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시설 거주 미혼모의 양육역량 향상을 위한 중재의 통합적 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f Interventions to Improve Parenting Competencies of Unmarried Mother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in Korea 원문보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7 no.1, 2020년, pp.28 - 39  

이금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정예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김성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김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신다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understand the core elements and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on the improvement of parenting capabilities of unmarried mother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is concept. Methods: Five electronic databases (KISS, KMbase, KoreaMed, NDS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논문 중에서 시설 거주 미혼모의 양육 관련 역량의 향상을 위해 수행된 중재연구의 구성과 결과를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설 거주 미혼모의 양육역량의 향상을 위해 시행된 중재 연구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선정된 연구에서는 심리적 측면과, 사회문화적 측면의 역량 향상을 위한 중재를 구성하여 시설 거주 미혼모의 양육역량 향상에 기여하고 있었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행된 시설 거주 미혼모의 양육 역량향상을 위해 시행된 연구에서 사용한 중재의 구성을 파악하고 중재의 결과와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시설 거주 미혼모를 대상으로 양육역량 향상을 도모한 연구를 수집하여 통합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시설 거주 미혼모의 중재제공에 기초가 될 만한 다양한 지식을 포함하고 있기에 시설 거주 미혼모를 접하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시설 거주 미혼모를 대상으로 양육역량 향상을 도모한 연구를 수집하여 통합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시설 거주 미혼모의 중재제공에 기초가 될 만한 다양한 지식을 포함하고 있기에 시설 거주 미혼모를 접하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추후에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미혼모의 양육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될 중재연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미혼모의 양육역량을 향상을 위해 시행된 중재의 핵심구성과 효과를 통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는 시설 거주 미혼모에게 제공된 중재연구의 방향과 제한점, 중재의 유형, 변화를 유발한 중재의 구성요소와 효과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미혼모의 양육역량을 향상을 위해 시행된 중재의 핵심구성과 효과를 통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는 시설 거주 미혼모에게 제공된 중재연구의 방향과 제한점, 중재의 유형, 변화를 유발한 중재의 구성요소와 효과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그러나 현재까지는 시설거주 미혼모를 대상으로 중재를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개별적인 연구가 시행되었을 뿐, 이를 통합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설 거주 미혼모를 대상으로 한 국내 양육 역량 향상 중재연구를 고찰하여, 시설 거주 미혼모 대상의 효과적인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oh MH, Chae SK. Yeoseonghag-ui ihae [Understanding to women's studies]. Paju (KO): Yangseowon; 2008. 369 p. Korean. 

  2. Bang KS, Kim S, Jeong Y, Song MK, Lee G, Lim J. An analysis of research on parenting stress of unmarried mothers in Korea. Korean J Str Res. 2019 Dec 31;27(4):287-97. https://doi.org/10.17547/kjsr.2019.27.4.287 

  3.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20 nyeonhanbumogajogjiwonsaeob annae [2020 Guide of single-parent family support program]. Sejong (KO): Korea Coexistence Welfare Association of the Disabled; 2020. 555 p.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1-13830000-000251-10. Korean.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BOARD_ID320&CONT_SEQ336588&FILE_SEQ196819 

  4. Lee Y. The paradigm shift of social policy for unwed mothers in Korea. Korea Soc Policy Rev. 2017 Mar;24(1):97-115. https://doi.org/10.17000/kspr.24.1.201703.97 

  5. Lee MJ. Hardships of raising children among unwed mothers in Korea. Ewha J Gend Law. 2011 Jun;2(2):79-108. 

  6. Kim E, Kim S, Jung 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2018 survey on single-parent families. Seoul: Hanhagmunhwa. 2017 Dec 11. 119 p. Report No.: 2017-36. Supported b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ternet]. Available from: http://www.mogef.go.kr/io/lib/lib_v200.do?id26889 

  7.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Internet]. Daejeon (KO):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ited 2019 Dec 27]. [Single-parent households by household composition and children's age (including single mother, father, divorce, and bereavement)].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SP1601&conn_pathI2 

  8. Kwon JM. Experiences of young single mothers' lives through QIMS-Qualitative Interpretive Meta Synthesis. Korean J Qual Res Soc Welf. 2016 Oct;10(2):77-103. 

