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봇치료가 파킨슨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obot Therapy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a Patient With Parkinson's Disease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7 no.3, 2018년, pp.59 - 78  

이인선 (경인의료재활센터병원 작업치료실) ,  김종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박지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지 로봇 치료가 파킨슨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3명의 파킨슨병 환자에게 총 20회기에 걸쳐 실험을 진행하였고, 로봇치료는 1회당 45분, 주5회로 시행되었다. 대상자의 상지 기능회복을 알아보기 위해 매 회기 Reo Assessment tool을 통해 상지 움직임의 효율성 지수를 측정 하여 결과 값을 분석하였고 상지 기능의 중재 전후 비교를 위하여 사전-사후 평가로 JHF, BBT, NHT를 측정하였으며 결과 분석은 시각적 그래프와 기술 통계량을 사용하였다. 결과 : 상지 로봇 치료를 적용한 뒤 측정된 상지 움직임의 효율성 지수 결과 값인 상지 움직임의 저항, 부드러움, 경로 효율성, 방향 정확성, 움직임 시작 시간, 전체 움직임 시간에 전반적인 향상을 보였고, 이를 통해 상지 로봇 치료가 파킨슨병 환자의 상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파킨슨 환자의 상지 기능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적용 과정에서 로봇 치료는 대안적인 방안으로 고려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bot-assisted therapy on upper extremity function. Methods : This study used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A-B-A' design. Three Parkinson's disease patients took part. Each subject received a robot-assisted therapy interven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신경재활에서 로봇 장치를 이용한 재활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상지 로봇 중재 전략에 대한 최신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Quinn, Busse, Dal Bello-Haas, 2013).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로봇 치료가 파킨슨병 환자의 상지 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OO병원에서 내원하여 치료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진행에 앞서 연세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심의를 통해 윤리적 절차를 거친 후 연구 전 연구 대상자에게 연구 목적 및 방법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OO 병원에 입원한 파킨슨병 환자 중 아래의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3명을 선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상지 로봇 치료가 파킨슨병 환자의 상지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파킨슨병 진단을 받은 환자(H&Y 1.5-2.5) 3명에게 Reogo의 상지 로봇 Reo therapy를 이용하여 3차원공간에서 목표물을 향한 팔 뻗기 움직임을 반복적으로 적용한 뒤 Reo therapy에 내장된 RAS(Reo Assessment Scale)을 이용하여 상지 움직임의 저항, 부드러움, 경로 효율성, 방향 정확성, 움직임 시작 시간, 전체 움직임 시간에 대한 6가지 상지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상지 로봇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상지 로봇 치료를 받은 대상자들은 중재 후 로봇 팔 움직임에 대한 대상자의 관절에서 발생하는 저항 값에 감소를 보였고, 목표물을 향해 팔을 뻗는 동안에 상지의 부드러운 움직임, 방향의 정확성, 경로 효율성에 향상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킨슨병이란 무엇인가? 파킨슨병은 기저핵의 일부분인 선조체(corpus stratia)와 흑색질(substansia nigra pars compacta)의 퇴화로 발생되는 진행성 중추신경계 질환이다(Calne, 2005; Morris, 2000).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생산하는 선조체와 흑색질의 퇴화는 움직임, 근육조절, 그리고 균형 등에 영향을 주어, 떨림, 느림, 균형장애, 언어변화, 구부정한 자세, 보행패턴 변화, 얼굴표정상실, 그리고 근육강직 등을 특징으로 한 운동장애를 유발한다(Morris, 2000).
파킨슨병 환자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파킨슨병 환자에 대한 상지의 운동 조절과 기능 증진을 위한 운동학습훈련, 기능적 전기자극, 양측성 상지 훈련, 과제지향적 훈련, 로봇보조재활 등 다양한 치료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Ring & Rosenthal, 2005; Summers et al., 2007; Platz et al.
대뇌 기저핵의 감각정보 통합 처리 과정오류가 운동계획과 운동의 촉진에 영향을 끼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현상은 대뇌 기저핵에서의 감각정보 통합 처리 과정에서의 오류로 인하여 운동계획과 운동의 촉진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기저핵이 예측이 가능하고 반 의식화된 동작에 대해 내적 단서의 발현과 동작에 대한 사전 계획을 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Sharpe, Cermak, & Sax,1983). 파킨슨병 환자의 경우 움직임의 동기체계인 기저핵 기능의 저하로 운동학습에 있어 제한점을 갖게 된다(Nieuwboer, Rochester, Muncks, & Swinne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Lee, J. E., Choi, J. K., Lim, H. S., Kim, J. H., Cho, J. H., Kim, G. S., ... & Lee, J. H. (2017).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Parkinson′s Disease in South Korea: A 10-Year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35(4). 191-198. doi.org/10.17340/jkna.2017.4.1 

