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린사슬운동과 닫힌사슬운동이 큰가슴근과 위팔세갈래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pen and Close Kinetic Chain Exercise on the Muscle Activity of Pectoralis Major and Tricep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5 no.1, 2018년, pp.52 - 61  

김주오 (베데스다병원 물리치료실) ,  장상훈 (김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pen and close kinetic chain exercise on the muscle activity of pectoralis major and triceps. Method: Twenty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were assessed three times over two week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K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그동안 하지에 비해 부족했던 상지 쪽의 연구 결과를 알아보고, CKCE와 OKCE를 비교하였을때 CKCE가 OKCE 보다 운동효과가 좋다고 생각하고, 두 군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작하였다. 그리고 자신에게 주어진 여가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를 원하는 사람들과 임상적으로 환자에게 적합한 운동과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인클라인 벤치프레스를 이용으로 CKCE를 실시하였을 때 큰가슴근(pectoralis major, PM)과 위팔세갈래근 (triceps, TR)를 운동한 것과 덤벨을 이용하여 OKCE를 실시하였을 때 인클라인 벤치프레스와 비슷한 환경을 만들어 PM과 TR을 운동한 것의 결과로 CKCE군과 OKCE군을 비교하여 어떤 군이 더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CKCE와 OKCE가 PM과 TR의 근활 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G 대학의 건강한 남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이 연구는 그동안 하지에 비해 부족했던 상지 쪽의 연구 결과를 알아보고, CKCE와 OKCE를 비교하였을때 CKCE가 OKCE 보다 운동효과가 좋다고 생각하고, 두 군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작하였다. 그리고 자신에게 주어진 여가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를 원하는 사람들과 임상적으로 환자에게 적합한 운동과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가설 설정

  • Mauchly의 구형성 검정의 결과 구형성이 가정되지 않아 PM의 MP는 다변량 검정을 실시하였고, PM의 PT, TR의 MP, PT는 구형성이 가정되어 개체-내 효과 검정을 실시하였다. (표 6)에서 PM의 MP는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아 기간의 주 효과를 보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 체중을 이용한 운동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운동종류에는 자기 체중을 이용한 운동방법, 기구를 이용하는 운동방법이 있다. 자기 체중을 이용한 운동 방법 중 앉았다 일어서기, 앉았다 뛰기, 등 넘어뛰기, 다리 앞뒤로 교대하기, 발뒤꿈치 들기와 기구를 이용한 운동방법 중 레그 프레스, 레그 컬등을 통해서 다양하게 운동이 가능하다. 신체배열에 따라 OKCE과 CKCE으로 구분된다(권유정 등 , 2012).
웨이트 트레이닝이 인기있는 신체 활동으로 각광받는 이유는? 최근 들어 웨이트 트레이닝은 아주 인기 있는 신체 활동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경기에 참가 하는 운동선수들의 숫자가 증가하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지만 가장 주된 원인은 일반인들이 신체단련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 것에 있다고 하겠다. 특히 웨이트 트레이닝은 근육을 발달시키고 또한 신체의 지방을 감소시켜 외모를 보기 좋게 만들기 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웨이트 트레이닝을 한다(장경태 외, 1992).
웨이트 트레이닝의 가장 뚜렷한 효과는 무엇입니까? 웨이트 트레이닝의 가장 뚜렷한 효과는 근육이 강해지고 부피가 증대되는 것이다. 또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실시하면 근육의 외양이 더욱 단단해져 보이며 근육이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 있더라도 왜소해 보이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구봉오 외 6명. 임상운동학 현문사, 2004;11-12. 

  2. 국민의 여가활동과 생활체육 참여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2012. 

  3. 권유정. 열린 사슬과 닫힌 사슬운동이 정상 성인의 동적 균형 능력과 근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8. 

  4. 권유정 외 2명. 열린사슬운동과 닫힌사슬운동이 정상 성인의 하지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2;7(2);173-182. 

  5. 김연주. 닫힌사슬운동이 전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의 슬관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6. 김형근. 닫힌사슬과 열린사슬에서의 하지저항운동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 활성도, 균형,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2011. 

  7. 문성종. 열린사슬운동 밒 닫힌사슬운동에서 상완굴곡 각도에 따른 앞톱니근의 근활성도 비교.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0. 

  8. 박경용. 벤치 프레스 운동 시 벤치 각도에 따른 대흉근의 근전도 분석.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3. 

  9. 박지환 외 32명. 정형도수 물리치료학 총론. 현문사, 2011;27-29. 

  10. 박혜리. 닫힌 힘 사슬과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이 발레 훈련 시 어린이의 근력, 균형 정렬 및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1. 배원식, 김지혁. 닫힌사슬운동과 열린사슬운동이 요부안정화근의 두께에 미치는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2013;1(2);67-80. 

  12. 서국응 외 5명. 생체역학. 부산: 으뜸사. 1996. 

  13. 석창엽 외 2명 열린사슬 운동과 닫힌사슬운동시내측 광근과 대퇴이두근의 근활성도 차이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8;12(3);115-128. 

  14. 위승두 외 2명. Closed kinetic chain 운동과 open kinetic chain 운동시 근육활성도와 피로반응 한국체육학회지. 1995;19;226-235. 

  15. 이홍연. 덤벨운동과 웨이트운동이 중년여성의 체력과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6. 임희성. 계단상.하 보행시 대퇴사두근의 근전도 분석. 건국 대학교 대학원. 1998. 

  17. 장경태, 이정숙. 웨이트 트레이닝. 서울: 경인문화사. 1992. 

  18. 장정훈(역). Kisner C &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5th Edition. 운동치료총론 서울:영문출판사. 2010. 

  19. 장준혁. 열린 사슬과 닫힌 사슬에서 위팔 바깥돌림 운동이 가시아래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20. 조정희 , 정소봉. 등장성 운동을 통한 폐쇄역학운동과 개방역학운동의 근 활성도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2011;40(4);633-643. 

  21. Brian D. D., Daniel J.C., & Christopher P.R. Areview of open vs.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for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Clin. Exer. Phys. 1999;1(2);57-63. 

  22. Enoka, R. M.. Muscle strength and its development. New poerspectives. Sports Med. 1998;6(3);146-168. 

  23. Hakkinen, K., Pakarinen, A., & Kraemer, W. J.(2001). Selective muscle hypertrophy change in EMG and force, and serum hormones during strength training in old women. J Appl physiol, 2001;91;569-580. 

  24. Y. J. Choi, H, J, Yu, Human Arm Motion Tracking based on sEMG Signal Processing, Journal of Contrl, Automation, and Systems Engineering, 2007;13(8); 769-7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