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회복력 평가 및 증진방안: 수원시를 대상으로
Evaluating and Improving Urban Resilience to Climate Change in Local Government: Focused on Suwon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7 no.4, 2018년, pp.335 - 344  

김은영 (수원시정연구원) ,  정경민 (수원시정연구원) ,  송원경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에 의한 이상기후로 도시에서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회복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가뭄, 폭염, 폭우 등의 기후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수원시의 현재 도시 회복력 수준을 평가하고 도시차원에서 회복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도시 회복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취약계층, 의료서비스 접근성, 인력양성 등의 사회적 회복력과 주거안정, 고용안정, 수입균등, 경제적 다양성 등의 경제적 회복력 지표가 선정되었다. 또한, 주거취약성, 이재민 수용능력, 하수체계 등의 도시인프라 회복력과 보호자원, 지속성, 재해위험 노출 등의 생태적 회복력 평가지표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지표를 토대로 수원시와 구별 도시 회복력 수준을 평가하였으며 도시 회복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향후 회복력 있는 도시 실현을 위해서는 지자체 차원에서 도시정책 및 계획 수립 시 회복력 개념 및 회복력 있는 도시를 위한 목표가 반영되어야 하며,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이행모니터링이 마련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damage caused by the abnormal climate due to climate change is increasing, the interest in resilience is increasing as a countermeasure to this. In this study, the resilience of Suwon city was examined and the plan to improve the resilience were derived against climate impacts such as drough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이상기후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 차원에서의 도시회복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도출하고 평가하여 도시회복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도시회복력 증진방안을 토대로 도시회복력을 높이기 위한 통합된 정책과 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회복력 있는 재난위험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기후변화에 의한 이상기후로 인해 도시에서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 폭염, 폭우 등의 기후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수원시의 회복력 수준과 도시차원에서 회복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사회적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의 취약계층 지원과 의료서비스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경제적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거복지 실현을 통한 주거안정 및 일자리 창출이 중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지역에서의 재해발생이 2차, 3차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2008). 특히 도시지역에서의 재해발생은 도시기능의 고도화, 토지이용의 고밀도 및 복합화로 인해 그 피해의 정도가 1차적인 재난재해의 범위를 넘어서 2차, 3차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Son 2015). 이와 같이 기후변화 및 각종 자연재해를 원천적으로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도시의 방재력 강화를 통해 재난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시키고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담보할 수 있는 도시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Son 2015).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도시차원의 대응이 중요한 이유는? 도시는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인 CO2를 배출하는 원인제공자인 동시에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당사자이므로 도시차원의 대응이 중요하다(Copenhagen Climate Summit for Mayors 2009.12.
유엔 지속가능발전 도시 목표가 제시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 유엔 지속가능발전 도시 목표(SDGs)에서는 도시와 주거지를 포용적이고 안전하고 회복력 있고 지속 가능하게 보장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특히 2020년까지 포용, 자원 효율성,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자연재해에 대한 복원력을 위해 통합된 정책과 계획을 채택하고 이행하는 도시와 주거지의 수를 대폭 늘리고, 재난위험경감을 위한 센다이 프레임워크 2015-2030(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15-2030)에 따라 모든 수준에서의 통합 재난위험관리를 개발하고 이행한다고 제시하였다(UN 지속가능발전 홈페이지).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urton C. 2012. The Development of Metrics for Community Resilience to Natural Disasters. Ph.D. thesis,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2. Cutter SL, Ash KD, Emrich CT. 2014. The geographies of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9: 65-77. 

  3. Cutter SL. 2008. A framework for measuring coastal hazard resilience in New Jersey Communities. White Paper for the Urban Coast. 

  4. Great London Authority. 2011. Managing risks and increasing resilience. 

  5. Ha SJ. 2014. A Study on Examination and Application of the Regional Resilie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Korean Literature] 

  6. Han WS. 2016. Research on Regional Resilience Improvement coping with Flooding Disaster by Climate Change Effect (I)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silience Assessment Method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Korean Literature] 

  7. Kang SJ. 2013. A Policy Implication for Community Resilience from Natural Disasters. Gyeonggi Research Institute. [Korean Literature] 

  8. Kim DH. 2015. Urban Climate Resilience: Operationalization and Evaluation(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9. Kim JG, Im JH, Lee SH. 2016. A research on Resilience for Urban Regeneration. Land & Housing Institute. [Korean Literature]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Climate Change Report in Suwon city, Gyeonggi-do. [Korean Literature] 

  11. Linnean Solution, The Built Environment Coalition, The Resilient Design Institute. 2013. Building resilience in Boston. 

  12. Mayunga JS. 2009. Measuring the measure: A multi-dimensional scale model to measure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in the US Gulf Coast region. Texas A&M University. 

  13. Pickett ST, McGrath B, Cadenasso ML, Felson AJ. 2014. Ecological resilience and resilient cities. Building Research & Information 42(2): 143-157. 

  14. Sim OB, Wang KI, Lee BH, Lee MW, Moon C. 2008. A Study on the Disaster-Prevention Urban Planning for the Creation of Safe Cit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Korean Literature] 

  15. Son H. 2015. The Legal Study on Strengthening Disaster-preventive Management of Urban Space.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Korean Literature] 

  16. Walker B, Holling CS, Carpenter S, Kinzig A. 2004. Resilience, adaptability and transformability in social-ecological systems. Ecology and society 9(2): 5. 

  17. http://www.un.org/sustainabledevelop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