  9. Kim HY. Mihonmo jeongchaeg eodilo gaya haneunga? [Where should single mother policy go for?]. In: Mihonmoleul dulleossan hyeonhwang-gwa jaengjeom [Current status and issues surrounding single mothers]. 47th Yeoseongjeongchaegpoleom [47th Women's Policy Forum]; 2008 aug 14; Seoul.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8. p. 28. Korean. 

  10. [Press release] [Internet]. Daejeong (KO): Statistics Korea. c1996-. 2019 nyeon chulsaeng samangtong-gye jamjeong-gyeolgwa [Interim results of birth and death statistics in 2019]; [cited 2020 Mar 28]; [about 1 screen].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bSeq&aSeq380865&pageNo2&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11. Lee K.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principle of the UNCRC and the child protection legislation of Korea. Legis Policy Studi. 2016 Dec;8(2):193-219. 

  12. Lee E. Social support systems to guarantee the natural rights of unmarried mother's child. J Korean Counc Child Right. 2013 Nov;17(4):625-42. 

  13. Lee KS, Roh JS, Kim SJ. Analysis of mental health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of single mothers. Korean J Woman Psychol. 2017 Nov;22(4):467-89. 

  14. Hwang R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anxiety and meternal fetal attachment of unmarried mothers in a welfare center.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5 Sep;11(3):218-24. 

  15. Sung JH, Kim JH, Shin OJ.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pregnancy and childbirth crisis of the unmarried mother and the improvement of support system. J Korean Soc Welf Adm. 2015 May;17(2):277-309. 

  16. Chung MR, Kang SK, Kim MJ, Choi HJ.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temperaments of 12-month-old infants, maternal attachment, parenting stress and infant development. J Early Child Educ. 2014 Jun;34(3):333-54. 

  17. Gwon T, Lee G, Kang E, Moon J, Jeong J. An integrative review on the contents and effectivenes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terventions applied to unmarried mother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Perspect Nurs Sci. 2019 Apr 30;16(1):45-54. https://doi.org/10.16952/pns.2019.16.1.45 

  18. Goldstein J, Freund A, Solnit AJ. Beyond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New York: The Free Press; 1984. 224 p. 

  19. Park JK, Seo BS, Kim HR. The study for the factors of core competency and self-perception of parents in the car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Korean J Physical Multiple Disabilities. 2011;54(1):61-85. 

  20. Lee SJ, Han Y. The effects of CPRT with group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of single mothers with infants or preschool children. J Korean Home Manag Assoc. 2019 Jun;37(2):233-52. https://doi.org/10.7466/JKHMA.2019.37.2.233 

  21. Whittemore R, Knafl K.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 Adv Nurs. 2005 Nov 2;52(5):546-5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 

  22. Kim SY, Park JE, Seo HJ, Lee YJ, Jang BH, Son HJ, et al.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271 p. Available from: https://www.neca.re.kr/org_bbs_download.do?seq2118&file_name6517520130215160555.pdf 

  23. Ryu DA. Effect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self esteem for unmarried mother [master's thesis]. Daegu (KO):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4. 72 p. 

  24. Yoon MR, Choi SN. The effects of prenatal care-based group art therap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other-fetal attachment of unwed mothers at a shelter facility. Korean J Art Ther. 2013 Dec 15;20(6):1179-98. 

  25. Park IT.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 for unmaried mothers: based on nursing model of resilience and coping skill training model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20. 229 p. 

  26. Bandura A.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1st e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334 p. https://doi.org/10.1017/CBO9780511527692 

  27. Lee G, Kim S. An integrative review on the contents and effectiveness of emotion coaching interventions for par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9 Mar;28(1):64-78. https://doi.org/10.12934/jkpmhn.2019.28.1.64 

  28. Kim JU, Kim YK. The effect of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on resilience, trait anxiety and self-efficacy of single mothers. J Learn Cent Curric Instr. 2018 Sep 30;18(18):515-37. https://doi.org/10.2251/jlci.2018.18.18.51 

  29. Kwon BH, Kim GS.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at doll making on affection and depression in unmarried mother in facilities. Korean J Art Ther. 2015; 22(3):985-1007. 

  30. Kim S, Bang KS, Lee G, Lim J, Jeong Y, Song MK. Stressors and stress responses of unmarried mothers based on Betty Neuman's systems model: an integrative review. Child Health Nurs Res. Forthcoming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