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 of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urticaria in case studies and to find the general tendency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and to establish the primary treatment direction of urticaria. Methods : In the domestic databases, Oriental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분석에 포함한 것은 한계점이 될 수 있지만, 실제 사용된 처방의 기본이 되는 기본처방을 분석에 포함하여 방향성을 보는 것 또한 의미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두드러기에 대한 한약 치료 증례 보고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증례를 모두 배제하면 증례 수가 너무 적어 경향성 파악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최대한 많은 논문을 포함시키고자 분석에 포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상의학적으로 환자를 두드러기를 치료한 논문은 배제하였다. 사상의학은 체질보다는 현재 나타나는 증상을 기반으로 처방을 선택하는 기존의 證治醫學과는 다르게 『東醫壽世保元』을 바탕으로 체질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正氣 (保命之主)를 중심으로 처방을 선택한다.
  • 이상으로 최근 20년간 두드러기 치료에 한약 치료를 위주로 시행한 국내 증례 보고를 정리하였다. 사용된 복합처방 및 개별 본초의 경향성, 병행된 타 한방치료, 두드러기 증상 평가에 사용된 평가 도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20년간 두드러기에 대해 국내에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처방 중 사상방을 제외한 처방을 분석하여 현재 임상에서 두드러기 치료에 어떠한 처방 및 본초를 다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전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여 두드러기의 일차적인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드러기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나? 두드러기는 크게 특별한 원인이 없는 자발성 두드러기(Spontaneous Urticaria)와 특정 물리적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유발성 두드러기(Inducible Urticaria)로분류되며 6주를 기준으로 유병기간이 6주 미만일 경우 급성, 6주 이상일 경우 만성으로 분류한다3). 
두드러기란? 두드러기는 피부의 진피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부종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질환으로 벌레에 물린 듯 피부가 몹시 가려우며 경계가 명확하고 홍색 또는 흰색으로 부어오르는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1). 전 인구의 20%는 일생에 적어도 한 번 이상의 경험하는 비교적 흔한 피부질환이며 대한민국에서 2017년 두드러기 상병(L50) 기준 2,519,197명의 환자가 요양기관에 내원하였다2).
두드러기는 주로 어떤 방식으로 진단하나? 두드러기는 피부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어 혈장 성분이 일시적으로 조직 내 축적되어 생기는 팽진과 발적, 가려움증이 특징적인 피부질환으로 때때고 혈관부종이 동반되기도 한다24). 보통 임상적으로 진단하며 타 질환 감별을 위해 간단한 혈액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Kye YC, Park YM, Sim WY, Lee JH, Kim MN, Song HJ, et al. Textbook of Dermatology. 6th ed. Seoul:the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2014.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ealthcare Bigdata Hub. Available from: URL:http://opendata.hira.or.kr/op/opc/olap3thDsInfo.do. 

  3. Kulthanan K, Tuchinda P, Chularojanamontri L, Chanyachailert P, Korkij W, Chunharas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urticaria. Asian Pac J Allergy Immunol. 2016;34(3): 190-200. 

  4. Paul S. Urticaria: Evaluation and Treatment. Am Fam Physician. 2011;83 (9):1078-84. 

  5. Seo HS, Yoon HJ, Ko WS, Kim KJ, Kim NG, Kim YB, et al. Text of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 & Surgery. 1st ed. Busan:Sunwo Publishing Co. 2007:376-80. 

  6. Song IB, Koh BH, Koo DM, Kim KY, Kim DL, Kim IH, et al. Four Constitutional Medicine. 2nd ed. Seoul:Jipmoondang. 2011. 

  7. Heo J. Donguibogam. Seoul:Bubin publishes. 2007. 

  8. Yoon JW, Yoon SW, Yoon HJ, Ko WS. The Clinical Study of Urticaria.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3; 16(2):152-76. 

  9. Yoon JC, Kim HJ, Kim YK, Cheong SS, Baek EK, Kim JM, et al. Four Case Reports of Chronic Urticaria.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3;17(6):1564-8. 

