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Selection of Low-Floor Bus Stop using the Use Information of the Mobility Support Center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1, 2020년, pp.25 - 33  

박재국 (남서울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2017년 노인비중이 14% 이상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앞으로는 장애인이나 고령자와 같은 교통약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의 수요는 더욱 증대될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이유로 국가는 지자체마다 저상버스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저상버스의 정류장 위치와 노선 등이 교통약자의 정보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아 이용률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특별교통수단의 이용정보를 활용하여 교통약자의 승하차 위치, 출발시간, 도착시간, 이용목적, 요일별 이용빈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오코딩, 중첩분석, 버퍼분석, 공간분할 등의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교통약자의 승하차 분포와 수요를 반영한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선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천안시의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를 선정한 결과 228개소가 선정되었으며, 기존의 정류장과 입지가 중복되는 정류장을 제외하면 신규로 35개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uth Korea entered an aged society phase in 2017 with the elderly accounting for 14% or higher of the entire population. It is expected to enter a super-aged society phase in 2026. The mobility handicapped, including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re expected to grow continuously, and the demand fo...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 수요자 중심의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를 선정함으로써 교통약자의 수요를 저상버스로 분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의 이용 건수가 많은 특별교통수단의 이용정보를 활용하여 교통약자의 승하차 위치, 출발시간, 도착시간, 대기시간, 이용목적 등을 요일별로 분석하고 기존 버스 정류장과 교통약자 승하차 위치, 교통약자의 이동 가능 거리 등을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를 선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 H. Lee, S. Y. Kim & J. S. Kim. (2014). A Study on Low-Floor Bus Routes Selection - Focused on the Case of Jeollabuk-D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3(4), 73-85. DOI:10.12815/kits.2014.13.4.073 

  2. J. H. Park, & K. W. Nam. (2015). A Study on the Low-Floor Bus Route Selection Considering a Residential Distribution and Traffic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 A Case of Bus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2), 161-173. DOI:10.11108/kagis.2015.18.2.161 

  3. Y. K. Cho & S. Y. Jeong. (2014). Analysis of Practices and Needs on the Low Floor Bus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57(3), 297-312. DOI:10.20971/kcpmd.2014.57.3.297 

  4. M. Y. Bin, C. H. Park & K. C. Park. (2015). Improvement Policies for Operation of STS(Special Transportation System) in Gyeonggi-Do. Policy Research, 1-77. 

  5. C. M. Kim, A. R. Han, B. H. Lee & Y. E. Park. (2017). Traffic Welfare Policy Direc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Policy Research, 1-219. 

  6. C. W. Jeon & G. H. Lee. (2017). Optimal Routing of Free Shuttle Bus to Enhance the Travel Convenience for the Elderly: A Case of Gwanak-gu, Seou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6(2), 291-304. DOI:10.25202/JAKG.6.2.11 

  7. S. H. Yun, J. J. Kim & G. I. Jeon. (2017). A Proposal for expansion of the low-floor bus based on analysis of living area for the handicapped mobility people in Seoul Using R.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7(6), 195-201. DOI:10.7236/JIIBC.2017.17.6.195 

  8. J. A. Huh, S. J. Lee & S. H. Park. (2019). Exploring Residential Street Environments through Walking Companions and Walking Speed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5(1), 127-138. DOI:10.5659/JAIK_PD.2019.35.1.127 

  9. S. H. Oh & S. M. Lee. (2013). Walking environment and pedestrian behavior field survey report(1), AURI. 

  10. S. E. Sonenblum, S. Sprigle & R. A. Lopez. (2012). Manual wheelchair use: bouts of mobility in everyday life. Rehabiltation Research and Practice, 1-7. DOI:10.1155/2012/753165 

  11. R. A. Cooper, M. Tolerico, B. A. Kaminski, D. Spaeth, D. Ding, & R. Cooper. (2008). Quantifying wheelchair activity of children : a pilot study.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7(12), 977-983. DOI:10.1097/PHM.0b013e31818dfe74 

  12. A. M. Karmarkar, D. M. Collins, A. Kelleher, D. Ding, M. Oyster & R. A. Cooper. (2010). Manual wheelchair-related mobility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5(6), 428-437. DOI:10.3109/17483107.2010.481346 

  13. C. E. Levy, M. P. Buman, J. W. Chow, M. D. Tillman, K. A. Fournier & P. Giacobbi. (2010). Use of power assist wheels results in increased distance traveled compared with conventional manual wheeling.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9(8), 625-634. DOI:10.1097/PHM.0b013e3181e72286 

  14. M. L. Oyster, A. M. Karmarkar, M. Patrick, M. S. Read, L. Nicolini & M. L. Boninger. (2011), Investigati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manual wheelchair mobility in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2(3), 484-490. DOI:10.1016/j.apmr.2010.09.025 

  15. M. L. Tolerico, D. Ding, R. A. Cooper et al. (2007). Assessing mobility characteristics and activity levels of manual wheelchair user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4(4), 561-571. DOI:10.1682/jrrd.2006.02.0017 

  16. ESRI. (2019). Generate Tessellations, https://doc.arcgis.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