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교사의 음성 특성과 음성장애 위험 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Voic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Voice Disorder of Korea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8, 2018년, pp.149 - 154  

차슬기 (호남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언어치료전공) ,  변해원 (호남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언어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직업적 음성 사용자들의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음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교사는 음성장애 위험이 높은 직업군에 포함되기 때문에 음성문제 발생과 음성장애 발병 요인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사의 음성 특성과 음성장애 위험 요인에 대한 체계적 연구 분석을 통해 교사의 음성장애 위험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직업', '교사', '직업적 음성 사용자', '음성', '음성장애', '위험' 키워드를 조합하여 414편의 연구가 검색되었으며 그 중 8편의 연구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질적 평가는 Qualsyst: checklist for assessing the quantitative studies 항목을 수정하여 비뚤림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음성 사용에 있어 음성의 오남용이 자주 발생하였으며 이는 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의 음성 오남용 환경 개선과 주기적인 음성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range of professional voice users are expanding, interest towards voice increases as well. Especially as teachers compose the occupational group, exposed to high risk of voice disorder,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ause of speech problems and speech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사의 음성 특성과 음성장애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에 관한 문헌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교사의 음성문제에 대한 예방과 기초선을 제공하였다.
  • 우리나라 교사의 음성 특성과 음성장애 발병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8편의 문헌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업적 음성 사용자의 정의는 무엇인가? 음성을 전문적으로 사용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을 직업적 음성 사용자(Professional Voice User)라 정의한다[1]. 과거 가수, 교사와 같은 일부 직업에 국한되었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정치가, 영업사원, 텔레마케터, 아나운서 등으로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범위가 확대되었으며 이에 따라 음성 사용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2].
음성 문제가 지속될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그 중에서도 특히 직업적 음성 사용자들 중 교사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아 음성의 오남용을 자주 경험하는 직업군으로 음성 사용 시 피로감, 기식적인 음성과 같은 음성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 5]. 이러한 음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경우 성대결절과 같은 음성장애가 발병될 뿐만 아니라[6] 나아가 업무 수행 능력이나 상호작용 감소와 같은 일상생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7].
음성장애가 있는데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될 경우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가? 음성장애는 치료뿐만 아니라 음성위생이 병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해있다. 이러한 문제가 지속될 경우 음성문제를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반면 음성문제 발병 초기에 적극적으로 치료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치료의 성공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으며[13] 이는 음성장애의 초기 중재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 H. Hong & Y. J. Hwang. (2012). VHI, V-RQOL, and vocal characteristics of teacher and sing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7), 3048-3056. DOI : 10.5762/KAIS.2012.13.7.3048 

  2. E. J. Lee & W. S. Kim. (2015). A survey on the voice related needs of occupational voice user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2), 39-45. DOI : 10.13064/KSSS.2015.7.2.039 

  3. T. H. Kim, S. M. Jin, Y. K. Song, S. S. Lee, K. C. Lee & K. H. Kwon, Vocal Problems among Teachers : A Review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15(1), 10-15. DOI: 10.1016/S0892-1997(98)80058-1 

  4. E. Smith, S. D. Gray, H. Dove, L. Kirchner & H. Heras. (1997). Frequency and effects of teachers' voice problems. Journal of Voice, 11(1), 81-87. DOI: 10.1016/S0892-1997(97)80027-6 

  5. E. Smith, J. Lemke, M. Taylor, H. L. Kirchner & H. Hoffman. Frequency of voice problems among teachers and other occupations. Journal of Voice, 12(4). 480-488. DOI: https://doi.org/10.1016/s0892-1997(98)80057-x 

  6. H. Byeon. (2013). The Prediction Model for Self-Reported Voice Problem Using a Decision Tree Model.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7), 3368-3373. DOI: 10.5762/KAIS.2013.14.7.3368 

  7. N. Roy, R. M. Merrill, S. Thibeault, S. D. Gray & E. M. Smith. (2004). Voice disorders in teachers and the general population: effects on work performance, attendance, and future career choic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7(3), 542-551. DOI: 0.1044/1092-4388(2004/042) 

  8. H. S. Chung & S. J. Lee. (2002). A Study on Experience of Voice Problems and Risk Factors in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5(1), 49-62. 

  9. J. Y. Lee & K. H. Beak. (2006). The Effect of Auditory Condition on Voice Parameter of Teacher.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25(5), 207-212. 

  10. S. A. Lee, H. J. Choi, B. Kim, H. J. Lee, S. K. Lee, J. G. Lee & E. C. Nam. (2012). Voice Handicap Index and Voc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55(2), 101-106. DOI: https://doi.org/10.3342/kjorl-hns.2012.55.2.101 

  11. S. H. Choi & C. H. Choi. (2013). The Characteristics of Voice Handicap Index and Vocal Misuse and Overuse in Female Elementary Teacher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4), 53-61. DOI: 10.13064/KSSS.2013.5.4.053 

  12. E. J. Lee. (2015). A Survey on the voice symptoms and vocal-health service related experience of occupational voice us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3(1), 397-405. DOI : 10.14400/JDC.2015.13.1.397 

  13. B. E. Smith, G. B. Kempster & H. S. Sims. (2010). Patient Factors Related to Voice Therapy Attendance and Outcomes. Journal of Voice, 24(6), 694-70. DOI: https://doi.org/10.1016/j.jvoice.2009.03.004 

  14. S. Cha & H. Byeon. (2018).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Korean teen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3), 211-216. 

  15. L. M. Kmet, R. C. Lee & L. S. Cook. (2004). Standard quality assessment criteria for evaluating primary research papers from a variety of fields. Edmonton: Alberta Heritage Foundation for Medical Research (AHFMR), Alberta : Alberta Heritage Foundation for Medical Research.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