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EM을 기반으로 한 흐름방향 모의기법에 따른 배수구조의 변동성 해석
Analysis of Variation for Drainage Structure with Flow Direction Methods on the Basis of DEM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4 no.4, 2018년, pp.391 - 398  

박혜숙 (대전보건대학교 환경보건과) ,  김주철 (충남대학교 국제수자원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d recommend the more reliable flow direction methods within the framework of DEM and power law distribution, by investigating the existing methodologies. To this end SFD (single flow direction method), MFD (multiple flow direction method) and IFD (Inf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각 흐름방향방법별 흐름누적산정 결과를 멱함수 법칙분포(power law distribution)에 적합하여 해당 흐름방향 모의기법들이 가지고 있는 유출응집구조의 특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세 가지 흐름방향방법의 조합을 통하여 흐름의 분산효과와 응집효과를 지표면의 형상에 따라 구분하여 모의함으로써 보다 실제 물 입자의 유동에 가까운 흐름 모의를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흐름방향방법별 차이점에 대한 검토가 선행 연구과정(Rampi et al.
  • 본 연구에서는 SFD, MFD 및 IFD를 설마천 시험유역 내 전적비교 유역의 흐름방향 모의에 적용하고 각 방법별 차이점을 흐름누적의 변동성에 주목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흐름누적산정 결과에 대하여 멱함수 법칙분포 적합을 수행하여 각 방법별 유출응집구조의 특성을 검토해 보았으며 흐름방향방법들의 조합을 통하여 보다 실제 흐름에 가까운 흐름모의를 시도해 보았다.
  • 본 연구의 주목적은 전술한 SFD, MFD 및 IFD를 실제 유역의 배수 구조 추출과정에 적용하고 각 방법별 차이점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흐름방향 모의기법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각 흐름방향 방법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함께 이를 기반으로 산정되는 흐름누적(flow accumulation)의 변동성에 주목하여 보았다.
  • SAGA는 open source 형태의 free software로서 유역의 지형분석을 위하여 개발된 다양한 모의기법들을 조합하여 순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지형분석 tool kit의 일종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세 가지 흐름방향방법(SFD, MFD, IFD)을 교차 적용하여 동일한 유역의 배수구조가 가질 수 있는 변동성을 검토하여 보았다. Fig.
  • 이를 위하여 각 흐름방향 방법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함께 이를 기반으로 산정되는 흐름누적(flow accumulation)의 변동성에 주목하여 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각 흐름방향방법별 흐름누적산정 결과를 멱함수 법칙분포(power law distribution)에 적합하여 해당 흐름방향 모의기법들이 가지고 있는 유출응집구조의 특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세 가지 흐름방향방법의 조합을 통하여 흐름의 분산효과와 응집효과를 지표면의 형상에 따라 구분하여 모의함으로써 보다 실제 물 입자의 유동에 가까운 흐름 모의를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여기서 흐름누적은 SFD의 경우 상류배수면적 A와 동일한 의미를 갖지만 MFD와 IFD의 경우 흐름의 분산으로 인하여 A보다는 응집된 유량에 보다 가까운 개념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MFD와 IFD에 따른 흐름누적 역시 지점별 A와 동일한 의미로 가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8-흐름방향방법이 가지는 구조적 단점은? 이 방법은 흐름의 분할방식에 따라 단일흐름방향방법(single flow direction method, SFD)(O'Callaghan and Mark, 1984)과 다중흐름방향방법(multiple flow direction method, MFD)(Quinn et al, 1991)의 범주로 분류되는데 전자의 경우 완만한 경사 지역에서는 흐름의 분산(dispersion)을 모의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후자는 급경사 지역에서 흐름의 분산이 과도하게 계산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Tarboton (1997)은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주요한 원인으로서 8-흐름방향방법이 갖는 구조적인 단점을 언급한 바 있는데 특히 물 입자의 흐름방향을 각기 45°씩 떨어진 8개의 고정된 방향으로 이산화(discretization)함으로써 계곡(valley)과 같이 오목한 형태의 수렴지형(convergent topography)의 모의에는 비교적 적합하지만 구릉지사면(hillslope)과 같이 볼록한 형태의 발산지형(divergent topography)의 모의에는 한계를 가짐을 보고한 바 있다.
8-흐름방향방법의 분류는? 현재 대부분의 수문학적 실무에서 DEM을 이용한 물 입자의 유동 모의에는 주로 8-흐름방향방법(8-flow direction method)이 적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흐름의 분할방식에 따라 단일흐름방향방법(single flow direction method, SFD)(O'Callaghan and Mark, 1984)과 다중흐름방향방법(multiple flow direction method, MFD)(Quinn et al, 1991)의 범주로 분류되는데 전자의 경우 완만한 경사 지역에서는 흐름의 분산(dispersion)을 모의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후자는 급경사 지역에서 흐름의 분산이 과도하게 계산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Tarboton (1997)은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주요한 원인으로서 8-흐름방향방법이 갖는 구조적인 단점을 언급한 바 있는데 특히 물 입자의 흐름방향을 각기 45°씩 떨어진 8개의 고정된 방향으로 이산화(discretization)함으로써 계곡(valley)과 같이 오목한 형태의 수렴지형(convergent topography)의 모의에는 비교적 적합하지만 구릉지사면(hillslope)과 같이 볼록한 형태의 발산지형(divergent topography)의 모의에는 한계를 가짐을 보고한 바 있다.
DEM을 기반으로 한 지리정보처리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생긴 변화는? DEM을 기반으로 한 지리정보처리 기술의 발전은 유역의 각종 지형학적 인자들에 대한 자동추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O'Callaghan and Mark (1984)가 수로를 형성하기 위한 한계지지면적(critical threshold area)의 개념을 제시한 이래 DEM 상에서 물 입자의 유동을 모의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지속적으로 제시되어 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lauset, A., Shalizi, C. R., and Newman, M. E. J. (2009). Power-Law Distributions in Empirical Data, Siam Review, 51(4), 661-703. 

