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쿼세틴 복합체의 생물학적 이용성 향상을 위한 양파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
Bioconversion of onion extract to improve the bioavailability of quercetin glycoconjugat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4, 2018년, pp.391 - 399  

윤여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아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종태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윤상만 ((주)천부) ,  김재한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물전환기법과 유산균을 사용한 발효를 이용해 쿼세틴의 회수율 증가와 비배당체(aglycone) 형태로의 전환을 통해 체내 흡수율을 높이고 풍미가 향상된 기능성 양파음료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물전환에 적합한 유산균과 효모를 발굴하고 외부환경 조건에 차이를 두어 쿼세틴의 비배당화 전환율을 최대화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L. casei, L. plantarum, K. lactis가 생물전환공정에 적합한 유산균으로 선별되었다. 양파 슬러리를 포함한 양파즙을 발효하였을 때 쿼세틴 농도는 초기 대비 K. lactis와 L. casei에서 각각 260%, 318%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48시간 이후에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quercetin hexose와 quercetin di-hexose는 최대 141%까지 증가하여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전체 총 쿼세틴 양이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양파즙의 초기 pH를 중성으로 조정하였을 때 비배당체 쿼세틴 농도는 초기에 빠르게 증가했으나 24시간 이후에는 발효가 지속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Quercetin hexose의 농도 또한 빠르게 감소해 비배당체 비율이 증가했지만 자체 농도가 감소해 중성 pH에서의 발효는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발효기를 이용한 대용량 발효 실험에서도 L. plantarum, L. casei와 K. lactis 모두 동일한 발효 효율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식품으로서의 사용을 위한 열 살균 이후에는 유산균 발효 양파즙의 쿼세틴 배당체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고온 고압 살균이 아닌 여과와 같은 다른 살균 공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식물성 유산균 발효를 통한 쿼세틴 함량 증가와 비배당체/배당체 비율의 증가를 확인하였고 고기능성 유산균/젖산균 발효 양파즙의 개발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oconversion and fermentation of onion extract by lactic acid bacteria were carried out to enhance the bioavailability of quercetin through the increase of quercetin recovery and aglycone formation. Lactobacillus casei, L. plantarum, and Kluyveromyces lactis were selected as the optimum strains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물성 유산균과 효소를 이용한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양파즙의 풍미 향상뿐만 아니라 쿼세틴 회수율의 증가 및 비배당체(aglycone) 형태로의 전환의 유도로 퀘세틴의 체내흡수율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Kumagai,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파즙 생물전환 공정을 위한 식물성 유산균과 효모를 발굴하고 외부환경 조건의 차이에 따른 쿼세틴 배당체 및 비배당체 함량을 분석해 양파 쿼세틴의 비배당화 전환율을 최대화하는 공정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 미생물의 발효 이후 상품을 포장, 판매하기 위해서는 살균 공정이 필요하다. 살균 공정이 양파의 기능성 성분인 쿼세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살균 방법은 열 살균과 여과 방법이 있으나 저렴한 열 살균 방법을 이용하여 쿼세틴 농도와 성분 변화를 관찰하였다.
  • 생물전환기법과 유산균을 사용한 발효를 이용해 쿼세틴의 회수율 증가와 비배당체(aglycone) 형태로의 전환을 통해 체내 흡수율을 높이고 풍미가 향상된 기능성 양파음료를 개발하기 위한연구를 수행하였다. 생물전환에 적합한 유산균과 효모를 발굴하고 외부환경 조건에 차이를 두어 쿼세틴의 비배당화 전환율을 최대화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파(Allium cepa.)란? 양파(Allium cepa.)는 마늘과 같은 백합과(Liliaceae)에 속하는 연작이 가능한 다년생 작물이다(Park 등, 2009). 양파는 연 생산량 159만 톤, 재배면적 25,062ha에 달하는 주요 향신채소로, 대한민국은 세계 10대 양파 생산국 중 하나이다(Kim과 Park, 2010).
양파의 노화에 따른 단점은 무엇인가? 양파는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해 저장성이 매우 약하며, 수요공급 불균형으로 인해 가격이 불안정하다(Park, 2009). 또한, 노화됨에 따라 ORAC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값이 감소되며, 중량 감소 및 부패가 일어나기 쉽다(Siddiq 등, 2013). 따라서 양파 경작의 안정적인 소득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식품으로 소비하는 것 이외에 다양한 양파 제품의 개발로 소비를 증대시킬 필요성이 절실하다(Park, 2009).
양파의 영양학적 가치는? 양파는 연 생산량 159만 톤, 재배면적 25,062ha에 달하는 주요 향신채소로, 대한민국은 세계 10대 양파 생산국 중 하나이다(Kim과 Park, 2010).양파는 85% 이상이 수분으로 이루어졌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그리고 미량의 지방도 포함하고 칼슘, 인,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철 등 다양한 무기질과 비타민 C1,D 등 영양물질을 함유한다(McDanell 등, 1988). 양파가 함유하고 있는 기능성 성분인 쿼세틴은 혈중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의 저하 및저밀도 지단백질 수용체의 mRNA 발현을 증가시키는 등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변화시켜 체중 증가를 억제하고(Gawlik-Dziki 등, 2011) 이상지질혈증과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개선효과가 우수하다고 보고되었다(Kim 등, 2010; Ying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W, Choi JY, Yon HS. A study on purchasing characteristics on health functional beverage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J. Hotel Resort 12: 179-196 (2013) 

  2. Choi YJ, Kim SW, Jang JK, Choi YJ, Park YS, