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지역별 자살률 변화와 요인 분석
Changes and Factors of Suicide Rate by Regio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8, 2018년, pp.51 - 61  

이용재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경미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지역 자살률의 변화와 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환경요인의 변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자살률 감소를 위한 지역차원의 정책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0년간 시 군 구 자살률 변화를 확인한 결과 군 지역, 시 지역, 구 지역의 순서로 자살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요인의 경우 1인당 지방세금 부담이 증가하는 지역일수록, 재정자립도가 증가하는 지역일수록 지역 자살률이 감소하였다. 셋째, 사회통합요인의 경우 기초생활수급자비율이 감소하는 지역일수록 지역 자살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여가복지시설수가 증가하는 지역일수록 지역 자살률이 감소하였다. 넷째, 사회해체요인의 경우 조이혼율이 증가하는 지역일수록, 우울감 경험률이 증가하는 지역일수록, 1인 가구 비율이 증가하는 지역일수록 지역 자살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전체의 경제능력 향상과 사회통합을 위한 노력, 지역 내 사회해체현상의 감소를 위한 노력을 통해 지역 자살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regional policy for reducing suicide rate by confirming the change of local suicide rate for 10 years from 2005 to 2015 and the effect of change of local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city, co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사회통합 이론을 살펴보면, 뒤르케임(Durkheim) [3]은 한 사회의 자살률은 안정적이고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자살을 하나의 사회적 사실로 간주하면서 그 사회의 특성을 드러내는 지표로 삼았다. 그리고 유럽 각국과 미국에서의 자살률을 사회학적인 변인들 사이의 비교 연구를 통해 사회통합과 규제의 관계 속에서 해석하고자 시도했다. 그 결과 사회통합이나 사회결속력이 약할수록 자살률은 높아지며, 자살통계의 안정성과 자살률이 여러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맺고 있는 일관된 상관성은 자살의 경향이 사회적 성격을 반영한다는 것임을 밝혀냈다[6].
  •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독립변수의 연도가 일정치않고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연도도 일정치 않아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자살률의 변화율을 사용하여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5년-2015년의 변화율을 산출함에 있어 10년간의 평균변화율을 구하여 사용하였으나, 추후에는 2005년과 2015년의 차이를 이용한 변화율을 활용하여 연구를 해볼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별 자살률의 변화를 지역의 자살 요인의 특성변화로 평가하고 그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지역별 자살률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지역정책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OECD 국가 중 자살률이 12년째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인 우리사회의 자살률, 특히 지역별 자살률의 극심한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 10년간의 지역자살율과 관련 요인의 변화특성과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주요 연구결과와 함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자살률이 OECD 회원국 중 12년째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심각한 수준이라는 문제의식 아래 한국사회의 지역에 따른 자살률을 분석하였다. 한국사회는 지난 수십 년 간 이루어낸 경제적인 급성장과 산업화로 인해 국민총생산(GDP)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군·구지역의 자살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통합 이론을 통한 튀르케임의 연구에서 밝혀진 것은? 그리고 유럽 각국과 미국에서의 자살률을 사회학적인 변인들 사이의 비교 연구를 통해 사회통합과 규제의 관계 속에서 해석하고자 시도했다. 그 결과 사회통합이나 사회결속력이 약할수록 자살률은 높아지 며, 자살통계의 안정성과 자살률이 여러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맺고 있는 일관된 상관성은 자살의 경향이 사회적 성격을 반영한다는 것임을 밝혀냈다[6]. 또한 뒤르케임(Durkheim) [3]은 사회적 통합의 부족은 개인주의를 강화하고 자살을 증가시킨다고 설명하면서 전통적으로 사회구성원들의 욕망을 규제하는 사회적 가치와 기준의 파괴로 인한 사회적 규제의 약화는 자살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22].
자살의 경제학 이론은? 첫째, 자살의 경제학 이론은 경제요인과 자살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이론으로 해멀메쉬와 소스가 주장한 것이다[10].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자살은 경제학적 관점에서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합리적 의사결정에 따라 자살이 이루어진다고 설명하는데, 평생 동안 기대할 수 있는 효용의 현재가치가 일정 수준보다 낮아질 경우 자살하게 된다고 보았다[10].
경제위기와 자살율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또한 경제위기는 기업의 도산, 실업의 증대, 소득의 감소 등과 같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부부 및 가족 관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대화단절, 가족폭력, 가출, 이혼 등과 같은 사회해체 요인으로까지 발전시키며, 결국 경제위기는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선택에 영향을 주게 되어 자살률이 증가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승용, "한국 노인 자살률 변동과 사회구조적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19권, pp.181-205, 2004. 

