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R 영화에서 암묵적 프레임의 존재
The Existence of Implicit Frames in VR Mov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8, 2018년, pp.272 - 286  

김태은 (동양대학교 공연영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VR영화는 일반영화에서의 스크린 화면과 관객과의 관계가 전혀 다르게 형성된다. 관객이 곧 카메라가 되고 카메라의 시점의 주체가 되기 때문에 1인칭 시점에 대한 고찰과 서사를 전달하는 프레임의 편집을 대체할 VR영화만의 프레임 이론이 필요하다. VR영화의 서사전달기능을 하는 프레임의 존재를 드러나지 않으면서 상징적 서사기능을 한다는 의미로써 '암묵적'프레임이라 명명하고 이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으로 원씬 원컷으로 제작된 쇼쿠로프감독의 <러시아방주>와 외화면적 요소, 제4의 벽의 개념을 가져올 수 있다. VR영화 속 관객은 현존하지만 동시에 화면 안에서 부재하는 역설적인 딜레마를 가지고 서사에 몰입하게 되면서 하이퍼리얼리티를 겪는다. VR영화 공간에서 시선을 움직이는 시선의 블로킹, 실제와 가상사이의 현존을 묶어주는 원격현존의 속성을 지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R movies form a relationship with the audience in completely different ways from general movies with their screen. In VR movies, the audience becomes the camera and also the subject of the camera viewpoint, which raises a need for a frame theory unique to VR movies to examine the first person view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묵적 프레임이란 무엇을 나타내는가? 암묵적 프레임은 대체적으로 VR화면에서 관람객이시선을 어느 시점에 고정시킬 경우 일반적으로 인지하게 되는 공간적 범주에서의 프레임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영화와 같이 서사를 인식하는데 컷이 편집으로 바뀌지 않는 대신, 공간 안에 배치된 미장센과 관객시선에 의해 블로킹을 통해 프레임이 만들어지게 되며 시선이 움직임에 따라 블로킹이 만들어지게 되므로 암묵적 프레임은 매우 유동적이다.
프레임의 부재가 문제가 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VR영화는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가? 일반 영화의 조건에 VR영화프레임을 대입시킨다면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의 부재 문제는 프레임과 관객이 거리를 두고 스크린과 떨어져 있을 때 감지가 가능한 것인데, VR 영화는 카메라의 자리가 곧 관객의 위치이기 때문에 일반영화에서의 스크린과 관객간의 거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영화의 환경과는 구분된 다른 관점에서의의 프레임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VR 영화에서 관객들은 다른 관점에서의의 프레임 정의를 어떻게 만들어 내는가? VR 영화는 카메라와 관객의 위치가 동일하기 때문에 일반영화에서의 스크린과 관객간 거리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 영화의 환경과는 구분된 다른 관점에서의의 프레임 정의가 필요하다. 관객은 그 프레임 안에서 디아제틱 효과(diegetic effects)를 나타내 환경을 만들어 허구적 성황에 자신을 동일시하게 느끼게 함으로써 스스로를 실제감에 도달시킨다. 그리고 그 공간에 존재하는 듯 환영을 만들어 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 Bureaud, "Multimedia, From Wagner to Virtual Reality," Leonardo, Vol.35, No.1, p.101, 2002. 

  2. R. Aylett and S. Louchart, "Towards a narrative theory of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Vol.7, No.1, pp.2-9, 2003. 

  3. T. Schubert and J. Crusius, "Five theses on the book problem: Presence in books, film and VR," PRESENCE 2002-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workshop on Presence. Porto, Portugal: Universidad Fernando Pessoa., pp.53-59, 2002. 

  4. T. Eriksson, A Poetics of Virtuality,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pp.3-7, 2016. 

  5. https://vrwiki.wikispaces.com/Field+of+view, 2018.6.10. 

  6. D. Bordwell, J. Staiger, and K. Thompson, The classical Hollywood cinema: Film style and mode of produc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p.310-328, 1985. 

  7. E. S. Tan, Emotion and the structure of narrative film: Film as an emotion machine, Routledge, pp.52-53, 2013. 

  8. 김태은, 회화에 있어 동시적 시각의 조형성 연구: 다시점의 평면환경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0, 2001. 

