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과 속박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Entrap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s Life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8, 2018년, pp.331 - 339  

김설환 (국립법무병원.치료감호소) ,  손정락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과 속박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주시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N=142)을 대상으로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 수용행동 질문지, 속박감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Baron과 Kenny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 유연성과 속박감이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심리적 유연성과 속박감을 통해 대학생활 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제한점과 대학생의 대학생활 부적응을 예방하고 중재하기 위한 치료적 개입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entrap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s life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 sample of 142 college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Jeonju city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처유연성과 심리적 유연성 모두 다양한 부적응이나 정신병리와 관련된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지만, 스트레스와 대학생의 적응과 관련하여 심리적 유연성에 대한 연 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기에 잠재적 외상 사건을 전제로 하고 스트레스 사건을 경험한 후의 개인의 적응수준을 다루고 있는 대처유연성보다는 스트레스 상황 하에서 지속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심리적 유연성이 좀 더 적합한 개념으로 생각되어 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간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과 속박감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와 이를 토대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각 문항은 0점(전혀 아니다)부터 4점(매우 그렇다)평정하도록 되어 있고, 검사내용은 대학생의 학업, 경제, 장래, 가치관문제를 포함하는 당면과제 영역과 이성 친구, 동성 친구, 교수, 가족과의 관계를 포함하는 대인관계 영역으로 나누어지며 총 50문항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당면과제 영역에 해당하는 요인만을 측정하기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들은 총 27문항이었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임상 집단은 아니지만 외부의 부정적인 상황으로 인해 실제적인 경계적, 미래에 대한 불안 등을 경험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유연성과 속박감을 매개로 대학생활 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직접효과가 존재하지만, 그와는 별도로 심리적 유연성이 저하되고 속박감이 높아질수록 대학생활에 대한 부적응이 증가하여 학업 중단, 관계 단절 및 학교 적응 실패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응상의 어려움을 예방하고 중재하는데 이를 적절히 다루어줄 수 있는 치료적 개입 및 제도적 보완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겠다.
  • 이상의 결과에 따라, 심리적 유연성과 상관이 높은 속박감은 심리적 유연성과 마찬가지로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매개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해 검증하였다. 분석절차는 심리적 유연성의 경우에서처럼 Baron과 Kenny[42] 가 제안한 절차에 따랐다.
  • 특히 심리적 유연성의 경우 대처 유연성처럼 다양한 상황적 요구에 따른 변화를 뜻하는 유연성(flexibility)이라는 개념을 내포하고 있으면서도 이를 살펴본 국내 연구가 적은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리적 유연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기에 그 점에서 상당한 의의가 있다 하겠다. 둘째,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우울에 대한 강력한 예언변인인 속박감 수준을 알아 봄으로써 실제 대학생들의 정신적, 심리적 위기 수준을 재확인하였다.
  • 이와 같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간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과 속박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 시기는 어떤 시기인가? 최근 한국 대학생들은 학업적, 심리적, 발달적 영역에서 겪는 적응상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대학생 시기는 청소년에서 성인으로 넘어가는 과도기로 자아정체감 확립과 사회생활 준비를 위해 여러 발달 과업을 이룩해야 하는 시기이지만[1],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청년 취업난이 악화되면서 대학 진학률은 점차 감소되고 있으며[2], 대학에 진학했다 하더라도 학업을 중단하는 대학생의 수가 날로 증가되어가는 추세이다[3]. 또한 대학생의 심리건강 및 대학생활 적응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74.
한국 대학생의 적응상의 어려움의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한국 대학생의 적응상의 어려움에 대해 국내 연구 결과들은 대학생 시기의 발달적 특성 외에도 대학 생활에 적응하고 심리적, 경제적-사회적 독립을 준비하 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를 주요 요인으로 지적하고 있다[5-8]. 국외의 연구에서도 대학생 시기는 잠재적인 외상 사건에 노출될 취약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특히 많이 경험한다고 보고되었고[9], 23개국 대학생의 우울증상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대만 다음인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10].
Lazarus와 Cohen이 분류한 세 가지 사건의 스트레스 자극은 무엇인가? Lazarus와 Cohen[11]은 스트레스 자극을 세 가지 사건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다수의 사람들에게 격심한 변화를 일으키거나 영향을 주는 중대한 변화로써 이러한 자극들 은 여러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를 일으키며, 어느 누구도 통제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여기에는 홍수, 가뭄, 폭설 등과 같은 자연재해 뿐 아니라 전쟁, 추방, 투옥과 같은 인간이 만들어낸 재해도 포함된다. 둘째는 소수의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중대한 변화로써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생명을 위협하는 병, 직장에서의 해고, 출산 등을 들 수 있다. 셋째는 일상적인 문제들을 들 수 있는데, 개인이 생활하면서 겪는 생활스트레스가 이 범주에 속한다. 대학생들은 대학생활 동안 학업, 대인관계, 경제적 문제, 가치관 등 다양한 영역에서 반복적으로 그리고 일상적으 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일들이 오히려 이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생활스트레스가 심각한 스트레 스보다 건강상의 문제나 학업부진, 자살생각 등 신체적, 심리적 장애를 더 잘 예측한다고 보고되었다[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K. K. Chon, K. H. Kim & J. S. Yi. (2000).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2), 316-335. 