  2. Bugar, C. G., Lum, P. S., Shor, P. C., & Van der Loos, H. M. (2000). Development of robots for rehabilitation therapy: The Palo Alto VA/Stanford experienc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37(6), 663-673. 

  3. Butefisch, C., Hummelsheim, H., Denzler, P., & Mauritz, K. H. (1995). Repetitive training of isolated movements improves the outcome of motor rehabilitation of the centrally paretic hand.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130(1), 59-68. 

  4. Calne, D. (2005). A definition of Parkinson's disease. Parkinsonism & Related Disorders, 11, S39-40. 

  5. Carda, S., Invernizzi, M., Baricich, A., Comi, C., Croquelois, A., & Cisari C. (2012). Robotic gait training is not superior to conventional treadmill training in Parkinson diseas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6, 1027-1034. 

  6. Cromwell, F. S. (1965). Occupatinal therapist manual for basic skill assessment: Primary pre-vocational evaluation. Oasadena. CA: Fair Oaks Printing Co. 

  7. Cromwell, F. S. (1976). Occupatinal therapist manual for basic skill assessment: Primary pre-vocational evaluation. Altadena. CA: Fair Oaks Printing Co. 

  8. Crutcher, M. D., & DeLong, M. R. (1984). Single cell studies of the primate putamen. Experimental Brain Research, 53(2), 244-258. 

  9. Fasoli, S. E., Krebs, H. I., Stein, J., & Hogan, N. (2004). Robotic technology and stroke rehabilitation: Translating research into practice. Topic in Stroke Rehabilitation, 11(4), 11-19. 

  10. Grice, K. O., Vogel, K. A., Le, V., Mitchell, A., Muniz, S., & Vollmer, M. A. (2003). Adult norms for a commercially available Nine Hole Peg Test for finger dexterit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7(5), 570-573. 

  11. Hirsch, M. A., & Farley, B. G. (2009). Exercise and neuroplasticity in persons living with Parkinson's disease.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45(2), 215-229. 

  12. Jebson, R. H., Taylor, N., Trieschmann, R. B., Trotter, M. J., & Howard, L. A. (1969). An objective and standardized test of hand function. Archive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50, 311-319. 

  13. Konczak, J., Corcos, D. M., Horak, F., Poizner, H., Shapiro, M., Tuite, P., ... & Maschke, M. (2009). Proprioception and motor control in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Motor Behavior, 41(6), 543-552. 

  14. Kwakkel, G., Kollen, B., & Lindemen, E. (2004). Understanding the pattern of functional recovery after stroke: Facts and theories.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22(3-5), 281-299. 

  15. Li, K. Y., Pickett, K., Nestrasil, I., Tuite, P., & Konczak, J. (2010). The effect of dopamine replacement therapy on haptic sensitivity in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Neurology, 257(12), 1992-1998. 

  16. Lo, A. C., Chang, V. C., Gianfrancesco, M. A., Friedman, J. H., Patterson, T. S., & Benedicto, D. F. (2010). Reduction of freezing of gait in Parkinson's disease by repetitive robot-assisted treadmill training: A pilot study.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7(1), 51. 

  17. Lum, P. S., Burgar, C. G., Shor, P. C., Majmundar, M., & Van der Loos, M. (2002). Robot-assisted movement training compared with conventional therapy techniques for the rehabilitation of upper-limb motor function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3(7), 952-959. 

  18. Majsak, M. J., Kaminski, T., Gentile, A. M., & Flanagan, J. R. (1998). The reaching movements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under self-determined maximal speed and visually cued conditions. Brain, 121(4), 755-766. 

