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귀수산, 생강, 커큐민의 대사성 질환과 관련된 일과성 수용체 전압 이온통로조절에 관한 연구
Effects of Dangkwisoo-San, Ginger and Curcumin on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Melastatin 7 Channels 원문보기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18 no.1, 2018년, pp.10 - 18  

김병주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Metabolic syndrome is correlated with increased cardiovascular risk and characteriz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visceral obesity, hypertension, insulin resistance, and dyslipidemia. Several members of a large family of nonselective cation entry channels, e.g., transient receptor po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방임상에서 타박손상에 주로 사용되는 당귀수산 (Dangkwisoo-san)20)과 비만에 관여하는 생강21), 당지질 대사장애에 사용되는 커큐민22)에 의한 TRPM7 이온통로에서의 효능을 확인하여 각각의 TRPM7 조절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7배 급증하였다23). 본 연구는 당귀수산과 생강이 TRPM7 통로를 억제시키는기능이 있음을 확인한 연구로 TRPM7의 기능을 억제하여 TRPM7에 의해 조절되는 다양한 대사성질환을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curcumin은 TRPM7조절 기능이 없어 TRPM7을 통한 대사성질환 조절 가능성은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RP 통로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TRP 통로는 비선택성 양이온 통로의 하나로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과 관련되어 있다. TRP 통로의 종류로는 classic 타입(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anonical [TRPC]1-TRPC7),vanilloid 타입(TRPV1-TRPV6), melastatin 타입(TRPM1-TRPM8), 그리고 polycystin 관련 타입(TRPP1-TRPP2) 등이 있다24). TRP 통로는 많은 질환 발생과 관련되어 있는데, 특히 심혈관질환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25,26).
심혈관계질환이나 고혈압, 당뇨로 진단받는 환자 수와 그 사망률이 급속히 증가하게 된 원인은 무엇인가? 현재 건강검진에서 심혈관계질환이나 고혈압, 당뇨로 진단받은 환자 수와이로 인한 사망률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1). 이러한 변화는 식이나 운동과 같은 생활습관의 악화로 비만인구가 늘 고 혈중 지질농도가 증가하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2). 심혈관계 및 뇌혈관질환, 고혈압과 이상지질혈증 등이 전신적 대사이상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으며3), 대사성 질환은 주로 심혈관계에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처음 발견된 TRP 통로는? 비선택성 양이온 통로(non selective cation channel) 중에서 일과성 수용체 전압 통로(transient receptor potential,TRP channel)는 많은 생물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TRP 통로는 90년대 중반에 초파리의 시각계에 존재하는 광수용체(photoreceptor)로 처음 발견되었으며4), 이후 사람을 포함한 고등동물의 세포에도 존재함이 알려지면서 연구가 가속화되고 있다. TRP superfamily에 속하는 TRP 통로들은 현재까지 30여 가지가 알려져 있으며 생리적 기능도 각각 다르지만 종류에 관계없이 두 가지의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o JY, Ye SY, Kim DH. The Study on Risk Factor of Metabolic Diseases in Pancreatic Steatosis. J Radiol Sci Technol. 2016 ; 39(1) : 81-8. 

  2. Kim HG, Han J. Obesity and pancreatic diseases. Korean J Gastroenterol. 2012 ; 59(1) : 35-9. 

  3. Ozbulbul NI, Yurdakul M, Tola M. Does the visceral fat tissue show better correlation with the fatty replacement of the pancreas than with BMI?. Eurasian J Med. 2010 ; 42(1) : 24-7. 

  4. Clapham DE. TRP channels as cellular sensors. Nature 2003 ; 426(6966) : 517-24. 

  5. Lawen A. Apoptosis - an introduction. Bioessays 2003 ; 25 : 888-96. 

  6. Vannier B, Zhu X, Brown D, Birnbaumer L. The membrane topology of human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3 as inferred from glycosylation-scanning mutagenesis and epitope immunocytochemistry. J Biol Chem. 1998 ; 273(15) : 8675-9. 

  7. Pedersen SF, Owsianik G, Nilius B. TRP channels: an overview. Cell Calcium. 2005 ; 38(3-4) : 233-52. 

  8. Schmitz C, Perraud AL, Johnson CO, Inabe K, Smith MK, Penner R, et al. Regulation of vertebrate cellular Mg2+ homeostasis by TRPM7. Cell. 2003 ; 114(2) : 191-200. 

  9. Aarts M, Iihara K, Wei WL, Xiong ZG, Arundine M, Cerwinski W, et al. A key role for TRPM7 channels in anoxic neuronal death. Cell. 2003; 115(7) : 863-77. 

  10. Elizondo MR, Arduini BL, Paulsen J, MacDonald EL, Sabel JL, Henion PD, et al. Defective skeletogenesis with kidney stone formation in dwarf zebrafish mutant for trpm7. Curr Biol. 2005 ; 15(7) : 667-71. 

  11. Vriens J, Owsianik G, Voets T, Droogmans G, Nilius B. Invertebrate TRP proteins as functional models for mammalian channels. Pflugers Arch. 2004 ; 449(3) : 213-26. 

  12. Sahni J, Scharenberg AM. TRPM7 ion channels are required for sustained phosphoinositide 3-kinase signaling in lymphocytes. Cell Metab. 2008 ; 8(1) : 84-93. 

