological Bulletin, 99(1), 20. DOI: 10.1037/0033-2909.99.1.20 

  19. Fox, E., Russo, R., Bowles, R., & Dutton, K. (2001). Do threatening stimuli draw or hold visual attention in subclinical anxiet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30(4), 681. DOI: 10.1037/0096-3445.130.4.681 

  20. Fox, E., Russo, R., & Dutton, K. (2002). Attentional bias for threat: Evidence for delayed disengagement from emotional faces. Cognition & Emotion, 16(3), 355-379. DOI: 10.1080/02699930143000527 

  21. Foxe, J. J., & Simpson, G. V. (2002). Flow of activation from V1 to frontal cortex in human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142(1), 139-150. DOI: 10.1007/s00221-001-0906-7 

  22. Fu, S., Greenwood, P. M., & Parasuraman, R. (2005). Brain mechanisms of involuntary visuospatial attention: An event-related potential study. Human Brain Mapping, 25(4), 378-390. DOI: 10.1002/hbm.20108 

  23. Gilboa-Schechtman, E., Foa, E. B., & Amir, N. (1999). Attentional biases for facial expressions in social phobia: The face-in-the-crowd paradigm. Cognition & Emotion, 13(3), 305-318. DOI: 10.1080/026999399379294 

  24. Green, C. S., & Bavelier, D. (2003). Action video game modifies visual selective attention. Nature, 423(6939), 534. DOI: 10.1038/nature01647 

  25. Hillyard, S. A., & Anllo-Vento, L. (1998).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in the study of visual selective atten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5(3), 781-787. 

  26. Hope, D. A., Rapee, R. M., Heimberg, R. G., & Dombeck, M. J. (1990). Representations of the self in social phobia: Vulnerability to social threat.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2), 177-189. DOI: 10.1007/bf01176208 

  27. Jolicoeur, P., Brisson, B., & Robitaille, N. (2008). Dissociation of the N2pc and sustained posterior contralateral negativity in a choice response task. Brain Research, 1215(18), 160-172. DOI: 10.1016/j.brainres.2008.03.059 

  28. Kim, S. Y., Kang, J. W., Jung, J. B., Lee, H. W., Han, D. H., Choi, M. K., & Nam, K. C. (2017). The research for relationship between self report ADHD test and computerized UFOV and VM tasks.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29(1), 81-77. 

  29. Kim, S. Y., Jung, J. B., & Nam, K. C. (2018). Variability in the Visuo-spatial Attention Ability and Emotional Perception Ability Related with Bipolar Disorder Tendency in the Normal Population.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21(2), 145-158. 

  30. Kiss, M., Van Velzen, J., & Eimer, M. (2008). The N2pc component and its links to attention shifts and spatially selective visual processing. Psychophysiology, 45(2), 240-249. DOI: 10.1111/j.1469-8986.2007.00611.x 

  31. Kolassa, I. T., & Miltner, W. H. (2006). Psychophysiological correlates of face processing in social phobia. Brain Research, 1118(1), 130-141. DOI: 10.1016/j.brainres.2006.08.019 

  32. LeDoux, J. E. (1995). Emotion: Clues from the brain.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6(1), 209-235. DOI: 10.7551/mitpress/3077.003.0031 

  33. MacLeod, C., Rutherford, E., Campbell, L., Ebsworthy, G., & Holker, L. (2002). Selective attention and emotional vulnerability: Assessing the causal basis of their association through the experimental manipulation of attentional bia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1(1), 107. DOI: 10.1037/0021-843x.111.1.107 

  34. Maidenberg, E., Chen, E., Craske, M., Bohn, P., & Bystritsky, A. (1996). Specificity of attentional bias in panic disorder and social phobia.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0(6), 529-541. DOI: 10.1016/s0887-6185(96)00028-x 

  35. Mangun, G. R. (1995). Neural mechanisms of visual selective attention. Psychophysiology, 32(1), 4-18. 

  36. Mathews, A., & MacLeod, C. (2002). Induced processing biases have causal effects on anxiety. Cognition & Emotion, 16(3), 331-354. DOI: 10.1080/02699930143000518 

  37. McLean, C. P., Asnaani, A., Litz, B. T., & Hofmann, S. G. (2011). Gender differences in anxiety disorders: prevalence, course of illness, comorbidity and burden of illnes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45(8), 1027-1035. DOI: 10.1016/j.jpsychires.2011.03.006 

  38. Mogg, K., Bradley, B. P., De Bono, J., & Painter, M. (1997). Time course of attentional bias for threat information in non-clinical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5(4), 297-303. DOI: 10.1016/s0005-7967(96)00109-x 

  39. Mogg, K., Philippot, P., & Bradley, B. P. (2004). Selective attention to angry faces in clinical social phobia.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3(1), 160. DOI: 10.1037/0021-843x.113.1.160 