  2. Gregory, E. T., Catani, F., Rinaldo, A., and Bras, R. L. (2001). Statistical Analysis of Drainage Density from Digital Terrain Data, Geomorphology, 36, 187-202. 

  3. Kim, J. C., Kang, H., and Jung, K. S. (2016). Analysis of Drainage Structure for River Basin on the Basis of Power Law Distribu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9(6), 495-507. [Korean Literature] 

  4. Kim, J. C. and Kim, J. H. (2007). Morphological Representation of Channel Network by Dint of DE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0(4), 287-297. [Korean Literature] 

  5. Moglen, G. E. and Bras, R. L. (1995). The Importance of Spatially Heterogeneous Erosivity and the Cumulative Area Distribution Within a Basin Evolution Model, Geomorphology, 12, 173-185. 

  6. O'Callaghan, J. F. and Mark, D. M. (1984). The Extraction of Drainage Networks from Ddigital Elevation Data, Computer Vision,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28, 324-344. 

  7. Quinn, P., Beven, K., Chevallier, P., and Planchon, O. (1991). The Prediction of Hillslope Flow Paths for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ing Using Digital Terrain Models, Hydrological Processes, 5, 59-79. 

  8. Rampi, L. P., Knight, J. F., and Lenhart, C. F. (2014). Comparison of Flow Direction Algorithms in the Application of the CTI for Mapping Wetlands in Minnesota, Wetlands, 34(3), 513-525. 

  9. Tarboton, D. G. (1997). A New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Flow Directions and Upslope Areas in Grid Digital Elevation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33(2), 309-319. 

  10. Vicente, M. L., Bielsa, C. P., Montero, T. L., Lamban L. J., and Navas, A. (2014). Runoff Simulation with Eight Different Flow Accumulation Algorithms: Recommendations Using a Spatially Distributed and Open-source Model,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62, 11-21. 

  11. Wolock, D. M. and Gregory, J. M. Jr. (1995). Comparison of Single and Multiple Flow Direction Algorithms for Computing Topographic Parameters in TOPMODEL, Water Resources Research, 31(5), 1315-132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