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 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Robots : Analysis of Difference According to Variables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21 no.4, 2018년, pp.21 - 27  

김성원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이영준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따라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로봇을 필두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로봇 교육에 대한 수업 전문성이 요구되지만, 선행 연구에서는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가 부정적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변인에 따른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은 K 대학에 다니고 있는 309명의 예비 교사이며,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로봇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측정척도를 검사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는 성별, 로봇의 조작 경험, 로봇 관련 수업의 수강 경험에 따라 로봇에 대한 태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보다 남성이, 로봇의 조작 경험과 로봇 관련 수업의 수강 경험이 있을수록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매체를 통한 로봇의 경험은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progressed globally, computing education is progressing centered on robots. However,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robots were negative in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attitude of the p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매체를 통한 로봇 경험이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매체를 통하여 로봇을 경험한 예비 교사(M= 2.
  • 본 연구에서는 변인에 따른 로봇에 대한 예비교사의 태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성별, 로봇의 조작 경험, 로봇 관련 수업의 수강 경험, 매체를 통한 로봇의 접촉 경험에 따른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보완하여, 변인에 따른 로봇에 대한 예비 교사의 태도 차이를 살펴보았다. 성별, 로봇의 조작 경험, 로봇 관련 수업을 수강한 경험, 매체를 통한 로봇의 경험을 변인으로 선정하였고, 변인에 따라 로봇에 대한 태도차이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봇 교육은 어떠한 상황에 있는가? 이에 따라 로봇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4]. 하지만, 로봇 교육의 연구에서 교육의 주체인 예비 교사와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5][6].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육에서 로봇 교육의 수업 전문성을 갖춘 예비교사와 교사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7].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이유는?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됨에 따라 교육에서도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육이 시작되었다. 다양한 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컴퓨팅 기술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코딩 교육 열풍이 불고 있다 [2].
세계경제포럼은 어떤 변화를 4차 산업혁명이라 명명하였는가? 현대 사회에서는 기술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에 경험하지 못한 형태로 삶이 변하고 있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4차 산업혁명이라고 명명하였으며, 변화를 주도할 기술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로봇 등이 부각되었다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chwab, K. (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rown Business. 

  2. Kim, S. W., & Lee, Y. (2016). Development of a Software Education Curriculum for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1(8), 127-141. 

  3. 이은경. (2018). 정보교육의 전망과 과제: 미래 정보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2), 1-10. 

  4. 김철 (2012). 로봇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및 교육효과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2), 233-243. 

  5. 박광렬 (2011). 초등학교 로봇 교육 및 교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의 고찰.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3), 323-343. 

  6. 최정원, 서영민, & 이영준 (2011). 국내 로봇교육 연구 현황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2), 397-400. 

  7. 손승남. (2005).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점에서 본 교사교육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2, 89-108. 

  8. Lee, E., Kim, S. W., & Lee, Y. (2017, October).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among Pre-service Teachers. In E-Learn(pp. 627-631).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 (AACE). 

  9. Kim, S. W., & Lee, Y. (2015, October). A Surve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 toward Robot. In E-Learn (pp. 1802-1807).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 (AACE). 

  10. Kim, S. W., & Lee, Y. (2016). The Effect of Robot Programming Education on Attitudes towards Robots. 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9(24). 

  11. 김성원, & 이영준. (2015). 로봇 동아리 활동이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연구소논문집, 11(1), 28-36. 

  12. 김성원, & 이영준. (2016). 로봇 프로그래밍이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6), 91-103. 

  13. Lee, E., Kim, S. W., & Lee, Y. (2018).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of Pre-Service Teachers toward Robots. EdMedia+ Innovate Learning, 1776-1779. 

  14. 신나민, & 김상아. (2009). 한국 학생의 로봇에 대한 태도. 로봇학회 논문지, 4(1), 10 

  15. Nomura, T., Suzuki, T., Kanda, T., & Kato, K. (2006). Measurement of negative attitudes toward robots. Interaction Studies, 7(3), 437-454. 

  16. 이춘식. (2013). 초.중.고등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태도 검사 척도. 실과교육연구, 19(2), 151-168. 

  17. Marcoulides, G. A. (1989). Measuring computer anxiety: The computer anxiety sca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9(3), 733-739. 

  18. Heerink, M. (2011, March). Exploring the influence of age, gender, education and computer experience on robot acceptance by older adults. In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robot interaction (pp. 147-148). ACM. 

  19. Nomura, T., Kanda, T., & Suzuki, T. (2006).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to influence of negative attitudes toward robots on human-robot interaction. Ai & Society, 20(2), 138-150. 

  20. Nomura, T. (2017). Robots and gender. Gender and the Genome, 1(1), 18-25. 

  21. Nomura, T. (2017, August). Cultural differences in social acceptance of robots. In Robot and Human Interactive Communication (RO-MAN), 2017 26th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pp. 534-538). IEEE. 

  22. 이춘식. (2013). 초등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태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2), 83-96. 

  23. 정민영, & 이경택. (2017). 중학생의 로봇에 대한 태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0(1), 185-206. 

  24. Bartneck, C., Nomura, T., Kanda, T., Suzuki, T., & Kato, K. (2005, April). Cultural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s robots. In Proc. Symposium on Robot Companions (SSAISB 2005 Convention) (pp. 1-4). 

  25. Nomura, T., Kanda, T., & Suzuki, T. (2006).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to influence of negative attitudes toward robots on human-robot interaction. Ai & Society, 20(2), 138-150. 

  26. Bartneck, C., Suzuki, T., Kanda, T., & Nomura, T. (2007). The influence of people's culture and prior experiences with Aibo on their attitude towards robots. Ai & Society, 21(1-2), 217-230. 

  27. Bartneck, C., Nomura, T., Kanda, T., Suzuki, T., & Kennsuke, K. (2005, July). A cross-cultural study on attitudes towards robots. In Hci international. 

  28. Nomura, T., Suzuki, T., Kanda, T., Han, J., Shin, N., Burke, J., & Kato, K. (2008). What people assume about humanoid and animal-type robots: cross-cultural analysis between Japa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oid Robotics, 5(01), 25-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