  2. Statistics Korea. (2018). 2017 social indicators in Korea. Daejeon, Statistics Korea. 

  3. E. H. Yoo. (2016. 10. 4). 2015 Dropout status among college students nationwide. https://blog.naver.com/way2yoo/220827705486 

  4.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18). Anxiety of college students, is it okay? Mental health crisis support plan for college students. Seoul. Kyungsungmedia. 

  5. M. J. Ko & B. Y. Choi. (2017).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6), 81-104. 

  6. J. H. Kim. (2016). Relatinship between life stres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sychological Type and Human Development, 17(1), 81-100. 

  7. G. P. Ko & M. Y. Sim. (2015). A study on the mediation effects of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on college students' unemployment stres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Korea Contents Society, 15(6), 379-391. 

  8. H. Y. Jung. (2016).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life stress, depression and ego resiliency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7), 259-268. 

  9. I. R. Galatzer-Levy, C. L. Burton & G. A. Bonanno. (2012). Coping flexibility, potentially traumatic life events, and resilience: A prospective study of college student adjustment.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31(6), 542-567. 

  10. A. Steptoe, A. Tsuda, & Y. Tanaka. (2007). Depressive symptoms, socio-economic background, sense of control, and cultural factors in university students from 23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4(2), 97-107. 

  11. R. S. Lazarus & J. B. Cohen. (1977). Environment stress. In: Attman, I. & Wohlwill, J. F. (Eds), Human Behavior and Environment. Current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Plenum Press. 

  12. G. Felsten. (2004). Stress reactivity and vulnerability to depressed mood in college student. Personality Individual Differences, 36, 789-800. 

  13. S. S. Noh, Y. R. Cho & M. K. Choi. (2014). The influences of self-compassion and life stress on suicidal idea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Mediating roles of rumination and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3(4), 735-754. 

  14. R. S. Lazarus & S. Folkman.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5. D. K. Carson, D. M. Swanson, M. H. Cooney, B. J. Gillum, & D. Cunningham. (1992). Stress and coping as predictors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Child Study Journal, 22, 273-302. 

  16. J. H. Amirkhan. (1990). A factor analytically derived measure of coping: The coping strategy indicat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1066-1074. 

  17. N. S. Endler & J. D. A. Parker. (1990).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coping: A critical evalu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844-854. 

  18. S. Y. Han, T. K. Hur, D. J. Kim & J. M. Chae. (2001).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s on coping.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2), 123-143. 

  19. G. A. Bonanno, A. Papa, K. Lalande, M. Westphal & K. Coifman. (2011). The importance of being flexible. Psychological Science, 15, 482-487. 

  20. C. L. Burton, O. H. Yan, R. Pat-Horenczyk, I. S. Chan, S. Ho & G. A. Bonanno. (2012). Coping flexibility and complicated grief: A comparison of American and Chinese samples. Depression and Anxiety, 29, 16-22. 

