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movey 운동이 유방암 절제술을 한 여성의 견관절 관절가동범 위, 통증, 기능수준, 근력에 미치는 영향
The Smovey Exercise is the Effect of Range of Motion, Pain, Function, Muscle Strength of the Shoulder with Women Breast Cancer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4 no.1, 2018년, pp.47 - 55  

이민지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  정성관 (서울정형외과) ,  김용진 (유성한가족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Smovey exercise is the effect of range of motion, pain, function, muscle strength of th shoulder with women breast cancer.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total 24 breast cancer survivors. By drawing lots women a breast cancer Smo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암 절제술을 한 여성에게 Smovey 운동을 적용했을 때 견관절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Smovey운동군(11명), 일반적인 치료군(10명)으로 하였으며, 견관절 관절가동범위, 통증 수준, 상지기능장애 수준, 견관절 근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Smovey 운동군(실험군)과 일반물리치료군(대조군)의 중재 전과 중재 후를 비교했을 때, 견관절의 관절가동범위, 통증, 근력, 상지 기능장애수준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Smovey 운동군(실험군)이 일반물리치료군(대조군)보다 중재 전·후의 두 군간의 견관절 관절가동범위, 통증, 근력, 상지 기능장애수준의 중재 후 값과 변화량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구체적인 가설을 다음과 같다. 첫째 Smovey 운동군(실험군)과 일반물리치료군(대조군)의 중재 전과 중재 후를 비교했을 때, 견관절의 관절가동범위, 통증, 근력, 상지 기능장애수준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Smovey 운동군(실험군)이 일반물리치료군(대조군)보다 중재 전·후의 두 군간의 견관절 관절가동범위, 통증, 근력, 상지 기능장애수준의 중재 후 값과 변화량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모비운동이란? 스모비(Smovey)운동이란 4개의 구슬이 60㎐의 진동을 일으켜서 활역적인 에너지를 생성하여 걷기, 러닝 등 운동을 동시에 같이 하면 30%의 칼로리를 더 많이 소비하게 하며, 진동스윙 효과를 통해 허리와 척추 안정화와 코어근육을 강화시키며, 부상의 염려 없이 적절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강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운동이다. 또한 스모비 운동은 유방암을 예방 할 수 있는 운동이며, 유방암 예방하는 팔 운동인 챠크라 운동방법이 있으며, 이 운동은 진동을 통해 심폐, 체순환, 근신경근에 자극을 줌으로써 뇌기능 발달, 림프순환 촉진, 근육이완 등의 효과로 유방암을 예방 할 수 있다(Smovey, 2014).
유방암을 수술한 환자에게 나타나는 신체변화는? 유방암을 수술한 환자는 가장 큰 변화가 신체적 변화이며, 이 부분은 감정에 부적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수술 후 상지에는 감각변화, 수술 부위의 변형, 상지 통증, 견관절 기능 약화, 어깨근력 감소, 림프부종 등이 생기는 신체적 변화가 온다(Verbelen 등, 2014). 유방암 환자에게 유산소 운동을 12주 간 적용했을 경우 지구력 향상이 되었으며, 통증 감소와 견관절 가동범위가 증가하며, 신체적 기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Couneya 등, 2007).
유방암 치료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이유는? 9%로 발생하였다(국가암정보센터, 2017). 유방암은 생존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러므로 인해 만성질환으로 여겨지며 장기적으로 꾸준한 관리 및 치료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Mock 등, 2001). 유방암 수술은 크게 유방에 대한 수술과 겨드랑이에 대한 수술로 나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용우, 김미숙. 림프마사지와 저항운동이 유방암환자의 수술방법에 따른 상지기능 변화. 한국체육학회지. 2010;49(1):491-497. 

  2. 김혜미, 오명화. 작업치료중재가 유방암 환자의 어깨관절가동범위, 통증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8;12(1):185-194. 

  3. 국가암정보센터. 유방암 경험자 건강관리 가이드.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17/cancer/view.do?cancer_seq4757&menu_seq4762. 2017:18-21. 

  4. 박형숙, 조규영, 박경연 등. 재활프로그램이 유방암 절제술 환자의 신체건강, 생리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학회지. 2013;43(3):310-320. 

  5. 송현승. 견관절 가동술과 견갑골 복합운동이 유방암 환자의 신체기능과 심리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61-95. 

  6. 이규완, 이충휘, 조상현 등. 유방절제술 후 조기운동 프로그램의 치료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1;8(1):35-50. 

  7. 이병기, 이재섭, 김태수. 4 주간 복합 운동치료가 유방암 림프부종 중년여성의 통증, 견관절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3;8(2):153-161. 

  8. 하해정, 안소윤, 권해연. 유방암 절제술 후 상지 림프부종과 견갑골 기능 이상의 상관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013;22(2):1103-1112. 

  9. Amaral MTP, de Oliveira MMF, Ferreira NO, et al. Manual therapy associated with upper limb exercises vs. exercises alone for shoulder rehabilitation in postoperative breast cancer. Physiother Theory Pract. 2012;28(4):299-306. 

