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계의 안전성 검토(DFS) 업무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공동주택 건설공사의 단위작업별 재해위험성 평가
Disaster Risk Assessment by Work Unit of Construction Work for Improve the Efficiency of Design for Safety Task

大韓建築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構造系, v.34 no.6 = no.356, 2018년, pp.45 - 53  

김진원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재준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struction work to establish a safety management plan should be carried out Design for Safety(DFS) task by the designers from May 2016 according to the amendment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However, designers lack experience in construction work and lack of information on saf...

주제어

참고문헌 (13)

  1. Bang, J. D., Sohn, J. R., Cho, G. H., Kim, J. W., Noh, Y. Y., Lee, K. R., Kim, S. M., & KI, J. I. (2016).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Guideline for Accident Prevention in LH Construction Site, Land & Housing Institute. 

  2. Hong, S. H. (2004). The Development of a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Model using the Concept of Design for Safety, Chung-Ang University. 

  3. Joo, H. J. (2009). A study on the Analysis of Problems in the Architectural Design Competition by Means of the Analysis Method FMEA, Hanyang University. 

  4. Kim, J. W., Cho, G. H., Song, S. H., Bang, J. D., & Sohn. J. R. (2016). Analysis of Unit-works for Design for Safety in Construction Work; Focus on Construction Project of OO Coporation, Land & Housing Institute Journal, 7(4), 315-322. 

  5. Ko, S. S. (2007). A Study on Evaluation of Influence Factors about the Construction Delay Applying FMEA in Apartment Housing, Hanyang University. 

  6. Kwon, O. M. (2015). Deduction of Accident Cause for Tower-crane using FMEA Method, Hanyang University. 

  7. Lee, S. O. (2010). Analysis of Major Delay Factors in Finishing Works of Tall Buildings Based on FMEA, Sejong University. 

  8. Lee, D. Y. (2015). Analysis of Delay Factors in Irregular-Shaped Tall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Koera University. 

  9.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2016).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15. 

  10.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2015).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Act No.13324, May 18, 2015. 

  11. Samelson, N. M., & Levitt. R. E. (1982). Owner's Guidelines for Selecting Safety Contra Journal of the Construction Division,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28(3), 417-423. 

  12. Seo, J. P. (2012). Evaluation of Impact Assessment of the Cost Risk-Factor for the Design-Build Projects Based on FMEA, Soongsil University. 

  13. Yu, J. H., Song, J. W., & Kim, C. D. (2008).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using FMEA Technique for Selecting Priority Order,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9(6), 185-1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