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혼모의 모성으로의 이행과정에서 보건의료종사자와의 상호작용 경험
Experiences of Interaction with Health Care Worker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Single Mothers to Motherhood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5 no.2, 2018년, pp.155 - 164  

임견주 (경북전문대학교 간호학과) ,  조명주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teractions of single mothers with health care workers during their transition to motherhood. Method: This qualitative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6 single mothers who were identified at four facilities for single mothers and provided writ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감사성(auditability) 및 확인가능성(confirmability)을 확보하기 위해서 녹취록과 필사 자료 및 자료분석표 등을 보존하여 필요 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참여자가 자신의 경험에 대해 인터뷰 시에는 참여자의 진술을 유도할 수 있는 질문을 최대한 배제하여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진술하도록 하였다.
  • 첫째, 자료 분석은 매회 인터뷰 종료 후에 녹음된 인터뷰 내용을 연구보조원이 필사한 후 필사된 자료의 정확성을 연구팀이 확인하였다. 둘째, 필사본을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문장을 분석단위로 하여 연구의 주요 질문별로 의미 있는 진술들에 밑줄을 그어 표시하였으며 인터뷰의 주요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셋째, 의미 있는 진술과 표현 내의 주요한 내용을 분류하여 25개의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25개에서 8개의 주제모음으로 묶고, 4개의 범주로 통합하였다.
  • 본 연구는 미혼모를 대상으로 모성으로의 이행과정에서 보건의료종사자와의 부정적 경험뿐만 아니라 긍정적 측면도 발견한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미혼모가 임신과 출산 위기를 완화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간호사를 포함한 보건의료종사 자와 예비 보건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미혼모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인식 개선 교육과 간호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미혼모들이 모성 으로의 이행 과정에서 의료서비스 이용 시 보건의료종사자와의 경험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귀납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미혼모의 모성으로의 이행 과정에서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중 보건의료종사자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혼모의 모성으로의 이행 과정에서 의료서 비스 이용 경험 중 보건의료종사자와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총 16명의 미혼모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미혼모의 모성으로의 이행 과정에서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은 총 4개 주제, 8개의 하위주 제로 분석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혼모들이 모성으로의 이행 과정에서 의료서비스 이용 시 보건의료종사자와의 상호작용 경험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모성으로서의 이행과정에서 의료서비스 이용 시 보건의료종사자와의 상호작용 경험은 어떠한가?
  •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는 참여자 집단의 상호작 용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참여자들의 생각 이나 경험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집단 면접법으로서 질적으로 우수한 자료를 모으는데 유용한 자료 수집 방법이며[15], 질적 내용분석은 현상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제공하여 자료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16]. 이에 본 연구는 질적 내용분석을 이용하여 미혼모의 모성으로의 이행과정 에서 의료서비스 이용 시 보건의료종사자와 어떤 상호작용 경험을 하는지 총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의료종사자와 대상자 간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보건의료종사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근거하여 대상자가 어떤 상황에 처해있든 공평하게 대하고 환자의 안녕과 복지를 최우선으로 하여야 하며 ‘가치중립적’이어야 하나, 사회 내여타 조직 혹은 행위자와 마찬가지로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 판단, 규범, 문화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7]. 따라서 의료서비스 과정에서 의료제공자인 보건의료종사자와 대상자 간의 상호작용은 단지 치료 과정에만 국한되지 않고 사회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반영하고 재현된다[8]. 임신과 출산은 여성 개개인에게 있어 생리적 · 심리적 · 사회적, 그리고 영적으로 매우 독특한 경험이며, 출산 후에도 그 영향은 오랫 동안 지속되므로 이 시기의 경험은 여성의 자존감과 자녀와의 관계를 결정 지어주는 생애 중요한 순간이자 위기이다 [9,10].
미혼모의 정의는 무엇인가? 여성의 전 생애주기 과정에서 임신과 분만은 생물학적 의미 이외에 한 여성이 어머니가 되고 가정을 형성하게 되는 사회학적 의미를 갖게 되며, 대부분의 여성들은 임신과 출산의 긴 여정 동안 소중한 생명체인 자녀를 얻는다는 기대와 설렘을 경험한다[1]. 그러나 ‘합법적이고 정당한 절차 없이 아기를 임신하거나 분만한 여성’으로 정의되는 미혼모[2]는 사회에서 여전히 ‘사회적 일탈자’ 또는 ‘부도덕한 여성’이라는 낙인을 부여하고 있어[3] 임신을 알게 된 순간부터 출산과 양육을 해나가는 과정 동안 끊임없이 위기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출산과 낙태, 양육과 입양 또는 유기 사이에서 갈등하게 될 수 있다[4]. 최근 고학력 전문직 여성들의 ‘자발적 미혼모 되기’ 선언이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고[2], 저출산 문제가 극에 달할 지경에 이른 상황에서도 한국사회는 보수적인 유교문화와 혈통주의에 근거한 가족의 정형성 고수 및 혼외 출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다[5].
미혼 여성이 혼자서 아이를 낳는 것이 부정적 인식으로 자리잡은 배경은 무엇인가? 그러나 ‘합법적이고 정당한 절차 없이 아기를 임신하거나 분만한 여성’으로 정의되는 미혼모[2]는 사회에서 여전히 ‘사회적 일탈자’ 또는 ‘부도덕한 여성’이라는 낙인을 부여하고 있어[3] 임신을 알게 된 순간부터 출산과 양육을 해나가는 과정 동안 끊임없이 위기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출산과 낙태, 양육과 입양 또는 유기 사이에서 갈등하게 될 수 있다[4]. 최근 고학력 전문직 여성들의 ‘자발적 미혼모 되기’ 선언이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고[2], 저출산 문제가 극에 달할 지경에 이른 상황에서도 한국사회는 보수적인 유교문화와 혈통주의에 근거한 가족의 정형성 고수 및 혼외 출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다[5]. 이에 미혼 여성이 혼자서 아이를 낳는 것은 용기 있는 희생과 윤리적 책임을 감당하는 것임에도 자신의 선택을 지지받거나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ong JE, Park JM.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pontaneous abortion experiences of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7;23(2):63-77. https://doi.org/10.4069/kjwhn.2017.2.63 