  10. Click Fenter P, Bellew J, Pitts T, et al. Reliability ofstabilized commercial dynamometers for measuring hip abduction strength: A pilot study. Br Sports Med. 2003;37(4):331-334. 

  11. Cho OH. Effects of a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mastectomy patients. JKAN. 2004;34(5):809-819. 

  12. Courneya KS, Segal RJ, Mackey JR, et al. Effects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Clin Oncol. 2007;25(28):4396-4404. 

  13. De Groef A, Van Kampen M, Dieltjens E, et al. Effectiveness of postoperative physical therapy for upper limb impairments following breast cancer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Arch Phys Med Rehabil. 2015;96(6):1140-1153. 

  14. Dimeo FC. Effects of exercise on cancer-related fatigue. Cancer. 2001;92(S6):1689-1693. 

  15. Durak EP, Lilly PC. The application of an exercise and wellness program for cancer patients: A preliminary outcomes report. J Strength Cond Res. 1998;12(1):3-6. 

  16. Eyigor S, Karapolat H, Yesil H. Effect of Pilates exercise on functional capacity, flexibility, fatigu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Eur J Phys Rehabil Med. 2010;46(4):481-487. 

  17. Hayes SC, Speck RM, Reimet E, et al. Does the effect of weight lifting on lymphedema following breast cancer differ by diagnostic method: results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11;130(1):227-234. 

  18. Hwang JH, Chang HJ, Shim YH, et al. Effects of supervised exercise therapy in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Yonsei Med J. 2008;49(3):443-450. 

  19. Lim JS and Kim JI. Relationships among pai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nxiety in the breast cancer survivors. J Muscle Jt Health. 2012;19(1):37-45. 

  20. Kolden GG, Strauman TJ, Ward A, et al. A pilot study of group exercise training (GET) for women with primary breast cancer: feasibility and health benefits. Psycho-Oncology. 2002;11(5):447-456. 

  21. Lee SA, Kang JY, Kim YD, et al. Effects of a scapula-oriented shoulder exercise programme on upper limb dysfunction in breast cancer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Clin Rehabil. 2010;24:600-613. 

  22. MacDermid JC, Solomon P, Prkachin K. The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demonstrates factor, construct and longitudinal validity. BMC Musculoskelet Disord. 2006;7(1):12. 

  23. McNeely ML, Campbell K, Ospina M, et al. Exercise interventions for upper-limb dysfunction due to breast cancer treatment. Cochrane Database System Review, 2010;(6):CD005211. 

  24. Mock V, Pichett M, Ropka ME, et al. Fatigue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of exercise during cancer treatment. Cancer Practic. 2001;9(3):119-127. 

  25. Moss P, Sluka K, Wright A. The initial effects of knee joint mobilization on osteoarthritic hyperalgesia. Man Ther. 2007;12(2):109-118. 

  26. Patrick D. Textbook of Pain. Ronald Melzack. II 2002;241-256. 

  27. Pinto BM, Trunzo JJ. Body esteem and mood among sedentary and active breast cancer survivors. Mayo Clinic Proceedings: Elsevier. 2004;79:181-186. 

  28. Rietman JS, Dijkstra PU, Hoekstra HJ, et al. Late morbidity after treatment of breast cancer in relation to daily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a systemic review. European Journal surgical onclogy. 2003;29:229-238. 

  29. Roach KE, Budiman-Mak E, Songsiridej N, et al. Development of a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Arthritis Care Res. 1991;4(4):143-149. 

  30. Pringle RK. Intra-instrument reliability of 4 goniometers. J Chiro Med. 2003;2(3):91-95. 

  31. Schmitz KH, Ahmed RL, Hannan PJ,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weight training in recent breast cancer survivors to alter body composition, insulin,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axis proteins.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05;14(7):1672-1680. 

  32. Seo HD, Lee KW, Jung KS,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J Spec Educ Rehabil Sci. 2012;51(2):319-336. 

  33. Souvlis T, Vicenzino B. Neurophysiological effect of spinal manual therapy. 2004. 

  34. Johann SalzHans Salzwimmer. Smovey. http://www.smovey.com. 2014.03. 

  35. Tasmuth T, Blomqvist C, Kalso E. Chronic post-treatment symp-tom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perated in different surgical units. Eur J Surg Oncol Vol. 1999;(25):38-43. 

  36. Turk DC, Melzack R. Handbook of pain assessment. Guilford Press. 2011. 

  37. Verbelen H, Gebruers N, Eeckhout F et al. Shoulder and arm morbidity in sentinel node-negative breast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Breast Cancer Res Treat. 2014;144(1):21-31. 

  38. Wagner DR, Tatsugawa K, Parker D, et al. Reliability and utility of a visual analog scale for the assessment of acute mountain sickness. High Alt Med Biol. 2007;8(1):27-3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