  10. Yoon SW, Kim MH, Yoon HJ, Ko WS. A Clinical study about the Effect of Sungmagalguntanggamibang on Urticaria.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4;17(3):61-79. 

  11. Hong EG, Kim BH, Shin JH, Nam HJ, Kim KS. The Effect of Gamisungmagalguntang (加味升麻葛根湯) on Chronic Urticaria Identified as "Wind Heat" Pattern.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3;26(4):60-9. 

  12. Kim HH, Choi JH, Park SY, Kim JH, Jung MY, Lim KM, et al. A Clinical Case Report of Chronic Urticaria Treated with Gagamtongcheong-san.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6; 29(4):189-98. 

  13. Kim CH, Sun YJ, Kim HG. A Case Report of chronic urticarial with cerebral hemorrhage. J Oriental Med Surgery Ophthalmol Otolaryngol. 2002;15(1):285-90. 

  14. Lee JH, Kim SY, Kim JH. Follow-up Study on Chronic Idiopathic Urticaria Patients Treated with Pyungweesangamibang.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6;29(1):168-73. 

  15. Kim KS, Kim YB. A Case of Idiopathic Cholinergic Urticaria Assosiated with Acquired Hypohidrosis by Herbal Medicine Applied Gejimahwanggakban-tang(桂枝麻黃各半湯).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9;22(3):220-7. 

  16. Tark MR, Kim MB, Byun SM, Ko WS, Yoon HJ. A Clinical Report on 39 Urticaria Patients Treated With The Ko-Bang(古方).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9;22(3):196-207. 

  17. Lee SH, Lee SK, Hong HJ, Lee CW, Jang YW. A Case Report of Cholinergic Urticaria Patient Using Oriental Medical Treatment with Melonis Calyx Vomiting Therapy.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7;30(3):220-30. 

  18. Choi BT, Kim HJ. Clinical Case of the Phlegm-retention Type Patient with Urticaria, Headache-Vertigo Symptom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8;22(1):252-55. 

  19. Lee AR, Cho AR, Han SR, Seo S, Park G, Han MH. The Effect of Gagamsunbangpaedok- tang on Chronic Urticaria.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6;29(4):156-68. 

  20. Kim HJ. Clinical Study of Chronic Urticaria. J Oriental Med Surgery Ophthal Otolaryngol. 2002;15(2):252-60. 

  21. Jerng UM, Jeong JS, Park JW, Yoon SW. A Clinical Case Report of Contrast-induced drug eruption patient Treated with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J Kor Oriental Oncol. 2007;12(1):75-82. 

  22. Kim JH, Kang DH, Kim JY, Lim HW, Kim JH, Kwon K. A Case of Urticaria and Angioedema Caused from Serum Sickness Reaction by Bee Venom.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1;24(3):138-46. 

  23. National Korean Medicine University Textbook Editing Board. Traditional Herbology. Seoul:Younglimsa.2011:10-8, 216-7,725-6,739. 

  24. Jang AS. Acute and Chronic Urticaria: Treatment. Korean J Med. 2011;80(1):36-39. 

  25. Bernstein JA, Lang DM, Khan DA, Craig T, Dreyfus D, Hsieh F, et al.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cute and chronic urticaria: 2014 update. J Allergy Clin Immunol. 2014;133(5):1270-7. 

  26. Zuberbier T, Aberer W, Asero R, Bindslev-Jensen C, Brzoza Z, Canonica GW, et al. The EAACI/GA(2) LEN/EDF/WAO Guideline for the definition, classific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urticarial: the 2013 revision and update. Allergy. 2014;69(7):868-87. 

  27. O'Donnel BF. Urticaria: Impact on Quality of Life and Economic Cost.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 2014;34(1):89-104. 

  28. Han YJ, Lee SH, Lee JY. Recent Clinical Research on Effect of Acupuncture for Urticaria. J Pediatr Korean Med. 2016;30(1):22-31. 

  29. Im MK, Song JM. A case study of Taeeumin's Chronic Idiopathic Urticaria Patient. J Sasang Constitutional Med. 2008;20(3):190-8. 

