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공감피로, 공감만족 및 간호조직문화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Burnout in Integrated Nursing Care Units Nurs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9, 2021년, pp.684 - 695  

김미수 (동탄성심병원) ,  신동수 (한림대학교 간호대학) ,  최용준 (한림대학교 의과대학.보건과학대학원) ,  이종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이윤정 (춘천성심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공감피로, 공감만족 및 병동의 간호조직문화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에 있다.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3개 종합병원의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 17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데이터는 t-test, ANOVA, Scheffé, Pearson's correlation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소진은 이직의도, 근무 만족도, 건강 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진은 공감피로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공감만족 및 관계지향적 문화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공감피로, 공감만족, 관계지향적 문화, 연령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였고 연령이 낮을수록 소진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연령이 낮은 간호사 집단의 공감피로를 감소시키고 공감만족과 관계지향 문화의 긍정적인 면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burnout in integrated nursing care units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170 nurses working in integrated nursing care units of three general hospitals located 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공감피로, 공감만족 및 간호조직문화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단면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공감 피로, 공감만족 및 간호조직문화를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들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공감피로, 공감만족 및 병동의 간호조직문화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에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신경아, "노인 돌봄의 탈가족화와 노인의 경험: 재가노인과 시설거주 노인의 경험 연구," 한국사회학, 제45권, 제4호, pp.64-96, 2011. 

  2. 신동수, 성명숙, 박상연, 함옥경, "간병인의 업무수행과 관리현황에 대한 급성기 병원 간호사의 인식,"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4권, 제1호, pp.247-258, 2012. 

  3. 곽찬영, 김신정, 강경아, 임은실,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간병인 관리 현황 및 문제점,"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5권, 제2호, pp.827-839, 2013. 

  4. https://www.nhis.or.kr/nhis/index.do 

  5. 정영훈, "보건의료현장에서 환자의 권리와 의료소비자로서의 권리 비교," 보건행정학회지, 제27권, 제1호, pp.3-17, 2017. 

  6. C. L. Cooper, Theories of organizational stress, Oup oxford, 1998. 

  7. 어용숙, "임상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 소진 및 이직의도간의 경로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7권, 제3호, pp.1683-1697, 2015. 

  8. 임덕순, 조복희,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강인성 및 소진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20-127, 2007. 

  9. 한수정, "병원 간호조직문화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8권, 제3호, pp.441-456, 2002. 

  10. 김신향, 양윤서, "국내 간호사의 소진과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8호, pp.387-400, 2015. 

  11. C. R. Figley,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Routledge, 2013. 

  12. B. Sabo, "Reflecting on the concept of compassion fatigue,"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Vol.16, No.1, pp.1-19, 2011. 

  13. B. H. Stamm, "Measuring compassion satisfaction as well as fatigue: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fatigue test," Treating compassion fatigue, Vol.1, pp.107-119, 2002. 

  14. 김봉희, 강희영,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9권, 제5호, pp.459-469, 2018. 

  15. 김소은, 한지영,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감정노동, 간호업무수행 및 소진," 간호행정학회지, 제23권, 제3호, pp.336-345, 2017. 

  16. 김연실, 박정애, 서은경,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소진 및 간호업무성과 비교," 스트레스硏究, 제27권, 제1호, pp.46-52, 2019. 

  17. 이영미, 이현희, 정진희, 양진기, 이지은, 김선경,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공감피로, 공감만족, 소진 비교," 임상간호연구, 제24권, 제2호, pp.188-196, 2018. 

  18. 한미영, 이민숙, 배주영, 김영숙,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93-202, 2015. 

  19. 전연진, 성미혜,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사건 경험, 공감피로, 자아존중감, 공감만족 및 소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3권, 제2호, pp.80-88, 2014. 

  20. 최희강, 박지선, 박미정, 박보배, 김예슬, "어린이병원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간의 관계," 한국아동간호학회지, 제23권, 제4호, pp.459-469, 2017. 

  21. 이현정, 김지영, "정신간호사의 이차성 외상 스트레스와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25권, 제4호, pp.399-408, 2016. 

  22. 서영숙, 손유림,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피로와 소진과의 관련성,"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제1권, 제3호, pp.11-20, 2013. 

  23. 김문실, 한수정, 김지현, "간호조직문화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75-184, 2004. 

  24. C. Maslach and S. E. Jackson,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 No.2, pp.99-113, 1981. 

  25. 최혜윤,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심리적 소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6. 정혜림, 임경희,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491-506, 2016. 

  27. 김세라, 전미경, 황진희, 최애란, 김인숙, 편미경, 문경은, 김민희, 신나라, 이순행, "다차원적 요인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제23권, 제1호, pp.9-19, 2017. 

  28. 강문희, 권명진, 윤순영, "임상간호사의 자아효능감, 간호조직문화 및 감정노동,"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66-273, 2012. 

  29. 전꽃비, 박미현,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말기 환자간호의 어려움과 도덕적 고뇌, 소진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제25권, 제1호, pp.42-51, 2019. 

  30. 백윤미, 김숙영, "간호사의 업무 강도, 대인관계 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 및 매개 효과," 임상간호연구, 제26권, 제3호, pp.275-284, 2020. 

  31. 현일선, 이소영,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 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21권, 제3호, pp.353-359, 2020. 

  32. 임민경, 성영희, 정정희, "수술실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조직문화 유형, 셀프리더십 및 소진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70-180, 2017. 

  33. 이현정, 민혜숙, "병원간호사의 공감피로 영향요인,"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36-245, 2014. 

  34. 이은영, 유양경, "공공병원의 간호조직문화와 직장내괴롭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제49권, 제1호, pp.91-115, 2018. 

  35. 정희진, 안성희, "간호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간호행정학회지, 제25권, 제3호, pp.157-166, 2019. 

  36. 조은주,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임종간호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공감피로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37. 김경희, 이종은,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의사소통효능감을 중심으로," 재활간호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24-133, 2019. 

  38. 이연복, 이혜경,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11호, pp.491-500, 2018. 

  39. 조호진, 정면숙, "간호사의 공감피로에 관한 국내연구동향,"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55-264, 2014. 

  40. 강순정, "병원간호사의 관계지향 간호조직문화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 임파워먼트, 직무 스트레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간호행정학회지, 제19권, 제3호, pp.372-381, 2013. 

  41. 전소영, 하주영,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사건 경험과 전문직 삶의 질 및 신체적 증상,"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제1호, pp.64-73, 2012. 

  42. 장수민, 김희숙, 박경란,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 한국간호과학회 추계학술대회, p.311, 2020. 

  43. A. Aryankhesal, R. Mohammadibakhsh, Y. Hamidi, S. Alidoost, M. Behzadifar, R. Sohrabi, and Z. Farhadi, "Interventions on reducing burnout in physicians and nurses: A systematic review," Medical journal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Vol.33, No.1, pp.77-84,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