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to Turnover Intention for Men in Nursing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3 no.1, 2017년, pp.32 - 41  

황하만 (동의병원) ,  김명자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conflict for men in nursing,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1 and September 1, 2015 from 225 men in nursing currently working in 36 Korean gener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료기관내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은 간호 인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하므로 간호사의 이직 예방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조직에서 근무하는 남자간호사의 효과적인 인력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며, 이를 통해 여성 위주의 간호조직에서 근무하는 남자간호사를 이해하고, 그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인력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그러나 성역할 갈등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를 동시에 살펴본 연구는 찾아 볼 수 없으며, 대상자의 근무지역이 대부분 일부 지역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포괄적인 자료수집을 위하여 대한간호협회의 병원 주소록을 토대로 전국의 1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서 근무 중인 남자간호사를 대상으로 성역할 갈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병원에 근무하는 남자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성역할 갈등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대해 살펴보고 관련 특성을 파악하였다. 남자간호사를 대상으로 성역할 갈등[12]과 직무만족[2,15] 및 이직의도[17,20]에 관해 각각 연구한 선행연구는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조직 내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남자간호사가 배출된 해는 언제인가? 우리나라에서는 1962년 처음으로 남자간호사를 배출한 이래 2012년 5,183명으로 50여년 만에 5천명 시대를 맞은 후, 2016년에는 10,524명으로 4년 사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하여 1만명을 넘어섰다[4]. 2014년의 남자간호사 면허 신고자 3,999명중 근무처가 파악된 인원은 2,207명(55.
남자간호사의 특징을 살필 때 병의원 환경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적합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는 1962년 처음으로 남자간호사를 배출한 이래 2012년 5,183명으로 50여년 만에 5천명 시대를 맞은 후, 2016년에는 10,524명으로 4년 사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하여 1만명을 넘어섰다[4]. 2014년의 남자간호사 면허 신고자 3,999명중 근무처가 파악된 인원은 2,207명(55.2%)이고 이들 중 병의원 근무자가 1,894명(85.8%)으로 가장 많았다[5]. 따라서 간호사로서의 남자간호사 특징을 살피는 것은 병의원 환경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최근에 남성 간호사가 늘어나는 것은 어떠한 배경 때문인가? 간호사는 전통적으로 여성의 직업이라는 인식이 있었으나, 이러한 고정관념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흥미나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는 사회 분위기로 인해 간호직을 선택하는 남성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1,2]. 사회가 다양화 되고 남녀의 역할 구분은 점점 더 의미가 없어지면서 여자의 성역으로 생각되던 간호직에 남자들이 진출하게 되었고, 간호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직업 선택에 있어서 성적 특성을 초월하는 개방적 사고의 증가가 남자간호사가 늘어난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KH, Seo JM, Hwang SK. Content analysis of male hospital nurses' experienc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9;21 (6):652-665. 

  2. Lee SS. The Effects of male nurses of hospital organization culture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focused on the hospitals around capital areas [master's thesis]. Seoul: Catholic University; 2010. 

  3. Son HM, Koh MH, Kim CM, Moon JH, Yi MS. The male nurses' experiences of adaptation in clinical sett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3;33(1):17-25. 

  4. Chung KS. Korea male nurses over 100 thousand.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February 16, 2016; Sect. Issues/ Planning. Available from: http://www.nursenews.co.kr/main/ArticleDetailView.asp?sSection61&idx6885 

  5. Korean Nurses Association. Male nurses work place statistical review.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Public Relation Department; 2014 12 3. 

  6. Lee SY.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s of turnover of male nurse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4. 

  7. O'Neil JM. Patterns of gender role conflict and strain: Sexism and fear of femininity in men's lives.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1981;60:203-210. 

  8. Park YR. The adaptation process of male students in colleges of nursing.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 16(4):449-458. 

  9. Kim JH, Hwang OK.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femininity, masculinity, gender role conflict and position on mal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10; 11(2):247-264. 

  10. Herakova LL. Nursing masculinity: Male nurses' experiences through a co cultural lens howard. Journal of Communications. 2012;23(4):332-350. https://doi.org/10.1080/10646175.2012. 722822 

  11. Mclaughlin K, Muldoon OT, Moutray M. Gender, gender roles and completion of nursing education: A longitudinal study. Nurse Education Today. 2010;30:303-307. https://doi.org/ 10.1016/j.nedt.2009.08.005 

  12. Lee KJ, Kim MK. The relationship of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ale nurse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4;26 (1):46-57. 

  13. Park HS, Ha JH, Lee MH. The relationship among gender-role identity, gender stereotyp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mal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5):2962-2970. https://doi.org/10.5762/KAIS. 2014.15.5.2962 

  14. An ES, Chu SK. Study on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 and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1;17(1):14-21. https://doi.org/10.11111/ jkana.2011.17.1.14 

  15. Kim HJ. Job stress and satisfaction among male nurses in Daegu [master's thesis]. Gyeongsan: Yeungnam University; 2010. 

  16. Lee BH. Comparison of job stress between male and female nurses [master's thesis]. Ulsan: Ulsan University; 2014. 

  17. Kim SO. A prediction model on the male nurses' turnover intention[ dissertation]. Seoul: Ewha Women's University; 2016. 

  18. Choi JH. Related factors the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male nurses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12. 

  19. Ahn MK, Lee MH, Kim HK, Jeong SH.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ale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5;21(2):203-211.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2.203 

  20. Kim HS. The job changing experience of a male nurse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3. 

  21. Kim IJ, Shim HW. Subjectivity on the job image of male nur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2016;32:69-87. 

  22. O'Neil JM, Helms BJ, Gable RK, David L, Wrightsman LS. Gender- role conflict scale: College men's fear of femininity. Sex Role. 1986;14:335-350. https://doi.org/10.1007/ BF00287583 

  23. Eisler RM, Skidmore JR. Masculine gender role stress: Scale development and component factors in the appraisal of stressful situation. Behavior Modification. 1987;11(2):123-136. https://doi.org/10.1177/01454455870112001 

  24. Lee SY, Kim IS, Kim JH, Kim JA. Development of Korean Male Gender Role Conflict Scale. The Women's Studies. 2012; 82(1):5-33. 

  25. Stamps PL, Piedmont EB, Slavitt DB, Haase AM.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1978;16(4):337-352. 

  26. Yeun EJ, Kim HJ.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Nurse Turnover Intention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2):256-266. https://doi.org/10.4040/jkan.2013.43.2.256 

  27. Park SH, Song YJ.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with job performance: dimensions, impacts and implications. The Korean Governance Review. 2013;20(1):1-24. 

  28. Kim IS. Impact of practice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5. 

  29. Kim MY. (A) Study on relations among the self-efficacy,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Gongju: Kongju University; 2016. 

  30. Yun SG, Park JY, Kim KH, Han CH. Evaluation on the performance of nursing in according to the nursing grade of hospital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10;15(3):1-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