  2. Song EM, Ryu JY. A study on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ce of trauma-stricken unmarried mother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8;18(6):869-893. https://doi.org/10:22251/jlcci.208.8.6.869 

  3. Kim HJ, Kwon JH, Choi HS. A case study on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unmarried mother.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12;36(6):121-155. 

  4. Sung JH, Kim JH, Shin OJ.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pregnancy and childbirth crisis of the unmarried mother and the improvement of support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2015;17(2):277-309. 

  5. Sung JH, Kim HJ, Lee MJ, Park YM. A study of the experiences of unwed mothers in interaction with public service professionals: focusing on the experiences during pregnancy, birth and child caring. The Korea Contents Society. 2016;16(8):404-418. https://doi.org/10.5392/JKCA206.6.08.404 

  6. Statistics Korea. 201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6 september 7]. Available from: http://www.census.go.kr/dat/prs/prsDetail.do 

  7. Spencer Kl, Grace M. Social foundations of health care inequality and treatment bias. Annual Review of Sociology. 2016;42:101-120. 

  8. Son IS, Lee HM, Park JY, Kim SS. Social stigma and medical marginalization in healthcare service among transgender people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2017;51(2):155-189. 

  9. Nichols FH, Humenick S. Childbirth education: practice, research and theory. 2nd ed. Philadelphia: Saunders Company; 2000. 

  10. Whitley R, Kirmayer LJ. Perceived stigmatisation of young mothers: an exploratory study of psychological and social experience. Social Science & Medicine. 2008;66(2):339-348. 

  11. Kim HJ, Park HR. Health-care needs of high-risk pregnant women hospitalized in maternal-fetal intensive care units: a mixed-methods desig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8;24(2):196-208. https://doi.org/0.4069/kjwhn.208.24.2.196 

  12. Lee YJ. Work experiences of delivery room nurses: a phenomenological stud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7;23(2):78-88. https://doi.org/10.4069.kjwhn.2017.23.2.78 

  13. Kim HJ.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unwed mothers with medical service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15;50:181-214. 

  14. Lee MM, Yi MS. Experiences of famili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nteractions with health care provid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7;29(1):76-86. https://doi.org/10.7475/kjan.2017.29.1.76 

  15. Downe-Wambold B. Content analysis: method, applications and issue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992;13(2):313-321. 

  16. Morgan DL.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California: Sage; 1997. 

  17. Song JE, Roh EH, Park SM.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research related to maternal adaptation among women immigrants by marriage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5;21(1):55-70. https://doi.org/10.4069.kjwhn.2015.21.1.55 

  18. Spradley JP.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ich College Publisher; 1979. 

  19. Guba EG, Lincoln YS. Effective evaluation. 4th ed. San Francisco:Jossey & Bass Publication; 1985. 

  20. Bohren MA, Hunter EC, Munthe-Kaas HM, Souza JP, Vogel JP, Gulmezoglu AM.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facility-based delivery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 qualitative evidence synthesis. Reproductive Health. 2014;11(1):71. https://doi,org/10.1186/1742-4755-11-71 

  21. Cohen JJ, Blevins M, Mapenzi A, Reppart L, Reppart J, Mainthia R, et al. Overcoming the perceived barriers to health care access among single mothers in coastal Kenya.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2014;59(1):189-196. https://doi.org/10.1007/s00038-013-0511-0 

  22. Amroussia N, Hernandez A, Vives-Cases C, Goicolea I. "Is the doctor God to punish me?!" An intersectional examination of disrespectful and abusive care during childbirth against single mothers in Tunisia. Reproductive Health. 2017;14(1):32. https:/doi.org/10.1186/s12978-017-0290-9 

  23. Leary MR, Tangney JP. Handbook of self and identity. 2nd ed. New York:The Guilford Press; 2012. 

  24. Jin H, Kim YM, Michael S, Margaret C. Unmarried mothers and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e role of child development accounts. Journal of Child Family Studies. 2017;26(1):234-247. https://doi.org/10.1007/s10826-016-0551-1 

  25. Roberts S, Graham M, Barter-Godfrey S. Young mother's lived experiences prior to becoming pregnant in rural Victoria: A phenomenological study. Australian Journal of Rural Health. 2011;19(6):312-317. https://doi.org/10.1111/j.1440-1584.2011.01228.x 

  26. Kim HJ, Cho SH, Kim JH. Developmen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scale for unwed mothers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17;6(56):169-196. 

  27. Robb Y, McInery D, Martinc CH,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s of young mothers seeking and accessing health services.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2013;31(4):399-412. https://doi.org/10.1080/02646838.2013.832181 

  28. Lipman EL, Kenny M, Jack S, Cameron R, Secord M, Byrne C. Understanding how education/support groups help lone mothers. BMC Public Health. 2010;10:4. https://doi.org/10.1186/1471-2458-1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