  13. Kim BJ, Lim HH, Yang DK, Jun JY, Chang IY, Park CS, et al. Melastatin-type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 7 is required for intestinal pacemaking activity. Gastroenterology. 2005 ; 129(5) : 1504-17. 

  14. Kim BJ, Park EJ, Lee JH, Jeon JH, Kim SJ, So I. Suppression of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melastatin 7 channel induces cell death in gastric cancer. Cancer Sci. 2008 ; 99(12) : 2502-9. 

  15. Guilbert A, Gautier M, Dhennin-Duthille I, Haren N, Sevestre H, Ouadid-Ahidouch H. Evidence that TRPM7 is required for breast cancer cell proliferation. Am J Physiol Cell Physiol. 2009 ; 297(3) : C493-502. 

  16. Kim JN, Chae H, Kwon YK, Kim BJ. Effects of schisandra chinensis on human breast cancer cells. Kor J Ori Med Physiol Pathol. 2014; 28(12): 162-8. 

  17. Brixel LR, Monteilh-Zoller MK, Ingenbrandt CS, Fleig A, Penner R, Enklaar T, et al. TRPM5 regulates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Pflugers Arch. 2010 ; 460(1) : 69-76. 

  18. Touyz RM, He Y, Montezano AC, Yao G, Chubanov V, Gudermann T, et al. Differential regulation of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melastatin 6 and 7 cation channels by ANG II i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from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006 ; 290(1) : R73-8. 

  19. Zhu Z, Luo Z, Ma S, Liu D. TRP channels and their implications in metabolic diseases. Pflugers Arch. 2011 ; 461(2) : 211-23. 

  20. Sung SK, Kim SJ, Ahn TS, Hong NR, Park HS, Kwon YK, et al. Effects of Dangkwisoo-san,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for treating pain and blood stagnation, on the pacemaker activities of cultured interstitial cells of Cajal. Mol Med Rep. 2015 ; 12(4) : 6370-6. 

  21. Wang J, Ke W, Bao R, Hu X, Chen F. Beneficial effect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 review. Ann N Y Acad Sci. 2017 ; 1398(1) : 83-98. 

  22. Pan Y, Zhao D, Yu N, An T, Miao J, Mo F, et al. Curcumin improves glycolipid metabolism through regulating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signalling pathway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and 3T3-L1 adipocytes. R Soc Open Sci. 2017 ; 4(11) : 170917. 

  23. Committee for the Kor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emia. 2015 Kor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emia: executive summary (english translation). Korean Circ J. 2016 ; 46(3) : 275-306. 

  24. Liu D, Zhu Z, Tepel M. The role of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s in metabolic syndrome. Hypertens Res. 2008 ; 31(11) : 1989-95. 

  25. Nilius B, Owsianik G, Voets T, Peters JA.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ation channels in disease. Physiol Rev. 2007 ; 87(1) : 165-217. 

  26. Inoue R, Jensen LJ, Shi J, Morita H, Nishida M, Honda A, et al.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s in cardiovascular function and disease. Circ Res. 2006 ; 99 : 119-31. 

  27. Song Y, Hsu YH, Niu T, Manson JE, Buring JE, Liu S. Common genetic variants of the ion channel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membrane melastatin 6 and 7 (TRPM6 and TRPM7), magnesium intake, and risk of type 2 diabetes in women. BMC Med Genet. 2009 ; 10 : 4. 

  28. Mori Y, Otabe S, Dina C, Yasuda K, Populaire C, Lecoeur C, et al. Genome-wide search for type 2 diabetes in Japanese affected sib-pairs confirms susceptibility genes on 3q, 15q, and 20q and identifies two new candidate Loci on 7p and 11p. Diabetes. 2002 ; 51(4) : 1247-55. 

  29. Spiegel DM, Farmer B. Long-term effects of magnesium carbonate on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hemodialysis patients: a pilot study. Hemodial Int. 2009 ; 13(4) : 453-9. 

  30. Trzeciakiewicz A, Opolski A, Mazur A. TRPM7: a protein responsible for magnesium homeostasis in a cell. Postepy Hig Med Dosw (Online). 2005 ; 59 : 496-502. 

  31. Kozai D, Ogawa N, Mori Y. Redox regulation of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s. Antioxid Redox Signal. 2014 ; 21(6) : 971-86. 

  32. Abiria SA, Krapivinsky G, Sah R, Santa-Cruz AG, Chaudhuri D, Zhang J, et al. TRPM7 senses oxidative stress to release Zn2+ from unique intracellular vesicles. Proc Natl Acad Sci U S A. 2017 ; 114(30) : E6079-88. 

  33. Kim JH, Park SH, Kim YW, Ha JM, Bae SS, Lee GS, et al. The traditional herbal medicine, Dangkwisoo-San, prevents cerebral ischemic injury through nitric oxide-dependent mechanism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1 ; 2011: 718302. 

  34. Sellami M, Slimeni O, Pokrywka A, Kuvacic G, D Hayes L, Milic M, et al. Herbal medicine for sports: a review. J Int Soc Sports Nutr. 2018 ; 15 : 14. 

  35. Kim YS, Hong CS, Lee SW, Nam JH, Kim BJ. Effects of ginger and its pungent constituents on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s. Int J Mol Med. 2016 ; 38(6) : 1905-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