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문대졸 청년층의 재학 중 직무경험이 첫 일자리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Experiences of College Graduate Youths on Employment Period in Their First Job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7, 2018년, pp.164 - 173  

유재연 (경기대학교 대학원 직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문대학 졸업자의 근속기간 이탈 위험요인들과 재학 중 직무경험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2015 대졸자직업 이동경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대학에 진학한 30세 미만의 전문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학 중 직무경험자들은 비경험자들에 비해 가계소득과 같은 경제적 특성에서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나 학교특성에서는 활발한 취업준비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학 중 직무경험 여부에 따라 초기 노동시장 진입 특성 역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재학 중 직무경험자의 첫 일자리 이행기간이 짧고 근속기간은 길었으나 임금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ox 회귀분석을 통해 근속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재학 중 직무 경험, 경험횟수, 경험기간이 이직위험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재학 중 직무경험이 다음 일자리의 유지기간을 높인다는 점은 이전 직장경험과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재학 중 직무경험 횟수가 많은 점은 반대로 근속기간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experience while attending college on the turnover risk in the first job following graduation. Data was obtained from the 2015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Subjects included college graduates under 30 years of age, who g...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재학 중 직무경험의 횟수와 최근 재학 중 근무기간이 학교에서 배울 수 없는 대인관계능력, 보편적인 능력을 키우는 역할을 하여 근속기간을 유지시켜 주는 변인으로 볼 수 있는지 심층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에 본 연구는 현실적인 직업정보와 직업경험이 근속기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이론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14][15]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재학 중 직무경험 여부에 따라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 학교 특성이 다를 것이다. 둘째, 재학 중 직무경험 여부에 따라 초기 노동시장 진입 특성이 다를 것이다.
  • 첫째, 재학 중 직무경험 여부에 따라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 학교 특성이 다를 것이다. 둘째, 재학 중 직무경험 여부에 따라 초기 노동시장 진입 특성이 다를 것이다. 셋째, 재학 중 직무경험여부와 횟수, 근무기간은 첫 일자리 근속기간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둘째, 재학 중 직무경험 여부에 따라 초기 노동시장 진입 특성이 다를 것이다. 셋째, 재학 중 직무경험여부와 횟수, 근무기간은 첫 일자리 근속기간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올드루키는 무엇인가? 2017년 기준 전문대학 입학정원이 전체 대학 입학정원의 32.8%를 차지하고 2018년 기준 전문대학 유턴입 학생이 1,537명으로 역대 최대수치를 기록하고 있으며[1] 다른 회사에 근무하다가 좋은 일자리의 신입사원 채용에 다시 응시하는 올드루키(old rookie)들이 증가하는 상황을 고려했을 때 고등학교를 졸업 후 바로 전문대학에 입학한 청년층 졸업자들의 채용가능성은 더 낮아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초기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전문대학 졸업자들을 4년제 대학 졸업자를 기준으로 해석하는 데 그치고 있어서 아쉬움이 남는다.
재학 중 직무경험의 특성은? 특히 재학 중 직무경험은 사회경험이 적고 졸업 후 신입 채용공고에 지원하는 청년층의 잠재적인 생산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얼마 안 되는 특성이기에 많이 연구되는 주제인데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을 따로 구별하여 분석하기 보다는 4년제 대졸자의 특성을 비교하는 기준으로 해석한 연구들이 많이 존재한다. 또한 다수의 연구결과를 보면 대학이라는 고등교육을 통해 직무능력을 향상시켜서 초기 노동시장에 일찍 진입하고[5][6][7] 높은 임금[6][8][9]을 받거나 정규직[8][10] 취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여부 등에 중점을 두고 연구되고 있다.
재학 중 직무경험자의 학교에서 취업준비 특성은? 또한 가계 소득수준, 부모의 학력 등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특성에서는 취업에 대한 준비행동과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취업목표 설정 및 달성 여부, 자격증, 어학연수, 복수전공·부전공, 직업훈련 등의 변인들을 통해서 재학 중 직무경험 보유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재학 중 직무경험자가 미보유자에 비해 사회경제적으로는 낮은 수준이지만 학업이나 취업준비 면에서는 미보유자에 비해 적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College Education, [Ienternet] Available From: http://www.kcce.or.kr/web/collegeIntro/webTransitionPro cess.do. (accessed Apr., 10, 2018) 

  2.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College Education, [Ienternet] Available From: http://www.kcce.or.kr/web/board/1485.do?modeview&s chBcode&schCon&schStr&pageIndex1&pageUnit 20&idx50692, (accessed Apr., 10, 2018) 

  3. J. H Park & J. H. Choi, "The Use of Biodata As a Tool for Predicting the Early Turnover of Managerial-level Newcomer", 2012 Korea Management Spring Conference, pp. 193-206. 2012. 

  4. H. L. Kang, "lidation Study of Empirical Biodata",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9, no. 2, pp. 1-16, 1996. 

  5. K. Y. Lee & Y. H. Kim, "The Determinants of Youth Labor Market Performance", Quartely Journal of Labor Policy, vol. 3, no. 2. pp. 69-93. 2003. 

  6. S. J. Park & J. H. Ban, "Effects of Pre-Employment Efforts of the College Graduate Youth in Korea",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29, no. 3, pp. 29-50, 2006. 

  7. J. K. Ahn & H. J. Bae, "The Effects of Working While in College on The Labor Market Transitions and Outcomes",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vol. 21, no. 4, pp. 149-180. 2011. 

  8. S. H. Kim, "Nonstandard Work in College and Labor Market Achievement After Graduation",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vol. 17, no. 2, pp. 5-25, 2011. 

