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GPS 기선해석에 의한 타원체고 추정에서 대류권 오차 보정기법이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분석
Impact of Tropospheric Modeling Schemes into Accuracy of Estimated Ellipsoidal Heights by GPS Baseline Processing: Experimental Analysis and Result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6 no.4, 2018년, pp.245 - 254  

이흥규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Chemical Engineer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GPS 높이측량의 정확도 제고 측면에서 대류권오차 보정방법이 기선해석을 통한 타원체고 추정 정확도와 정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 방법에 의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상시관측소 88점을 이용해 기선장과 표고차에 따라 247개 기선을 구성하고, GNSS 통합 데이터센터로부터 7일 분량의 관측 데이터를 취득한 후 2가지 기선해석 소프트웨어에 의해 Hopfield, 수정 Hopfield 그리고 Saastamoinen와 같은 경험식과 이중차분정밀절대측위 대류권 오차 추정기법을 적용해 총 8,645개 실험기선을 처리하였다. 산정한 각 관측점 타원체고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오차 보정기법 따라 계산하고 기선장과 표고차와 같은 기선 구성 조건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류권오차 보정방식의 특징을 정확도와 정밀도 측면에서 고찰하고 GPS 높이측량의 기선해석에서 기선장과 표고차에 대해 적합한 대류권오차 모형화 기법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mpact of tropospheric correction techniques on accuracy of 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erived ellipsoidal heights has been experimentally assessed in this paper. To this end, 247 baselines were constructed from a total of 88 CORS (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s) in Korea. The G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GPS 높이측량의 기선해석에서 대류권 오차 보정방식이 타원체고 추정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88개 상시관측소를 이용해 247개 실험기선을 구성한 후 GNSS 통합 데이터센터로부터 7일 동안 관측 데이터를 확보하여 총 8,645회 기선해석 및 정확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논문은 GPS 높이측량의 기선해석에서 대류권 오차 보정기법이 타원체고 정확도와 정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관측 조건에 부합하는 보정방식 선정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GPS 기선해석에서 대류권 오차와 정확도의 관계 그리고 보정방식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실제 관측 데이터를 처리·분석 하였다.
  • 7과 같이 오차막대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이는 관측점 사이 표고차가 기선해석의 대류권 오차 보정방식에 따라 잔존하는 타원체고 추정 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 하고자 함이었다. 전체적인 정확도는 표고차 증가에 따라 경험식을 적용한 결과가 대류권 오차를 추정한 것에 비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높이측량이란 무엇인가?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높이측량은 기선해석에 의해 추정한 관측 지점의 타원체고에 지오이드고를 차감하여 표고를 결정하는 간접수준측량이다. 레벨에 의한 직접수준측량과 비교할 때 GPS 높이측량의 특징은 관측점 시통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신속한 관측이 가능함은 물론 거리에 따른 오차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특히 장거리 관측에 유리하다는 것이다(Shin et al.
GPS 타원체고 추정 정확도가 수평성분에 비해 2~3배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 2015). 이것은 위성배치의 기하구조 특성으로 높이성분 기하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관측오차 중 수신기 시계오차와 대류권 오차가 타원체고와 상관성이 높기 때문이다 (Rothacher, 2002). 전자는 의사위성 설치에 의해 높이성분 기하강도 개선을 통해 일부 해결 가능하나, 이 기술은 상대적으로 낮은 측위 정확도를 필요로 하는 항법 및 이동측위 응용분 야에 적합한 것으로 기준점측량에 적용하는 것은 현실성이 낮다(Lee et al.
레벨에 의한 직접수준측량과 비교할 때 GPS 높이측량의 특징은?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높이측량은 기선해석에 의해 추정한 관측 지점의 타원체고에 지오이드고를 차감하여 표고를 결정하는 간접수준측량이다. 레벨에 의한 직접수준측량과 비교할 때 GPS 높이측량의 특징은 관측점 시통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신속한 관측이 가능함은 물론 거리에 따른 오차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특히 장거리 관측에 유리하다는 것이다(Shin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eutler, G., Bauersima, I., Gurtner, W., Rothacher, M., Schildknecht, T., and Geiger A. (1987), Atmospheric refraction and other important biases in GPS carrier phase observations, In: Brunner, F.K. (ed.), Atmospheric Effects on Geodetic Space Measurements, School of Surveying,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Australia, pp. 15-43. 

  2. Hofmann-Wellenhof, B., Lichtenegger, H., and Collines, J. (2001), GPS Theory and Practice,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Wien, Austria, 382p. 

  3. Hong, C. (2013), Impact of tropospheric delays on the GPS positioning with double-difference observabl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1, No. 5, pp. 421-4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opfield, H.S. (1969), Two-quartic tropospheric refractivity profile for correcting satellite dat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74, No. 18, pp. 4487-4499. 

  5. Javad (2011), GIODIS Software Manual Version 2.2, Javad GNSS Inc., San Jose, California, USA, 99p. 

  6. Jung, S., Kwon, J., and Lee, J. (2018), Accuracy analysis of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s on leveling loop disconnected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6, No. 1, pp. 1-8. 

  7. Lee, S. and Auh, S. (2016), Accuracy analysis of GPS ellipsoidal height determin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urveying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3, No. 4, pp. 67-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Y., Han, J., and Kwon, J. (2015), Accuracy improvement of real-time GNSS based hegihting using published orthometric height of unified control point, Proceedings of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3-24 April, Changwon, Korea, pp. 345-3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J. and Kwon, J. (2015), Construction and precision verification of Korean national geoid model KNGeoid14, Proceedings of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3-24 April, Changwon, Korea, pp. 177-1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H., Wang, J., Rizos, C., and Tsujii, T. (2005), Augmenting GPS by ground-based pseudolite signals for airborne surveying applications, Survey Review, Vol. 38, No. 296, pp. 88-99. 

  11. Leick, A., Rapoport, L., and Tatarnikov, D. (2015), GPS Satellite Surveying, John Wiley & Sons, Inc., New Jersey, USA, 807p. 

  12. Rothacher, M. (2002), Estimation of station heights with GPS, In: Drewes, H., Dodson, A., Fortes, L.P.S., Sanchez, L., Sandoval, P. (ed.), Vertical Reference System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Germany, pp. 81-89. 

  13. Saastamoinen, J. (1973), Contribution to theory of atmospheric refraction, Bulletin Geodesique, Vol. 107, pp. 13-34. 

  14. Seeber, G. (2003), Satellite Geodesy, Walter de Gruyter GmbH & Co., Berlin, Germany, 589p. 

  15. Shin, G., Han, J., and Kwon, J. (2014), Accuracy analysis of orthometric heights based on GNSS static survey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2, No. 5, pp. 527-5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Wang, M. and Li, B. (2016), Evaluation of empirical tropospheric models using satellite-tracking tropospheric wet delays with water vapor radiometer at Tongji, China, Sensors, Vol. 16, No. 2, pp. 186-201. 

  17. Waypoint (2017), GrafNav/GrafNet User Manual, NovAtel Inc., Calgary, Canada, 168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