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 간호사의 사회적지지, 정서적 소진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ocial Support,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of Male Nurse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5 no.2, 2018년, pp.175 - 183  

강정희 (유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of male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 male nurses working in hospitals,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multiple regress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남자 간호사의 사회적지지, 정서적 소진 및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남자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는 요인을 밝혀내어 남자 간호사가 병원에서 중요한 간호인력 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남자 간호사의 사회적지지, 정서적 소진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간호사의 사회적지지, 정서적 소진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사지지가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주는 영향은 무엇인가? 그리고,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요인은 사회적지지 중 상사지지이었다. 이런 연구결과는 여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기존 국내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는데,여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국내연구에서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았고[27], 포르투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국외연구에서 상사와 동료의 지지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났다[28]. 남자 간호사는 여자 중심의 간호조직에서 소외되어 여자 간호사와의 관계형성과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서 직무만족이 저하되고 이직이 높다고 하였다[11,12]. 따라서, 간호 관리자는 남자 간호사가 근무하는 간호조직에서 동료들과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다양한 방법 등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직무만족을 높일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남자 간호사의 사회적지지에 관한 연구가 없어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남자 간호사의 이직의도와 관련있는것은 무엇인가? 남자 간호사는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았으며[10], 외부취업기회가 주어지거나 역할갈등이 있고, 조직몰입이 낮으면 이직의도가 높았다[15]. 또한, 캐나다남자 간호사는 급여와 휴가 같은 외적 보상과 일정에 대해 덜 만족하고 간호사에 대한 조직적 지원이 적다고 인지할 때, 그리고 성차별이 있을 때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
남자 간호사가 직무에 만족하지 못하여 이직을 경험하게 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하지만, 남자 간호사는 중환자실과 응급실, 수술실 등과 같은 간호영역에 진료지원인력(Physician assistant)으로 배치 받는 경우가 많아 근무부서의 선택이 제한적이며, 간호사가 여성 중심의 직업이라고 인식하는 사회적 분위기, 인력부족으로 인한 초과근무, 열악한 근로조건, 기대에 못 미치는 보수수준[8], 경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복되는 업무와 과중한 업무[11], 환자나 보호자로부터 간호를 거부당하는 경험으로 인한갈등[1], 간호부서에 대한 소속감 부족 및 승진에 대한 한계[12] 등으로 직무에 만족하지 못하여 이직을 경험하게 된다. 기존 국내연구에서 이직을 희망하는 남자 간호사가 7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JH, Park KO, Kim JK, Yun HJ, Lee JH, Cho EK, Kim SH, et al. An Adaptation Experience of Male Nurses at General Nursing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5):496-506.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5.496 

  2. Yu M, Kang KJ, Yu SJ, Park MS. Factors affecting Retention Intention of Male Nurses Working Health Care Institu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3):280-289.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3.280 

  3. Korean Nurses Association. Nurse National Examination Man Passed 2,000 people entering.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2017 January 16;1911. Available from: http://nursenews.co.kr/main/ArticleDetailView.asp?sSection61&idx21195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Long-term supply and demand forecast for major healthcare personnel in 2017.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May 2. 

  5. Herakova LL. Nursing masculinity: Male nurses' experiences through a co-cultural lens. Howard Journal of Communications. 2012;23(4):332-350. 

  6. Dale Rajacich, Debbie Kane, Kathryn Lafreniere, Michelle Freeman, Sheila Cameron, James Daabous. Male RNs: Work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Stay in the Profession. Canadia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4;46(3):94-109. 

  7. Chen SH, Fu CM, Li RH, Lou JH, Yu HY.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professional empowerment, and nursing career development of male nurses: A cross-sectional analysi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2;34(7):862-882. https://doi.org/10.1177/0193945910384603 

  8. Lee KJ, Kim MY. The Relationship of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ale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4;26(1):46-57. https://doi.org/10.7475/kjan.2014.26.1.46 

  9. Cho MK, Kim CG. The Relationship among Practice Environment,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of Male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6;25(3):177-187. https://doi.org/10.5807/kjohn.2016.25.3.177 

  10. Ahn MK, Lee MH, Kim HK. Jeong SH.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ale Nurses.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2):203-211.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2.203 

  11. Son HM, Koh MH, Kim CM, Moon JH, Yi MS. The male nurses' experiences of adaptation in clinical sett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03;3(1):17-25. https://doi.org/10.4040/jkan.2003.33.1.17 

  12. Ahn KH, Seo JM, Hwang SK. Content Analysis of Male Hospital Nurses' Experienc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9;21(6):652-665. 

  13. Lee SY.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s of turnover of male nurse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4. 

  14. Sochalsk J. Nursing Shortage Redux: Turning The Corner On An Enduring Problem. Health Affairs. 2004;21(5):157-164. 

  15. Kim SO, Kang YH. A Prediction Model on the Male Nurses' Turnover Inten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6;28(5):585-594. https://doi.org/10.7475/kjan.2016.28.5.585 

  16. Yun. HJ. A study on the Adaption Process of Experienced Male Nurse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6;6(7):209-217. https://doi.org/10.14257/AJMAHS.2016.07.15 

  17. Kim MR, Seomun GA. Relationships among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o Resign i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2):93-101. https://doi.org/10.5807/kjohn.2013.22.2.93 

  18. Ko JW.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on Job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1999;33(2):359-387. 

  19. Kang JH, Kim CW. Evaluating Applicability of Maslach Burnout Inventory among University Hospitals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1):31-37. 

  20.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5;17(4):297-317. 

  21. Lee MH.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998;4(2):363-385. 

  22. Park HS.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ursing Care Role Orientation, Job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among Nurs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2. 

  23. McMillian J, Morgan SA, Ament P. Acceptance of Male Registered Nurses by Female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6;38(1):100-106.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6.00066 

  24. Park OI, Park HR, Kim JS. A Study on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06;32(2):105-112. 

  25. Lee HJ, Cho YC.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8):5314-5324. https://doi.org/10.5762/KAIS.2015.16.8.5314 

  26. Hsu HY, Chen SH, Yu HY & Lou JH. Job Stress, Achievement Motivation and Occupational Burnout among Male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7):1592-1601.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0.05323.x 

  27. You MA, Son YJ. The Relationships of Work-Family Conflict,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Korean Married Hospital Nurses.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4):515-523. 

  28. Alejandro OR, Helena DA. Work Engagement,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in Portuguese Nursing Staff: A winning combination. Applied Nursing Research. 2017;36:37-41. https://doi.org/10.1016/j.apnr.2017.05.012 

  29. Aiken LH, Clarke SP, Sloane DM. Hospital Staffing, Organization, and Quality of Care: Cross-national finding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2;14(1):5-13. 

  30. Poghosyan L, Aiken LH, Sloane DM. Factor structure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An analysis of data from large scale cross-sectional surveys of nurses from eight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894-9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