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피로, 공감만족, 소진 비교
A Study about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Burnout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and General Ward Nurse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2, 2018년, pp.188 - 196  

이영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이현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정진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양진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간호팀) ,  이지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김선경 (분당서울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burnout between nurses working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 and general ward. Methods: The subjects were 35 nurses in general ward and 42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외과 병동 중심으로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피로, 공감만족, 소진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는 보다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기대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환자의 권리가 향상되고 의료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환자는 보다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기대하게 되었고[1], 과거 진료나 치료 결과에 치중해서 평가되던 의료서비스의 질은 오늘날 환자안전을 비롯한 환자만족도, 정보제공 및 의사결정 참여도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으며[2,3] 의료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정보화 등으로 무한경쟁 속에 처한 의료기관은 의료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의료서비스의 질 개선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병동간호사의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해결책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어느 정도의 직무 스트레스는 간호사의 역할 수행에 도움이 되고 개인의 성장과 생산성 증가에 원동력이 되지만, 스트레스가 관리되지 않고 만성적으로 누적되면 소진이 발생하여 간호사 자신 뿐만 아니라 환자간호서비스의 질 저하 등 업무 및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7]. 간호 ‧ 간병통합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주로 환자 만족도, 간호사의 업무와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에 대해 이루어졌으며, 오늘날 질적 간호의 필수 요소인 간호사의 공감력과 공감만족, 공감피로는 일부 병동 또는 특수부서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있었으나,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를 시행하는 병동간호사의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소진이란 무엇인가? 입원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는 환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으므로 환자의 고통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고, 이러한 환자들을 간호하고 돕는 과정에서 부정적인 정서인 공감피로가 흔히 발생한다[8]. 공감피로는 소진을 증가시키는데[9], 소진은 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해결되지 않고 지속될 때 발생하는 신체적, 심리적 증후군이며 소진된 간호사는 탈진, 좌절, 우울, 환자에 대한 냉담함 등의 증상을 겪는다. 간호사는 업무특성상 스트레스가 높기 때문에 소진에 민감한 직업이며, 간호사의 소진은 직무만족도를 떨어뜨리고 높은 이직률과 간호의 질 저하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ung Y. Compare patient right and consumer right in medical field.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7;27(1):3-17. 

  2. Han WJ. Trends and current issues in health services quality improvement: Case of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008;14(2):101-114. 

  3. Park B. Changes in healthcare environment and hospital management insight.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17;22(1):61-66. 

  4. Lee MA. A study of nursing services quality, general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s, and revisiting intent of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3):362-372. 

  5. Lee MA, Gong SW, Cho SJ. Relationship among nursing service quality,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and hospital revisit int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 18(1):96-105. 

  6. Park JS. The relationship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patient's perceived quality,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04;9(4):45-69. 

  7. Rho EK, Oh SH. The relationships between patient's perceived quality of healthcare service and intention to re-vis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 14(2):176-181. 

  8. Han MY, Lee MS, Bae JY, Kim YS.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2):193-202.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2.193 

  9. Lee JM, Yom YH. Effects of work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5):689-697.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5.689 

  10.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tegrated nursing care guidelines.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 

  11. Division of Health Insurance Polic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lease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ld "Hospital director policy meeting" by region. Seje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March 17. 

  12. Kim JK. Job satisfaction and patient satisfaction related to nurse staff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1):98-108. 

  13. Yeun YR. Effects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on the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among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1):317-323. https://doi.org/10.5762/KAIS.2015.16.1.317 

  14. Ko YK, Kim BJ. An analysis of nurse staffing level and nursing performance in the general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4):413-420. 

  15. Lee JM. Comparative study about the clinical nurse’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between a nursing care system wards and a general wards. Journal of Social Science. 2016;33 (1):1-48. 

  16. Lee MK, Jung DY. A study of nursing tasks,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3): 287-296.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3.287 

  17. Yoon GS, Kim SY. Influences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4):507-516. 

  18. Lee MO. A study of coping strategi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between general ward nurses and special ward nurses [master's thesis]. Incheon: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2006. p. 1-91. 

  19. Figley CR. Compassion fatigue as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an overview. In: Figley CR, editor.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Philadelphia, PA: Brunner/ Mazel; 1995. p. 1-20. 

  20. Stamm BH. The concise ProQOL Manual. 2nd ed. Pocatello, ID: ProQOL.org; 2010. 

  21. Cho HJ, Jung MS. Research trends on compassion fatigue in Korea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4;21(3): 255-264. https://doi.org/10.5953/JMJH.2014.21.3.255 

  22. Lee HJ, Min HS. The influential factors on compassion fatigue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4; 21(3):236-245. https://doi.org/10.5953/JMJH.2014.21.3.236 

  23. Kim J, Lee TW. The influence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6;22(2):109-117. 

  24. Park KO, Yu M, Kim JK. Experience of nurses participating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1):76-89.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1.76 

  25. Lee E, Chang SS.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nurses amo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6;25(4):340-351. https://doi.org/10.5807/kjohn.2016.25.4.340. 

  26. Kim HJ, Yom Y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based on CS-CF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3):259-269. https://doi.org/10.4040/jkan.2014.44.3.259 

  27. Burtson PL, Stichler J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e caring: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al fact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8):1819-1831.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0.05336.x 

  28. Wu S, Singh-Carlson S, Odell A, Reynolds G, Su Y.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among oncology nurse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Oncology Nursing Forum. 2016;43(4):E161-E169. https://doi.org/10.1188/16.onf.e161-e169 

  29. June KJ, Byun SW. Nurse's burnout research throughout the past 10 yea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3):305-313. 

  30. Oh YJ, Choi YH. Effects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burnout on somatization in nurses: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10):415-424. https://doi.org/10.14400/JDC.2015.13.10.4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