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임종간호 태도에 관한 연구
Intensive Care Unit Nurses' Death Perception, End of Life Stress and End of Life Nursing Attitude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2, 2018년, pp.255 - 262  

김세라 (서울아산병원) ,  노미진 (서울아산병원) ,  문경은 (서울아산병원) ,  조희주 (서울아산병원) ,  박영 (서울아산병원) ,  이남주 (서울아산병원) ,  이순행 (서울아산병원 PI팀) ,  심미영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간호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view of life and death among ICU nurses and to analyze the problems related to end-of-life care in the current ICU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975 nurses work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s of 16 general hospitals.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임종간호 태도를 확인하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 그램이나 교육의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 임종간호 태도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임종간호를 하면서 겪는 임종 간호 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4.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태도 및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라 확인하고 각 개념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특히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였다.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 정도는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임종간호 태도와 임종간호 스트레스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죽음인식과 임종간호 태도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죽음인식 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간에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인식, 임종간호 스트레 스, 임종간호 태도,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또한 국외에서도 Liverpool Care Pathway와 같은 다학제적인 임종 환자에 대한 접근 연구[8]는 활발하지만 간호만으로 이루어진 임종 환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대상자 특성에 따른 죽음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임종간호 태도를 확인하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교육 및 임종간호 스트레스 힐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은 어떤 장소인가? 특히, 중환자실은 고도의 의료지식과 첨단 의료장비를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곳이다. 또한 위중한 상황에서 중증도가 높고 생과 사의 갈림길에 놓인 환자 및 가족들이 이용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간호사가 죽음인식이 높다면 어떤것을 제공할 수 있는가? 죽음에 대한 인식이란 한 개인이 죽음에 대해 느끼고 있는 감정과 인지, 개인적 신념을 포괄하는 복합적 개념으로 개인의 가치관과 경험에 따라 개인마다 다르다. 만약 간호사가 죽음인식이 높다면 임종 환자에게 전인간호를 제공하여 환자의 죽음에 대한 불안을 낮추고 수용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으며, 동시에 임종 환자의 존엄성을 지켜주는 적절한 임종간호를 제 공할 수 있게 된다[4]. 
눈부신 의학의 발전과 첨단 의료장비 사용으로 인한 생명연장이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가? 그러나 현대사회는 눈부신 의학의 발전과 첨단 의료장비 사용으로 인위적인 생명연장이 가능해지면서 사망률 감소,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의식이 없는 채로 인공호흡기, 신장 투석기 등 생명유지 장치에 의존하면서 연명치료를 받는 환자들이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에서 사망하는 환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병원 내에서 환자와 가장 가까이 있는 간호사가 죽음을 많이 접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No YJ. Hospice & death. Seoul: Hyunmoonsa; 1994. 

  2. Chun SC, Kim CJ, Choi OS, Yoo JS, Chun KA. Attitudes of nursing student and nurses towards death and the dying patient. Review of Nursing Science. 1976;1:117-146. 

  3. Kim SY, Hur SS, Kim BH. Study of subjective view on the meaning of well-dying held by medical practitioners and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4;17(1):10-17. https://doi.org/10.14475/kjhpc.2014.17.1.10 

  4. Kang JH, Han SJ. A study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3;16(2):80-89. https://doi.org/10.14475/kjhpc.2013.16.2.080 

  5. Kang SY, Lee BS.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1;7(2):237-251. 

  6. Higuchi K. Death preparation education. Lee WH, translator. Seoul: Moonumsa; 1995. 

  7. Braun M, Gordon D, Uziely B. Associations between oncology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and caring for dying patients. Oncology Nursing Forum. 2010;37(1):E43-E49. https://doi.org/10.1188/10.ONF.E43-E49 

  8. Ramasamy Venkatasalu M, Whiting D, Cairnduff K. Life after the Liverpool Care Pathway (LCP): A qualitative study of critical care practitioners delivering end-of-life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5;71(9):2108-2118. 

  9. Inumiya Y. A study on development of a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and relationships among its element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02. p. 1-97. 

  10. Lee YO. A study of cancer unit nurses' stress from bereavement support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4. p. 1-70. 

  11. Frommelt KH.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nurses' attitudes toward caring for terminally ill person and their families. Americ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Care. 1991;8(5): 37-43. https://doi.org/10.1177/104990919100800509 

  12. Cho HJ, Kim ES.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5;8(2):163-172. 

  13. Thorson JA, Powell FC. A revised death anxiety scale. Death Studies. 1992;16(6):507-521. https://doi.org/10.1080/07481189208252595 

  14. Iranmanesh S, Savenstedt S, Abbaszadeh A. Student nurses' attitudes towards death and dying in south-east Iran.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2008;14(5):214-219. https://doi.org/10.12968/ijpn.2008.14.5.29488 

  15. Woo YH. A study on death anxiety,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2. p. 1-66. 

  16. Kim S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sive care unit nurses' death percep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ersity; 2011. p. 1-53. 

  17. Ali WG, Ayoub NS. Nurses' attitude toward caring for dying patient in Mansoura University Hospitals. Journal of Medicine and Biomedical Sciences. 2010;1(1):16-23. 

  18. Mallory JL. The impact of a palliative care educational component on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in under 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03; 19(5):305-312. 

  19. Yoon YA. Clinical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end of life care stress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0. p. 1-44. 

  20. Deffner JM, Bell SK. Nurses' death anxiety, comfort level during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families regarding death, and exposure to communication education: A quantitative study.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2005;21 (1):19-23. 

  21. Kim EJ. Factors influencing nurses' attitude of life care: With nurses in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and intensive care unit as subjects [master's thesis].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2. p. 1-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