  30. Park SG, Kim YK, Oh MS. Prescription and Formulation. 1st ed. Seoul:Yeonglimsa. 2010:61-2,181-2,347-8. 

  31. Lyu JH, Lyu SA, Yoon HJ, KO WS. Anti-allergic Effect of Seungmagalgeuntang through Suppression of NF- ${\kappa}B$ and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ctivation in the RBL-2H3 Cell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8;22(6):1572-8. 

  32. Kang KH, Kim YB, Chae BY. The Effects of Sungmagalguntanggamibang(SMG,升麻葛根湯加味方) on the Immunocyte and Serum IgE in the Murine of type I Hypersensitivity Induced by the Experiment. J Oriental Med Surgery Ophthalmol Otolaryngol. 2001;14(1):129-53. 

  33. Kim HA, Jeong JC, Pak SD.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Anti-Histamine of the Sungmagalkuntang and Sungmagalkuntang-plus-samultang. J Dong Guk Oriental Med. 1994;3:207-22. 

  34. Keum JH, Seo YS, Kang OH, Choi JG, Kwon DY. Anti-inflammatory effect of Seungmagalgeum-tang extract in human mast cells. Kor J Herbology. 2013;28(5):7-11. 

  35. Lee CK, Song JM. Immunoregulative Action of Bangpoongtongsungsan. J Const Med. 1998;10(2):589-613. 

  36. Kim HJ, Kim YB, Park OS, Kim KS, Cha JH. The Effect of Bangpungtongsung-San on Model of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6;19(1):21-30. 

  37. Jeong SJ, Lee MY, Seo CS, Shin HK. In vitro Anti-allergic Effects of Bangpungtongseong-san in Human Keratinocytes and Primary Mouse Splenocyte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5;29(2):168-73. 

  38. Lim KM, Choi JH, Park SY, Kim JH, Kim SJ, Shin JC, et al. A Case of Contact Dermatitis by Pain Relieving Patch Deteriorated after Taking Lotus Root.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3):126-34. 

  39. Kim HH, Park SY, Kim JH, Jung MY, Choi JH. A Case of Atopic Dermatitis Patient with Exudate Using Korean Medicine Treatment and Western Treatment.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4):156-64. 

  40. Kim KS, Kim LH, Rhee YJ, Lee SH, Choi JH, Ko HN. Analysis on Research Trend of Studies Related with Scutellariae Radix in Korea.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1;25(6):1095-101. 

  41. Lee JH, Han JK, Kim YH. The Effects of Forsythiae Fructus n-BuOH Fraction on Atopic Dermatitis. J Pediatr Korean Med. 2016;30(3):1-30. 

  42. Aeom YD, Kim DH, Jeong JG, Shin MK, Song HJ. The Comparative Study of Fructus Immaturus Ponciri and Fructus Ponciri Effect on Allergic Reaction. J Korean Oriental Med. 2001;22(4):10-21. 

  43. Shin YW. Changes in the Anti allergic Effect of Citrus unshii Pericarpium According to Storage Period. Kor J Herbol. 2012;27(5):37-44. 

  44. Yoo JS, Kim DK, Kim SH, Shin TY. Anti-allergic Effects of Schizonepeta tenuifolia on Mast Cell-Mediated Allergy Model. Natural Product Sciences. 2011;17(3):239-44. 

  45. Jeong IY, Lee JS, Oh H, Jung U, Park HR, Jo SK. Inhibitory Effect of Hot-Water Extract of Paeonia japonica on Oxidative Stress and Identification of Its Active Compon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32(5):739-44. 

  46. Lee YS, Kim HC, Whang EH, Jo SK, Lim IG, Han JH. Study on the Effect of Jakyakgamcho-tang.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3;17(2):493-8. 

  47. Cho YS, Baek JH. A Review of Case Studies with Pattern Identifications and Herbal Medicines for Psoriasis. J Pediatr Korean Med. 2017;31(1):1-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