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청각장애대학생의 장애학생지원센터 이용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xperiences of Using Support Center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by the Deaf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8, 2018년, pp.273 - 282  

김선희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각장애대학생의 장애학생지원센터 이용경험을 탐색하는 사례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유의표집으로 핵심사례(key case) 2사례와 특이사례(outliner) 1사례를 선정하여 심층인터뷰한 후 사례내 분석과 사례간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교수학습영역(4개 주제), 시설 설비영역(3개 주제), 대학생활영역(4개 주제)에서 총 11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임상적 정책적 학문적 제언을 한다. 첫째, 교육복지현장에서 장애학생지원센터 직원의 장애민감성 향상과 처우개선, 그리고 원격지원 가능한 대학과 MOU체결로 교수학습환경을 보완하고 제한된 예산에 대한 문제를 해소한다. 둘째, 대학내 장애학생에게 행해지는 관습적 차별 해소를 위한 학교문화조성이 필요하다. 나아가 한정된 예산과 변화하는 학습환경에서 청각장애학생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ICT와 IoT기술을 접목하는 교수학습법 개발연구가 더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using support center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by deaf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purposeful sampling method. The validity of the study was confirmed by in-case and cross-case analysis. As the results in this study,...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증가하고 있는 청각장애대학생들의 학습권보장과 학교생활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복지영역의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대학생이 소속된 대학의 장애학생지원센터 현황을 살펴봄과 동시에 청각장애학생 심층면접을 통해 당사자의 언어로 표현된 교육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을 탐색하고 부가적인 욕구를 파악하여 맞춤형 교육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청각장애대학생들의 장애학생지원센터 이용경험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사례연구는 어떤 일이 어떻게, 왜 발생했는지를 이해하고, 사례를 연구해야 하는 지를 이유와 이것이 왜 사례가 되어야하는가에 관심이 있다.
  • 마지막으로 적용성은 양적연구의 외적타당도에 해당 하는 것으로 연구 참여자에게 해석과 분석된 내용을 보여주며 내용을 검토 받았다. 또한, 본 연구가 현장에서 유용하게 적용되기 위해 연구내용과 결과를 동료 연구자와 논의하고 최근의 연구물과 자료를 통해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 직접 소통할 수 없으니 욕구표현이 자유롭지 않고, 청각장애대학생 당사자의 자기결정권이 존중되지 않은 채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상황이 반복되며,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욕구충족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 대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수화, 구화, 필담 등 당사자의 언어로 직접의견을 제시하고자 노력한다. 당사자의 언어는 가족, 학습도우미, 수화통역사 등의 매개자를 통한 의사전달보다 진정성 있고 강력하게 전달되어 반영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교육취약계층에 포함되는 청각장애인대학 생들이 소속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 이용경험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학생지원센터측면에서 학교마다 차이가 있으나 전체학생의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각장애란 무엇인가? 장애인복지법에서 청각장애는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60데시벨 이상, 한 귀의 청력손실이 80데시벨 이상 다른 귀의 청력이 40데시벨 이상인 사람,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명료도가 50퍼센트 이하인 사람, 평형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이다. 언어장애인은 음성 기능이나 언어기능에 영속적으로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이다. 청각장애인들은 청각기관의 장애로 인하여 언어 장애를 수반하는 중복장애를 경험하게 된다.
대학이 청각장애대학생에게 제공하는 복지서비스는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각 대학의 장애학생을 위한 편의시설이나 교수학습지원체제는 여러 측면에서 허술한 편이다. 각대학의 장애학생지원센터에서는 청각장애학생에게 수화 동시동역, 대필 학습활동보조인, 속기사, 학습기기(노트 북) 대여 등 교육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수화통역학과가 있는 대학의 경우에 전문인력 배치가 용이하고, 이용하는 학생들은 수화통역서비스에 만족하고 있으나[2,3], 대부분 대학에서는 수화통역사나 대필 학습도우미를 찾기 어렵다[4].
청각장애인들에게 일반 사회복지사나 연구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청각장애대학생들은 청각과 언어 장애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수반하여 전문도우미, 교수 학습기기지원이 없이는 학업성취와 대학생활 적응의 어려움이 있다. 청각장애인들이 수어(Sign Language) 또는 구어(口語)로 소통하여 일반 사회복지사나 연구자가 접근하기 어려움이 있어 다른 장애영역에 비해 생애주기별 다양한 욕구를 반영한 복지서비스와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증가하고 있는 청각장애대학생들의 학습권보장과 학교생활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복지영역의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igher Education In Korea. http://www.academyinfo.go.kr. (2018. 5. 30) 

  2. S. W. Gwan. (2017). A Case Study of Actual Condition of Learning Support for and Satisfaction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8(1), 71-92. 

