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LS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자전거사고 요인분석
A Factor Analysis for Bicycle Accidents Using the PLS Structural Equation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7 no.4, 2018년, pp.26 - 40  

오주택 (한국교통대학교 건설환경도시교통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전거사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PLS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자전거사고모형을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사고를 전국 시 군 구를 대상으로 전체 사고건수, 중상이상 사고, 경상사고로 사고유형을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고모형들을 통해 자전거사고의 주요 원인들을 살펴보면 도시화의 확대가 자전거사고의 가장 큰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자전거사고모형들에 포함된 주요 요소들을 살펴보면 인구수, 경제활동인구비율, 교차로밀도, 시가화 면적비율, 상업과 공업의 토지이용, 운전면허소지자, 자동차등록대수, 교육기관 설립수, 공원수 등의 증가가 자전거사고의 증가로 이어졌다. 또한 자전거도로연장, 자전거보유대수, 자전거수단분담률의 증가 등 각 지자체 별로 활성화되고 있는 자전거이용의 확산 역시 자전거사고를 증가시키는 주요 요소들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bicycle accidents using the PLS structural equation. Accident types in this study were categorized into total accidents, serious injuries including death, and light injuries which occurred at nationwide Si Gun Gu. It was found that urbaniz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7)와 Shin et al.(2012)의 논문들에서 인천광역시와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순서형 프로빗모형과 이항 로짓모형 등을 이용하여 사고의 심각도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들의 경우, 사고심각도의 구분을 Oh et al.
  • (2008)과 Kwon et al.(2015)의 논문들에서 인천광역시와 광주광역시 등의 도시부도로를 중심으로 비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도로의 기하구조 등을 포함한 다양한 변수들을 통해 자전거사고의 원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Hong and Kim(2010)은 자전거사고발생을 확률과 조건부확률의 개념을 도입하여 자전거사고유형별 확률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 다만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보다는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시·군·구의 공간적 범위의 차이가 자전거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개별사고에 중점을 둔 기존 연구들에서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시·군·구의 공간적 범위의 차이가 자전거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다만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보다는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시·군·구의 공간적 범위의 차이가 자전거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원인분석을 하는 방법론으로 기존의 연구들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비선형회귀분석보다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자전거사고의 원인을 설명하려고 하였다.
  • 본 연구는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자전거사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존에 많이 이용되어온 회귀분석을 배제하고 PLS 구조방정식을 통한 사고모형개발을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결합한 PLS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사고모형을 개발하고 모형결과들에 대한 논의를 수행한다. 구조방정식은 회귀분석에 비해 다중공선성 문제에 보다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고 자전거사고가 일반 자동차사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발생건수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AMOS 등 기존의 구조방정식 모델들에 비해 데이터 분포와 표본크기에 대한 제약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PLS 구조방정식의 추정방법을 본 연구의 주요 분석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 이러한 기존 연구들과의 차이점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고모형을 통해 자전거이용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사고를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전체사고건수, 중상이상 사고, 경상사고로 사고유형을 구분하였으며 유형별 사고모형결과를 비교하여 사고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조방정식의 장점은 무엇인가? 구조방정식은 다변량 분석기법 중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결합한 분석방법론으로, 다중공선성 문제로 많은 어려움을 겪는 회귀분석에 비해 매우 유연한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특히 PLS 구조방정식의 추정방법은 LISREL, AMOS 등 기존의 구조방정식 모델들이 공통요인(common factor)을 기반으로 하는 것과는 달리 총 분산인 주성분(principal component)을 기반으로 하며 데이터 분포와 표본크기에 대한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다.
PLS 구조방정식모형의 통계적 검증은 무엇에 의해 이루어지는가? PLS 구조방정식모형의 통계적 검증은 반영지표 모형, 조형지표 모형, 내부모형 평가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제 조건으로, 모든 통계적 검증은 부트스트랩을 사용하여 진행한다.
PLS 구조방정식모형의 통계적 검증에서 반영표 모형의 3가지 기준은 무엇인가? 전제 조건으로, 모든 통계적 검증은 부트스트랩을 사용하여 진행한다. 우선 반영지표 모형은 크게 3가지의 기준들이 제시하는데 신뢰도 평가, 집중타당도 평가, 판별타당도 평가가 여기에 해당한다. 조형지표 모형에 대한 평가는 타당도로 판단하며 외부모델 평가 기준으로 지표 타당도 및 개념 타당도 평가를 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ai Q., Lee J., Eluru N. and Abdel-Aty M.(2016), "Macro-level Pedestrian and Bicycle Crash Analysis: Incorporating Spatial Spillover Effects in Dual State Count Model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93, pp.14-22. 

  2. Chen P.(2015), "Built Environment Factors in Explaining the Automobile Involved Bicycle Crash Frequencies: A Spatial Statistic Approach," Safety Science, vol. 79, pp.336-343. 

  3. Hong J. and Kim M.(2010), "Statistical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of bicycle acci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12, pp.1081-1089. 

  4. Jeon W., Lee H. and Baik N.(2012), "Determining Priority of the Bikeway Construction in Rural National Highway,"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ol. 14, no. 3, pp.111-120. 

  5. Kim D., Cho H. and Kim E.(2008), "A Study on Bicycle Accident Patterns at Urban Inters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ol. 10, no. 38, pp.117-125. 

  6. Kim J.(2010), The Development of Pre-Evaluation Criteria for Leisure Purpose Bicycle Route Plans in an Urban Area Context, Hanyang University. 

  7. Kim T. and Park B.(2017), "Analysis of Bicycle Accidents in Korea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5, no. 5, pp.447-457. 

  8. Kwon S., Kim Y., Kim J. and Ha T.(2015), "Development of Bicycle Accident Prediction Model and Suggestion of Countermeasures on Bicycle Acci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5, no. 5, pp.1135-1146. 

  9. Lee J., Joo Y. and Park S.(2012), "A Study on Environmental Assessment of Bikeway based on ANP Model for Sustainable Green Road,"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 20, no. 6, pp.33-43. 

  10. Nashad T., Yasmin S., Eluru N., Lee J. and Abdel-Aty M.(2016), "Joint Modeling of Pedestrian and Bicycle Crashes: Copula-Based Approach,"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 2601, pp.119-127. 

  11. Oh J., Kim E. and Kim D.(2007), "A Study on the Bicycle Accident Injury Severity at Urban Intersec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7, no. 4D, pp.389-395. 

  12. Schepers J. P., Kroeze P. A., Sweers W. and Wust J. C.(2011), "Road factors and bicycle-motor vehicle crashes at unsignalized priority intersection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43, pp.853-861. 

  13. Shin H. and Park J.(2012), "Bicycle traffic accidents according to age and city size," Monthly KOTI Magazine on Transport, 2012.12, pp.68-72. 

  14. Shin H., Hong J. and Lee S.(2012),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of Bicycle-Related Accidents,"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vol. 19, no. 1, pp.67-78. 

  15. Siddiqui C., Abdel-Aty M. and Choi K.(2012), "Macroscopic Spatial Analysis of Pedestrian and Bicycle Crash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45, pp.382-391. 

  16.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http://taas.koroad.or.kr, 2018.02.13. 

  17. Wang, Y. and Nihan N. L.(2004), "Estimating the risk of collisions between bicycles and motor vehicle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36, pp.313-321. 

  18. Yang J. and Jun C.(2013), "A Study on Bicycle Route Selection Considering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1, no. 3, pp.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