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글쓰기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글쓰기 전략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 전공 학생 중심으로 -
The affect of Writing Programs on the Writing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th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8 no.1, 2018년, pp.45 - 54  

백영림 (두원공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모바일 언어를 주 의사소통으로 사용하는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들에게 글쓰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 7명에게 주 1회, 2시간씩 총 10회기 동안 글쓰기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추천된 도서를 읽은 후 독후감으로 총 2회 원고지 작성을 하게 한 후 첨삭 지도를 실시하였다. 글쓰기 프로그램을 통한 글쓰기 전략에 대한 변화는 자가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원고지 작성에 대한 변화는 첨삭 지도 횟수를 확인하였다. 결과 : 자가 설문 결과 참여자들은 글쓰기 프로그램 참여 후 글의 논리적인 면이나 글의 일관성을 생각하게 되었고 글을 쓴 후 문법적인 면을 검토하고 문장을 수정하게 되었다는 내용의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첨삭 지도 횟수도 1차 첨삭 지도 횟수보다 2차 첨삭 지도 횟수가 평균 7회 이상 줄어들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에게 중요한 직무 중 하나인 문서 작성을 위해 보다 논리적이고 문법적인 면에서 오류가 없는 글을 작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job tasks to write to occupational therapist, so I want to apply the writing program to the students who use mobile language as the main communi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7 freshman students for a total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글쓰기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글쓰기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가져 오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설문지는 Han(2008)이 한국 대학생들의 쓰기 전략 분석에서 사용한 설문지(O’Malley& Valdez, 1996; Raimes, 1983; Zamel, 1983)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취지에 맞도록 문항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문장 및 문단 익히기, 다양한 표현법 익히기, 어문 규범에 맞는 글쓰기, 원고지 사용법 익히기, 글쓰기 절차 익히기 등으로 구성된 ‘NCS 기반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실용 글쓰기 클리닉’이라는 교재를 통해 주 1회 2시간씩 총 10회기 동안 글쓰기 프로그램과 함께 총 2회에 걸친 원고지 작성 후 첨삭 지도를 실시하여 글쓰기 프로그램이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글쓰기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특히 SNS의 등장으로 요즘의 대학생들은 공적 글쓰기와 사적 글쓰기를 구별하지 못하고 공적 글쓰기가 요구되는 리포트나 시험지 답안지에도 사적 글쓰기를 하는 학생들 을 자주 볼 수 있다(주간조선, 20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언어가 주 의사소통인 대학생들의 문법적 오류, 접속어 오류 등 형식적인 오류 등을 확인하고 많은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글쓰기 프로그램이 작업치료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의 글쓰기 전략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많은 대학교에서 전공 교과 외의 과정으로 시행하고 있는 글쓰기 프로그램을 작업치료를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이 과정을 통해 대학생들이 여러 차례에 걸쳐 문장을 다듬거나 어휘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법적 오류, 접속어 오류 등을 확인․수정하는 글쓰기 전략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OAP란? 또한 Lee, Jang, Woo와 Yoon(2014)의 연구에 따르면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이 임상 실습을 나가기 전 준비해야 하는 기술로 교수와 임상실습 교육자 모두 임상관찰 기록지(SOAP)를 작성하고 읽고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SOAP은 많은 건강관리 전문가들이 환자에게 행하는 것들을 기록하는 일반적인 양식으로 주관적(Subjective), 객관적(Objective), 평가(Assessment), 중재계획(Plan)의 머리글자를 의미한다(최혜숙 등, 2016). 이런 SOAP를 비롯한 작업치료 영역에서의 문서화는 다른 보건의료 전문가, 보험 등의 제 3의 지불인과의 의사소통 뿐 만아니라 팀 구성원 간에 중재를 계획하고 의사소통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과정으로, 이는 가독성이 있어야 하고 간결하며 정확하고 완전해야 하며, 문법적으로도 적절하고, 객관적으로 체계화되어야 한다 (Jang et al.
작업치료에서 문서화는 무엇을 제공하는가? 작업치료에서 문서화란 서비스의 정확한 기록을 제공하며 임상가의 전문적 판단과 임상적 추론이 반영되므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정당성을 제공한다(Song et al., 2016).
글쓰기 프로그램이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글쓰기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는? 그 결과 글을 쓰기 전에 무엇을 쓸 것인가를 고민하게 되었고 논리적으로 주제와 관련된 아이디어들을 배열하게 되었으며 글을 쓸 때 문법, 철자, 어휘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문항과 글을 읽을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단어를 사용하려 했으며 글이 목적에 맞는지 생각하며 여러 차례 수정을 하게 되었다는 문항들에서 유의한 변화를 얻었다. 이러한 변화는 작업치료사에게 중요한 직무 중 하나인 문서 작업 직무와 매우 깊은 관련이 있지만 아직 이러한 직무 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김경미, 장기연, 이향숙, 장문영, 김환, 홍은경. (2016). 작업치료사 인력 양성 및 배출을 위한 정책제안 연구 결과 보고서. 서울: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 김희수, 최정선 (2016). NCS 기반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실용 글쓰기 클리닉. 서울: 동문사 

  3. 서대경 (역) (2017). 공부가 되는 글쓰기. 서울: 출판사 유유. 

