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이동지원센터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bility Support Center Servi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7, 2018년, pp.343 - 353  

김성회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경석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다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동지원센터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하여 다양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부족한 차량대수, 차량대수 대비 높은 수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해결하고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단순 특별교통수단 증차는 예산상의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이용자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동지원센터 이용 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용자 의견을 반영한 서비스 개선을 통해 이용자에게 쾌적한 이용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의 서비스 중요도를 파악하였으며, 중요도와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IPA분석으로 동시에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서비스 개선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천안시 특별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실제 이용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 자료의 요인과 신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요금체계의 경우 일반 대중교통 대비 저렴한 요금으로 만족도가 매우 높아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량이용의 경우 편의 서비스 보다 중요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IPA 분석 결과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항목은 정시성, 친절도, 대기시간, 콜센터 응대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local governments operate Mobility Support Centers to provide transportation convenience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A Mobility Support Center makes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mobility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One of them is the operation of a Special Transportation Vehic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원호 외 2명(2008)의 연구에서는 교통약자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교통수단과 시설을 개선하려는 사업이 지속적으로 계획 및 시행되어 대중교통의시설의 개선과 공급확대를 통해 교통약자의 이동권과 이동편의의 개선을 기대하였으나, 획일적인 시설공급과 확대에 치중되어 있어 다양한 교통약자의 대중교통서비스 수요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통약자를 위한 대중교통 이용편의 시설과 교통수단 이용정보 제공방안이 미흡하여 교통약자 맞춤형 대중교통정보제공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교통약자를 위한 대중교통정보와 이동지원체계 제공방안 제시를 위한 만족도 조사와 면접 및 추적조사를 실시하여 교통약자 유형별 이동행태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토대로 교통약자의 이동성 및 이용성 확대를 위한 유형 및 특성에 맞는 대중교통정보 제공 방안을 제시하였다[8].
  • 본 연구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개선 및 증진을 위하여 이동지원센터의 실정을 반영하고 실제 이동지원센터 특별교통수단 이용자의 의견을 반영한 이동지원센터 서비스 개선 우선순위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인 만족도를 제외한 14가지의 관측변수의 상관성 및 구조를 파악하여 대표적인 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응답 자들이 체감하는 주관적인 평가로 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으며, 요인분석 결과를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신해(2009)의 연구는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교통수단 및 교통시설에 관한 만족도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제시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교통약자 만족도 조사결과를 교통약자 편의시설 설치율 자료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설치율 수준에 비해 만족도 수준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점, 장애유형별로 통행을 위해 요구하는 사항이 상이하다는 점, 버스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다는 점 등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정책을 제시하였다[10].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각각의 차량이용·편의·요금체계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서비스 만족도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여 각 서비스가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약자란? 교통약자란 도로 및 교통수단 이용 등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으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에서는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를 동반한 사람, 어린이 등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으로 교통약자를 정의하고 있다[1]. 교통약자는 단거리 이동 시 휠체어 등 보조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이동이 가능하나, 장거리 이동 시 일반차량, 대중교통 등 이동수단에 탑승이 어렵고 번거로워 이동에 제약이 많은 실정이다.
교통약자의 안전하고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교통약자는 단거리 이동 시 휠체어 등 보조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이동이 가능하나, 장거리 이동 시 일반차량, 대중교통 등 이동수단에 탑승이 어렵고 번거로워 이동에 제약이 많은 실정이다. 교통약자의 안전하고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 특별교통수단이라는 이동수단을 이용해야 하나, 이는 개인 차량의 개조 또는 이동지원센터의 차량 배차를 받아야 이용이 가능하다. 일반차량을 직접 이용할 경우 운전석 개조, 리프트 설치 등 차량의 구조변경이 필요하다.
이동지원센터가 교통약자의 정확한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또한 이동지원센터는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및 개선을 위하여 특별교통수단 증차 외에도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실제 이용자의 경험이 반영되지 않은 서비스의 개선 또는 의사결정권자 의견만을 반영한 서비스의 개선에는 한계가 있다. 의사결정권자 및 운영자는 이동 지원센터 관련 업무를 수행하여 전반적인 운영 및 상황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파악하고 있으나, 실제 특별교통 수단의 배차, 탑승 등 이용자 입장에서의 경험이 적어 교통약자의 정확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동지원센터 특별교통수단은 교통약자의 이동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하고 있으며, 교통약자의 이 동편의를 위하여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이 수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Internet], Act on Promotion of the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Article 2(Definitions), Korea,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accessed Jun., 19, 2018). 

  2.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Mobility Support Center in the Seoul and Busan Metropolitan Areas,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2017. 

  3.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Internet], Act on Promotion of the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Regulations for Enforcement), Article 5(The Number of Special Transportation Vehicle Operations), Korea,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accessed Jun., 19, 2018). 

  4.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Internet],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ticle 39(Support, etc. for Cars, etc. Used by Persons with Disabilities), Korea,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accessed Jun., 19, 2018). 

  5.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Internet], Regulation on the Promotion of the Mobility of the Disabled in Seoul, Article 5(Establishment of a plan to promote mobility of the Disabilities), Korea,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accessed Jun., 19, 2018). 

  6. J. Heo, "Heo Jun's Easy to Follow AMOS Structure Equation Model", pp.92-94, Hannarae Publishing Co., 2013. 

  7. W. Y. Ahn, L. R. Choi, "Importance Factor Analysis on Mobility Facilities for the Transportation Disabl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34, No.3, pp.939-945, 2014. DOI: http://dx.doi.org/10.12652/Ksce.2014.34.3.0939 

  8. W. H. Kim, S. H. Lee, S. H. Kim, "A Study on Travel Behavior of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Custom-made Transit Information System", Seoul Studies, Vol.9, No.2, pp.105-119, 2008. 

  9. M. S. Kim, I. K. Seo, S. M. Park, M. Namgung, "The Satisfaction Degree of Public Transportation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KSCE Convention, pp.10-13, 2008. 

  10. S. H. Lee, "A Study on the Transportation Policy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Satisfaction Level", Seoul Studies, Vol.10, No.1, pp.197-208, 2009. 

  11. D. S. Yun, G. S. Shin, "Study on Transportation Handicapped's Satisfaction Level of Transportation Facilities-A Case Study of Gyeongsan City", Journal of Regional Studies, Vol.19, No.1, pp.85-107, 2011. 

  12. K. W. Ko, K. S. Hwang "A Study on Effect of Special Transportation System of Disabled Person o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Vol.15, No.4, pp.1963-1970,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4.1963 

  13. H. C. Kim, "Customer Satisfaction Analysis for Urban Railway Service Quality by IPA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18, No.5, pp.502-511, 2015. DOI: http://dx.doi.org/10.7782/JKSR.2015.18.5.502 

  14. G. Solvoll, T. S. Hanssen, "User Satisfaction with Specialised Transport for Disabled in Norway",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62, pp.1-7, 2017. DOI: https://doi.org/10.1016/j.jtrangeo.2017.05.004 

  15. K. S. Nho, "A Well-known Analysis of Thesis Statistics: SPSS&AMOS 21", pp.109-129, pp.295-299, Hanbit Academy Inc.,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