  9. D. G. Kim, "The Effects of Part-time Job While in College on The Labor Market Transitions and Outcomes", 2015 Korean Employment Panel Survey Conference, Seoul: KRIS. pp. 761-780, 2015. 

  10. Y. J. Hwang & B. B. Baek, "Determinants of Employment Status of University Graduates Youth",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vol. 11, no. 2, pp. 1-23, 2008. 

  11. J. W. You & Y. H. Song, "Comparing latent means on job competencies,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and career identity of groups with and without field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 Education Research, vol. 30, no. 1, pp. 181-200, 2017. DOI: http://dx.doi.org/G704-001285.2017.30.1.004 

  12. K. D. Chung & M. H. Cho, "A Study on the Effect of Working Experience while in College on the Labor Market Outcomes : Focused on the Wage and Job Mismatch",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 27, no. 2, pp. 237-259, 2016. DOI: http://dx.doi.org/G704-000388.2016.27.2.004 

  13. C. Y. Lee, "The Effect of Working while in College on Educational Outcome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vol. 15, no. 3, pp. 1-25, 2012. 

  14. J. P. Wanous, "Effects of a Realistic Job Preview on Job Acceptance, Job Attitudes, and Job Surviva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58, no. 3, pp. 327-332, 1973. DOI: https://doi.org/10.1037/h0036305 

  15. D. G. Kim, "A Study on the Effects of Expected Wage Rate of College Graduate Youths on Tenure in the First Job", Journal of Employment & Occupation, vol. 5, no. 2, pp. 24-50, 2011. 

  16.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tandard Korean Dictionary, [Ienternet]. Available From: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accessed Apr., 10, 2018) 

  17. Korean Available From: http://www.ncs.go.kr, (accessed Apr., 10, 2018) 

  18. M. Spence, "Job Market Signaling",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87, no. 3, pp. 355-374, 1973. DOI: https://doi.org/10.2307/1882010 

  19. K. G. Nam, J. H. Youn, S. K. Lee, "The Outcome of Early Labor Market of Work Experience While Attending school", Journal of Korean Economic Development, vol. 16. no. 1, pp. 143-172, 2010. 

  20. A, Light, "In-school Work Experience and the Returns to schooling", Journal of Labor Economics, vol. 19, no. 1, pp. 65-93, 2001. DOI: https://doi.org/10.1086/209980 

  21. I. Hakkinen, "Working while enrolled in a university: does it pay?", Labour Economics, vol. 19, no. 1, pp. 167-189, 2006. DOI: https://doi.org/10.1016/j.labeco.2004.10.003 

  22. Y. H. Cho & S. K. Hwang, New Labor economics, Bobmunsa, Seoul, 2016. 

  23. J. Y. Yoo & S. H. Kang, "Effects of Interpersonal Service Experience in School on Early Labor Market Adaptation of Junior College Graduates", Korean Journal of Society of Education, vol. 27, no. 4, pp. 81-104, 2017. 

  24. S. L. Lee, "Local University Students' Work Experience during the University Years :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Job Preparation Effect", Studies on Korean Youth, vol. 39, no. 40, pp. 5-39, 2004. 

  25. C. K. Chai, "Work Experience During the University Years and Probability of Students Preparation to Find Future Employment",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22, no. 1, pp. 169-184, 2003. 

  26. B. H. Lee, "The Effects of In-School Work Experience on Subsequent Labor Market Outcomes", Korean Journal of Labor Economics, vol. 26, no. 1, pp. 1-22, 2003. 

  27. D. K. Kim., "The Effect of Employment of Work Experiences", 2008 Korean Employment Panel Survey Conference, Seoul: KRIS. pp. 535-556, May, 13. 2008 

  28. Y. S. Song, "The effects of Work Experience during Higher Education on Employment ,"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2, pp. 287-293, 2017. 

  29. R. Cialdini, Influence (rev): The Psychology of Persuasion 1993, H. W. Lee, "The Psychology of Persuasion", Books21, 1996. 

  30. W. Cascio, "Turnover, biographical data, and fair employeement practi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1, no. 5, pp. 576-580, 1976. DOI: https://doi.org/10.1037/0021-9010.61.5.576 

  31. W. Owens, L. Schoenfeldt, "Toward a Classification of Pers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4, no. 5, pp. 569-607, 1979. DOI: https://doi.org/10.1037/0021-9010.64.5.569 

  32. K. Hutchinson, "Personal administrators's preferences for resume content: A survey and review of empirically based conclusions", The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vol. 21, no. 4, pp. 5-14, 1984. DOI: https://doi.org/10.1177/002194368402100401 

  33. M. Mumford, W. Owen, "Methodology review: Principle, procedures, and findings in the application of background data measure,"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 11, no. 1, pp. 1-31, 1987. DOI: https://doi.org/10.1177/002194368402100401 

  34. W. S. Kim, S. H. Kim, J. W. Park, "The Predic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Using Biographic Data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6, no. 2, pp. 21-45, 2003. 

  35. J. Hunter, R. Hunter, "Validity and Utility of Alternative Predictors of Job Performance," Psychological Bulletin, vol. 96, no. 1. pp. 72-98, 1984. DOI: https://doi.org/10.1037/0033-2909.96.1.72 

  36. M. Barrick, R. Zimmerman, "Reducing Voluntary, Avoidable Turnover Through Sele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90, no. 1, pp. 5, 2005. DOI: https://doi.org/10.1037/0021-9010.90.1.159 

  37. J. Mathieu, D. Zajac,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Bulletin, vol. 108, no. 2, pp. 171-194. 1990. DOI: https://doi.org/10.1037/0033-2909.108.2.171 

  38. H. H. song, K. D. Jung, W. C. Lee, Survival Analysis, Chungmoongak, Seoul, 1996.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