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on resilience of new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1,033 new nurses with careers of less than 12 months and who were from 43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Incheon, other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4.0 program. Results: Relation-oriented culture was scored highest fo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by new nurses (3.35), followed by hierarchy-oriented culture (3.19), innovation-oriented culture (3.12), and task-oriented culture (2.73). The score for resilience of the new nurses was 3.49, and the first subcategories we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3.66, self-positivity 3.45, and self-control ability 3.36. Relation-oriented culture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이직률이 심각한 현실에서 간호조직문화가 신규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신규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제고에 긍정적인 간호조직문화 형성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신규간호사들 | 신규간호사들은 어떠한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는가? |
병원현장에서 실무에 대한 높은 기대와 현실과의 차이에서 오는 갈등과 더불어 간호업무에서 요구되는 직무지식 및 기술, 3교대 근무, 간호행위에 대한 책임의 한계증가, 동료들 간의 복잡한 대인관계, 환자 및 보호자와의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신규간호사들은 병원현장에서 실무에 대한 높은 기대와 현실과의 차이에서 오는 갈등과 더불어 간호업무에서 요구되는 직무지식 및 기술, 3교대 근무, 간호행위에 대한 책임의 한계증가, 동료들 간의 복잡한 대인관계, 환자 및 보호자와의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4]. 그러나 신규간호사는 실무 적응 과정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비롯한 정신적 긴장상황 및 부정적 심리문제를 경험하지만 모든 신규간호사가 이를 같은 강도의 스트레스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
간호사의 부족현상 | 간호사의 부족현상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
전 세계적인 이슈로 특히 간호대학을 졸업하고 처음병원에 입사한 신규간호사가 취업한지 1년이 채 안되어 이직을 하므로, 간호사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신규간호사는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인적자원이라 할 수 있다
간호사의 부족현상은 전 세계적인 이슈로 특히 간호대학을 졸업하고 처음병원에 입사한 신규간호사가 취업한지 1년이 채 안되어 이직을 하므로, 간호사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신규간호사는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인적자원이라 할 수 있다[1]. 우리나라의 경우 2016년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5년 1년 이내에 이직한 신규간호사 비율은 33. |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 |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의 주요 요인인 직무 스트레스의 특징은 무엇인가? |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이직의도가 높고[5], 연령은 25세 이하가 26세 이상보다 직무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6], 신규간호사는 업무에 익숙해지기까지 자신의 업무능력과 자신감 부족에서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느꼈다[7]. 직무 스트레스가 관리되지 않으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업무 능력이 저하되어 직무 불만족과 낮은 조직몰입으로 연계된다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직무 스트레스가 제시되고 있다[5].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이직의도가 높고[5], 연령은 25세 이하가 26세 이상보다 직무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6], 신규간호사는 업무에 익숙해지기까지 자신의 업무능력과 자신감 부족에서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느꼈다[7]. 직무 스트레스가 관리되지 않으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업무 능력이 저하되어 직무 불만족과 낮은 조직몰입으로 연계된다[8].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