  2. 김왕배, "자살과 해체사회," 정신문화연구, 제33권, 제2호, pp.195-224, 2010. 

  3. E. Durkheim, Le Suicide, Etude de Sociologie, Alcan, Paris, 1987. 

  4. 박윤진, 자살 사망률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 간 사회경제 보건 관련 요인 분포,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5. 주유형, 노인자살의 시.공간적 확산과 지역 환경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6. 유영직, 시.군 지역의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7. 김기원, 전국 광역시도별 노인자살 차이에 대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8. 유정균, "노인자살률의 지역별 편차: 가족불안정의 영향중심으로:1995-2005," 한국인구학회지, 제31권, 제2호, pp.21-44, 2008. 

  9. 허지정, 최막중, "지역의 주거환경 특성이 노인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제21권, 제4호, pp.47-60, 2013. 

  10. D. S. Hamermesh and N. M. Soss, "An economic theory of suicide," Journal of Policical Ecomomy, Vol.82, No.1, pp.83-98, 1974. 

  11. 김민영, 한국사회의 자살률에 관한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2. 박일주, 지방자치단체 정책이 지역자살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3. 김민영, 정광호, 금현섭, "경제위기와 자살률 간탐색 연구: 15개시도성별 연령별 자살률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73-302, 2011. 

  14. 신동준, "살인과 자살의 문화적 사회구조적 원인," 한국 사회학, 제38권, 제4호, pp.33-71, 2004. 

  15. V. Lorant, A. E. Kunst, M. Huisman, G. Costa, and J. Mackenbach,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uicide: a European comparative study,"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87, No.1, pp.49-54, 2005. 

  16. J. Sareen, T. O. Afifi, K. A. McMillan, and G. J. Asmundson,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mental disorders: findings from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68, No.4, pp.419-427, 2011. 

  17. D. J. Taylor, K. L. Lichstein, H. H. Durrence, B. W. Reidel, and A. J. Bush, "Epidemiology of insomnia, depression, and anxiety," SLEEP, Vol.28, No.11, pp.1457-1464, 2005. 

  18. 우혜경, 조영태, "한국인 중.고령자의 건강상태와 조기은퇴," 한국노년학, 제33권, 제2호, pp.97-418, 2013. 

  19. J. Hintikka, O. Kontula, P. Saarinen, A. Tanskanen, K. Koskela, and H. Viinamaki, "Debt and suicidal behaviour in the Finnish general population,"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Vol.98, No.6, pp.493-496, 1998. 

  20. P. S. Yip, K. C. Yang, B. Y. Ip, Y. W. Law, and R. Watson, "Financial Debt and Suicide in Hong Kong SAR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37, No.12, pp.2788-2799, 2007. 

  21. S. Weyerer and A. Wiedenmann, "Economic factors and the rates of suicide in Germany between 1881 and 1989," Psychological Reports, Vol.76, No.3, pp.1331-1341, 1995. 

  22. 윤우석, "사회적 통합과 자살률의 관계검증: 시군 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0권, 제4호, pp.144-174, 2011. 

  23. 김형수, 김신향, "우리나라 노인자살률의 지역적 편차와 요인에 관한 연구-16개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지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215-224, 2014. 

  24. 윤우석, "지역사회의 집합적 효율성과 범죄피해의 관계검증," 형사정책연구, pp.319-354, 2012. 

  25. 허경미, 현대사회와 범죄학, 박영사, 2015. 

  26. I. H. Burnley, "Socioeconomic and spatial differentials in mortality and means of committing suicide in New South Wales, Australia, 1985-91," Social Science & Medicine, Vol.41, No.5, pp.687-698, 1995. 

  27. 김형수, 권이경, "한국 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지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36-245,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