  21. S. Y. Cho & H. I. Jo. (2017). The effects of rumination on stress response: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coping flexibility.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18(6), 37-62. 

  22. C. Cheng, H. P. B. Lau, & M. P. S. Chan. (2014). Coping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o stressful life changes: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40(6), 1582-1607. 

  23. H. Wersebe, R. Lieb, A. H. Meyer, P. Hofer, & A. T. Gloster. (2018). The link between stress, well-being,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during a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self-help interv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18(1), 60-68. 

  24. G. A. Bonanno, R. Pat-Horenczyk, & J. Noll. (2011). Coping flexibility and trauma: The Perceived Ability to Cope With Trauma(PACT) scale.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3, 117-129. 

  25. S. C. Hayes, K. D. Strosahl & K. G. Wilson.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26. S. C. Hayes, J. B. Luoma, F. W. Bond, A. Masuda & J. Lillis. (2006).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processes and outcome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4(1), 1-25. 

  27. Y. J. Hur & M. K. Rhee. (2015).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disorder traits on depression: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4(3), 747-767. 

  28. K. H. Ryu. (2012). Effects of adaptive a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o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9. H. M. Moon. (200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ogram for facilitation of psychological acceptance based on Acceptance & Commitment Therapy model.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30. A. Masuda, P. L. Anderson, J. W. Wendell, Y. Y. Chou, M. Price & A. B. Feinstein. (2011). Psychological flexibility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self-concealment and negative psychological outcom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0(2), 243-247. 

  31. P. Gilbert & S. Allen. (1998). The role of defeat and entrapment (arrested flight) in depression: An exploration of an evolutionary view. Psychological Medicine, 28, 585-598. 

  32. J. M. G. Williams. (1997). Cry of pain: Understanding suicide and self-harm. Harmondsworth, England: Penguin. 

  33. S. H. Kim & C. N. Son. (2018). Mediating effect of defeat and entrap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lay disordered offender'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4), 379-386. 

  34. S. Brown & A. D. Vinokur. (2003). The interplay among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The role of depression, poor health, and loved one's messages of support and criticism.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2, 131-141. 

  35. G. W. Brown, T. O. Harris & C. Hepworth. (1995). Loss, humiliation and entrapment among women developing depression: a patient and non-patient comparison. Psychological Medicine 25, 7-21. 

  36. Y. J. Park, N. M. Shin, K. S. Han, H. C. Kang, S. H. Cheon & H. J. Shin. (2011). Depression status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Mediating role of entrap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5), 663-672. 

  37. J. Y. Lee. (2007). A study on the psychosocial factor influencing the suicide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38. F. W. Bond, S. C. Hayes, R. A. Baer, K. C. Carpenter, N. Guenole, H. K. Orcutt, T. Waltz & R. D. Zettle. (2009). Preliminary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II: A revised measure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acceptance. Behavior Therapy, 1-38. 

  39. J. H. Heo, M. S. Choi & H. J. Jin. (2009).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translated Acceptance-Action Questionnaire-2.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1(4), 861-878. 

  40. J. S. Lee & H. J. Cho. (201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nal and extranal entrapment scal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1(1), 239-259. 

  41. K. A. Lee, H. I. Shin, N. H. Yoo & K. H. Lee. (2008).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llege adjustment inventory-short form.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9(2), 739-754. 

  42.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43. Y. J. Cho, S. M. Cheon, M. J. Cha & Y. S. Lee. (2012). Effects of the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on psychological acceptance, internal control and military life adaptation of maladjusted military soldiers.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19(2), 295-316. 

  44. Y. Y. Choi, H. J. Cho, J. H. Kwon & J. S. Lee. (2013).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vulnerability and suicidal idea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apment and defeat.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3(3), 423-443. 

  45. J. H. Kim. (2017). Effects of Acceptance-Commitment Therapy(ACT) on psychological acceptance, defeat, entrapment, and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maladaptive perfectionism.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46. N. Brace, R. Kemp & R. Snelgar. (2003). SPSS for psychologists: A guide data analysis SPSS for Windows(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