  40. Monk, C. S., Telzer, E. H., Mogg, K., Bradley, B. P., Mai, X., Louro, H. M.., Chen, G., McClure-Tone, E. B., Ernst, M., & Pine, D. S. (2008). Amygdala and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activation to masked angry fac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5(5), 568-576. DOI: 10.1016/s0084-3970(08)79329-0 

  41. Montagne, B., Kessels, R. P., De Haan, E. H., & Perrett, D. I. (2007). The emotion recognition task: A paradigm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facial emotional expressions at different intensitie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04(2), 589-598. DOI: 10.2466/pms.104.2.589-598 

  42. Myers, R. S., Ball, K. K., Kalina, T. D., Roth, D. L., & Goode, K. T. (2000). Relation of useful field of view and other screening tests to on-road driving performance. Perceptual and Motor Skills, 91(1), 279-290. DOI: 10.2466/pms.2000.91.1.279 

  43. Ohman, A. (1993). Fear and anxiety as emotional phenomena: Clinical phenomenology, evolutionary perspective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chanisms. In M. Lewis & J. M. Haviland (Eds.), Handbook of Emotions (pp. 511-536). New York: Guilford Press. 

  44. Pourtois, G., Grandjean, D., Sander, D., & Vuilleumier, P. (2004). Electrophysiological correlates of rapid spatial orienting towards fearful faces. Cerebral Cortex, 14(6), 619-633. DOI: 10.1093/cercor/bhh023 

  45. Rapee, R. M., & Heimberg, R. G. (1997).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anxiety in social phobia.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5(8), 741-756. DOI: 10.1016/s0005-7967(97)00022-3 

  46. Santesso, D. L., Meuret, A. E., Hofmann, S. G., Mueller, E. M., Ratner, K. G., Roesch, E. B., & Pizzagalli, D. A. (2008). Electrophysiological correlates of spatial orienting towards angry faces: a source localization study. Neuropsychologia, 46(5), 1338-1348. DOI: 10.1016/j.neuropsychologia.2007.12.013 

  47. Schweinberger, S. R., Pickering, E. C., Jentzsch, I., Burton, A. M., & Kaufmann, J. M. (2002). Eventrelated brain potential evidence for a response of inferior temporal cortex to familiar face repetitions. Cognitive Brain Research, 14(3), 398-409. DOI: 10.1016/s0926-6410(02)00142-8 

  48. Stein, M. B., Goldin, P. R., Sareen, J., Zorrilla, L. T. E., & Brown, G. G. (2002). Increased amygdala activation to angry and contemptuous faces in generalized social phobia.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9(11), 1027-1034. DOI: 10.1001/archpsyc.59.11.1027 

  49. Stolarova, M., Keil, A., & Moratti, S. (2005). Modulation of the C1 visual event-related component by conditioned stimuli: evidence for sensory plasticity in early affective perception. Cerebral Cortex, 16(6), 876-887. DOI: 10.1093/cercor/bhj031 

  50. Straube, T., Kolassa, I. T., Glauer, M., Mentzel, H. J., & Miltner, W. H. (2004). Effect of task conditions on brain responses to threatening faces in social phobics: an event-relat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Biological Psychiatry, 56(12), 921-930. DOI: 10.1016/j.biopsych.2004.09.024 

  51. Turk, C. L., Heimberg, R. G., Orsillo, S. M., Holt, C. S., Gitow, A., Street, L. L., Schneier, F. R., & Liebowitz, M. R. (1998). An investigation of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phobia.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2(3), 209-223. 

  52. Vuilleumier, P., & Pourtois, G. (2007). Distributed and interactive brain mechanisms during emotion face perception: evidence from functional neuroimaging. Neuropsychologia, 45(1), 174-194. DOI: 10.1016/j.neuropsychologia.2006.06.003 

  53. Vythilingam, M., Blair, K. S., McCaffrey, D., Scaramozza, M., Jones, M., Nakic, M., Mondillo, K., Hadd, K., Bonne, O., Mitchell, D. G. V., Pine D. S., Charney, D. S., & Blair, R. J. R. (2007). Biased emotional attention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help as well as a hindrance?. Psychological Medicine, 37(10), 1445-1455. DOI: 10.1017/s003329170700092x 

  54. Wallace, S. T., & Alden, L. E. (1997). Social phobia and positive social events: The price of succes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6(3), 416. DOI: 10.1037/0021-843x.106.3.416 

  55. Watson, D., & Friend, R. (1969). Measurement of socialevaluative anxie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3(4), 448. DOI: 10.1037/h0027806 

  56. Williams, J. M. G., Watts, F. N., MacLeod, C., & Mathews, A. (1997). Cognitive psychology and emotional disorders (2nd ed.). Chichester, England: Wiley. DOI: 10.1016/0272-7358(92)90144-w 

  57. Yoon, K. L., & Zinbarg, R. E. (2007). Threat is in the eye of the beholder: Social anxiety and the interpretation of ambiguous facial expression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5(4), 839-847. DOI: 10.1016/j.brat.2006.05.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