  9. 김호영, "시각매체에서의 이차 프레임의 다양한 의미작용 연구," 한국프랑스학논집, 제57권, pp.243-262, 2007. 

  10. T. Steger, "The stories metaphors tell: metaphors as a tool to decipher tacit aspects in narratives," Field Methods, Vol.19, No.1, pp.3-23, 2007. 

  11. H. Farocki, B. Filmproduktion, and Factory Films, Workers Leaving the Factory, Goethe-Institut, pp.3-4, 1995. 

  12. K. N. Kotwal, Variations of virtual reality in theatre and film: Truth and illusion via art and technology, Diss., The Ohio State University, pp.37-44, 2000. 

  13. K. Brooks, There is nothing virtual about immersion: Narrative immersion for VR and other interfaces, p.4, 2003. http://alumni.media.mit.edu/-brooks/storybiz/immersiveNotVirtual.pdf, accessed May 2007. 

  14. 정미숙, "소쿠로프 감독의 에서의 공간," 영상예술연구, 제12권, pp.161-183, 2008. 

  15. P. Baudisch and R. Rosenholtz, "Halo: a technique for visualizing off-screen objects,"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2003(4). 

  16. P. Dawson, R. Levy, and N. Lyons, "'Breaking the fourth wall': 3D virtual worlds as tools for knowledge repatriation in archaeology," Journal of Social Archaeology, Vol.11, No.3, pp.387-402, 2011. 

  17. https://www.oculus.com/story-studio/blog/theswayze-effect/, 2018.6.20. 

  18. E. Biberman, "On Narrativity in the Visual Field: A Psychoanalytic View of Velazquez's "Las Meninas"," Narrative, Vol.14, No.3, pp.237-253, 2006. 

  19. C. Tricart, VR as a Storytelling Tool. In Virtual Reality Filmmaking, Focal Press, pp.99-128, 2017. 

  20. T. Lentz, I. Assenmacher, M. Vorlander, and T. Kuhlen, "Precise near-to-head acoustics with binaural synthesis," JVRB-Journal of Virtual Reality and Broadcasting, Vol.3, No.2, 2006. 

  21. J. A. King, N. Burgess, T. Hartley, F. Vargha Khadem, and J. O'Keefe, "Human hippocampus and viewpoint dependence in spatial memory," Hippocampus, Vol.12, No.6, pp.811-820, 2002. https://doi.org/10.1002/hipo.10070 

  22. J. Steuer,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2, No.4, pp.73-93, 1992. 

  23. S. Wirth, P. Baraduc, A. Plante, S. Pinede, and J. R. Duhamel, "Gaze-informed, task-situated representation of space in primate hippocampus during virtual navigation," PLoS biology, Vol.15, No.2, p.e2001045, 2017. 

  24. E. M. Howlett, "A wide field of view, high resolution compact virtual reality display," Proceedings of SID Symposium Digest, 1992. 

  25. M. A. Moser and D. MacLeod, "Immersed in Technology: Art and Virtual Environments, ed," Leonardo, Vol.29, No.3, pp.235-238, 1996. 

  26. R. Aylett and S. Louchart, "Towards a narrative theory of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Vol.7, No.1, pp.2-9, 2003. 

  27. N. Burch, To the distant observer:Form and meaning in the Japanese cinema, Univ of California Press, 1982. 

  28. S. Alifragkis and F. Penz, "Spatial dialectics: montage and spatially organised narrative in stories without human leads," Digital Creativity, Vol.17, No.4, pp.221-233, 2006. 

  29. M. Slater, M. Usoh, and A. Steed, "Depth of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s," Presence: Teleoperators & Virtual Environments, Vol.3. No.2, pp.130-144, 1994. 

  30. C. Burdea Grigore and P. Coiffet, Virtual reality technology, London: Wiley-Interscience, p.40, 1994. 

  31. M. A. Doane, "The voice in the cinema: The articulation of body and space," Yale French Studies, Vol.60, pp.33-50, 1980. 

  32. D. Vertov, Kino-eye: the writings of Dziga Vertov, Univ of California Press, 19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