  19. Masiero, S., Celia, A., Rosati, G., & Armani, M. (2007). Robotic-assisted rehabilitation of the upper limb after acute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8(2), 142-149. 

  20. Morris, M. E. (2000). Movement disorders in people with Parkinson disease: A model for physical therapy. Physical Therapy, 80(6). 578-597. 

  21. Nieuwboer, A., Rochester, L., Muncks, L., & Swinnen, S. P. (2009). Motor learning in Parkinson's disease: Limitations and potential for rehabilitation. Parkinsonism and Related Disorders, 15, S53-S58. 

  22. Nieuwboer, A., Rochester, L., Herman, T., Vandenberghe, W., Emil, G. E., Thomaes, T., & Giladi, N. (2009). Reliability of the new freezing of gait questionnaire: Agreement betwee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nd their cares. Gait and Posture, 30(4), 459-463. 

  23. Norouzi-Gheidari, N., Archambault, P. S., & Fung, J. (2012). Effects of robot-assisted therapy on stroke rehabilitation in upper limb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9(4), 479-496. 

  24. Petzinger, G. M., Fisher, B. E., McEwen, S., Beeler, J. A., Walsh, J. P., & Jakowec, M. W. (2013). Exercise-enhanced neuroplasticity targeting motor and cognitive circuitry in Parkinson's disease. The Lancet Neurology, 12(7). 716-726. 

  25. Picelli, A., Melotti, C., Origano, F., Waldner, A., Fiaschi, A., Santilli, V., & Smania, N. (2012). Robot-assisted gait training in patients with Parkinson diseas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6(4), 353-361. 

  26. Picelli, A., Melotti, C., Origano, F., Meri, R., Waldner, A., & Smania, N. (2013). Robot-assisted gait training versus equal intensity treasmill training in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Parkinson's diseas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arkinsonism and Related Disorders, 19(6), 605-610. 

  27. Picelli, A., Tamburin, S., Passuello, M., Waldner, A., & Smania, N. (2014). Robot-assisted arm training in pa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 pilot study.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1(1), 28. 

  28. Platz, T., Eickohf, C., Van Kaick, S., Engel, U., Pinkowski, C., Kalok, S., & Pause, M. (2005). Impairment-oriented training or Bobath therapy for severe arm paresis after stroke: A single-blind, multicent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19(7), 714-724. 

  29. Quinn, L., Busse, M., & Dal Bello-Haas, V. (2013). Management of upper extremity dysfunction in people with Parkinson disease and Huntington disease: Facilitating outcomes across the disease lifespan. Journal of Hand Therapy, 26(2), 148-155. 

  30. Reinkensmeye, D. J., Emken, J. L., & Cramer, S. C. (2004). Robotics, motor learning, and neurologic recovery. Annual Review of Biomedical Engineering, 6, 497-525. 

  31. Ring, H., & Rosenthal, N. (2005). Controlled study of neuroprosthetic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sub-acute post-stroke rehabilitat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7(1), 32-36. 

  32. Schettino, L. F., Adamovich, S. V., Hening, W., Tunik, E., Sage, J., & Poizner, H. (2006). Hand preshaping in Parkinson's disease: Effects of visual feedback and medication state. Experimental Brain Research, 168(1-2), 186-202. 

  33. Sharpe, M. H., Cermak, S. A., & Sax, D. S. (1983). Motor planning in Parkinson patients. Neuropsychologia, 21(5). 455-462. 

  34. Smania, N., Picelli, A., Geroin, C., Munari, D., Waldner, A., & Gandolfi, M. (2013). Robot-assisted gait training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 Management, 3(4), 321-330. 

  35. Summers, J. J., Kagerer, F. A., Garry, M. I., Hiraga, C. Y., Loftus, A., & Cauraugh, J. H. (2007). Bilateral and unilateral movement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TMS study.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252(1), 76-82. 

  36. Trombly, C. A. (1989).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3r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37. Volpe, B. T., Ferraro, M., Lynch, D., Christos, P., Krol, J., & Trudell, C. (2005). Robotics and other device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recovering from stroke. Current Neurology and Neuroscience Reports, 5(6), 465-470. Doi:10.1007/s11910-005-0035-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