  4. 오경균. (2009). 글쓰기 전략에 관한 연구: 표현 전략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전. 

  5. 주간조선. SNS가 몰고 온 새로운 글쓰기 텍스팅. Retrieved June 24, 2013, from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4&nNewsNumb002262100012. 

  6. 최혜숙, 강보선, 방요순, 송창순, 오혜원, 이정숙 외. (2016). 작업치료학 개론(제5판). 서울: 계축문화사. 

  7. Cha, Y. J., & Jeon, B. J. (2012). Job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ffecting Work Orient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Who Take CBR Based on the Regional Public Health Act: Focusing on Public Health Centers and Centers for Dementi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3), 41-53. 

  8. Choi, K. H., & Park, J. M. (2013). Consumer Needs Analysis for Cultual Korean Language Activation. 국어문학회, 54, 385-399. 

  9. Han, S. H. (2008). A Study of Writing Strategies of EFL Korean College Students. Published ma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10. Hwang, S. K. (2014). A Study about the Writing Influence of the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Ratio et Oratio, 7(1), 133-159. 

  11. Jang, M. Y., Kim, H., Kim, H. J., Lee, S. A., Jeon, B. J., Jung, N. H. et al. (2015). Introduction to Occupational Therapy. Seoul: a publishing company Jungdam. 

  12. Jeon, S. J. (2017). A Study on Instruction of Using Effective Colloquial and Literary Style. published ma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13. Jeong, E. H. (2014). A Analysis 3of the Formal Illformed Types in Writing of University Students - Problems of Phrases, Sentences, Paragraphs and Articles level.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8(1), 113-169. 

  14. Jeong, J. R. (2014). A Proposal for Improving of College writing class. Grammar Education, 22, 169-200. 

  15. Jeong, W. M., Park, C. S., & Hwang, Y. J. (2013). A Study on Job Competency of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Focusing on Job Analysis in Dementia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3), 15-29. 

  16. Ji, H. B., Ahn, M. A., & Kim, Y. C. (2013). The Reality and the Challenges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Seen Through the Writing Clinic Program.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7(4), 11-38. 

  17. Kan, H. B. (2017). The Effect of' Kakao Talk' Language on Writing for the College Students.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19, 39-60. 

  18. Kim, H. J., An, T. H., & Lim, J. A. (2016). The use aspect of the awkward sentence appearing in the college student writing. Urimal, 46, 1-21. 

  19. Kim, M. H.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Therapists that Stroke Patients Prefer. published ma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20. Kim, Y. S. (2012). Smart age, the change of the college writing education -Focused on' the social network service(SNS) writing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3), 249-279. 

  21. Lee, C. Y. (2015). View of Occupational Therapy Fieldwork Supervisor and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in Job : Focusing on Adult Occupational Therapists that Work on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7), 343-352. 

  22. Lee, H. S., Chang, K. Y., Woo, H. S., & Yoon, Y. Y. (2014). Preliminary Study of Clinical Training Standardiz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37-56. 

  23. Lee, H. S., Song, Y. J., Lee, M. Y., Woo, H. S., Kim, J. H., Cha, Y. J. et al. (2014). Preliminary Research for Standardization of Clinical Terminology System for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4), 121-133. 

  24. Lee, H. S., Yoon, Y. Y., Noh, C. S., & Song, J. C. (2017). A Study on the Derivation and Evaluation of Core Practice Competency for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5(4), 113-129. 

  25. Lee, J. H. (2014). Correct This Errors -Focusing on Dong-duk Women's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 . Ratio et Oratio, 7(1), 207-240. 

  26. Lee, K. J. (2006). Communication Problems and Solutions at the Health Care Facilities. Korean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care, 1(1). 33-45. 

  27. O'Malley, J. M., & Valdez, P. L. (1996). Authentic assessment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Practical approaches for teachers. Boston: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28. Park, E. W. (2010). Medical Jargon Used in Health Care Communication of Family Physicia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1, 453-460. 

  29. Park, S. l. (2009).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Writing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 Focused on the Writing-Consulting Program at Dong-guk University Writing Center. published ma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30. Raimes, A. (1983). Techniques in teaching writ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1. Shim, Y. D. (2007). The Correct Writing Strategy for College Students. Hanminjok Emunhak, 51, 687-720. 

  32. Song, H. J. (2015). An Analysis of Basic Grammar Evaluations for College Students' Writing.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35, 31-57. 

  33. Song, Y. J., Woo, H. S., Lee, H. S., Lee, M. Y., Kwon, Y. Y., & Cha, Y. J. (2016). A Study on Standard Terminology for Occupational Therapy Documentations Focusing on Korean-Type Medical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2), 111-124. 

  34. Zamel, V. (1983). The composing process for advanced ESL stduents: Six case studies. TESOL Quarterly, 17, 165-187.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