  3. S. B. Choi. (2010). Analysis on Sign Languag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Processes of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er at the College Center for Handicapped Students: Focused on H College Center for Handicapped Students. Journal of Children Education, 12(1), 23-45. 

  4. S. W. Gwan & B H, Kim. (2003). A Study of Current Status on the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y in Campus.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12(1), 125-144. 

  5. D. I Kim & J. Y. Son. (2009). A Study on Instructor Perception and Support System for Teaching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0(1), 85-112. 

  6. J. Y. Kim & S. W. Jang. (2017). A Study on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Support Center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through SWOT Analysi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3), 155-177. 

  7. D. J. Park, J. H. Choi & J. U. Lee. (2012).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Deaf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Deaf Youth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3(3), 155-183. 

  8. J. S. Lee, E. Y. Choi & Maria Gong. (2014). Impact of Deaf Identity of The Youth with Hearing Impairment on Career Barrier;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Maturity. Special Education & Journal of Special Educ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53(4), 339-361. 

  9. M. J. Lee & B. J. Park. (2014). Multiple Mediator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on the Relation of Disability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53(1), 199-122. 

  10. J. R. Park. (2010). A Qualitative Study on the Deaf for Meaning of the Sign Language Experience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Experience.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6(4), 93-122. 

  11. J. H. Lee. (2015). A study on the Determinant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 503-514. 

  12. S. O. Yun & Y. J. Kang. (2007). A Study o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8(2), 71-89. 

  13. E. S. Lee & S. Y. Yoon. (2016).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Focused on School and Disability Related Characteristic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0), 455-461. 

  14. S. U. Lee & M. Y. Song. (2002).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ing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to Affect Work Adjustment for Person with Hearing Disabilities.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12(2), 213-242. 

  15. K. B. Jo & J. N. Paik.(2018)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Job Satisfaction of Working Women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133-140. 

  16. S. H. Kang. (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ypes of Disabilit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97-123. 

  17. J. Y. Chung. (2009). A Study on the Effective Services Model for Disabled Users in University Libraries.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1), 73-91. 

  18. J. G. Song. (2003). The Study of Expanding the Broadcasting Access Right for the Disabled.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57, 147-178. 

  19. Y. Jeun. (2012). L'accessibilite des Contenus Audiovisuels aux Personnes Handicapees. Kyungpook University, Law Journal, 39, 397-420. 

  20.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16). Evaluation Report on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istry of Eduction. 

  21.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index/. (2018. 5. 30). 

  22.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https://www.nise.go.kr (2018. 5. 30). 

  23. B. J. Brueggemann. (1999). Lend Me Your Ear: Rhetorical of Deafness. Washington, DC: Gallaudet University Press, 34-37. 

  24. M. W. Yun & K. R. Hwang. (2014). Effects of Inferiority feeling, and College Life Maladjustment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Social Anxiety.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3(4), 121-140. 

  25. J. U. Lee.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f Identity and Psychosocial Functions of Korean Deaf Adolesc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4(4), 173-204. 

  26. M. O, Kim, H. S. Kim & M. Y. Lee. (2003).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Disabled Adolescents' Experience of Puberty. Korea Youth Research, 10(1), 167-197. 

  27. J. Y. Choi. (2009). A Phenomenological Study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by Students with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0(4), 2571-2589. 

  28. S. H. Jeou & S. H. Shon. (2013). An Analysis Study of the Experience to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Learning Support.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4(3), 261-292. 

  29. B. Y. Aan & I. H. Kim. (2009). Educational Welfare Policy. Dasan Books. 

  30. J. J. Kim. (2004).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al Support Services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Mental Disorder.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0(2), 97-124. 

  31. J. H. Kim. (2004). A Review Study on Educational Support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oonchunhyang Journal of Institution and Humanity, 13, 119-136. 

  32. M. S. Kim. (2011). A Qualitative Inquiry on the Perception of Assista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0(1), 187-207. 

  33. M. Y. Jeon & H. W. Lee.(2017). A Survey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for The Disabled: Focusing on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5), 1-13. 

  34. Gray Thomas & Kevin Myers. (2015). The Anatomy of the Case Study. SAGE, London, UK. 

  35. A. Lijphart.(1991). Comparative Politics and the Comparative Method.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5(2), 682-693. 

  36. Y. S. Lincoln & E. G. Guba.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37.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http://bf.koddi.or.kr (2018. 5. 30).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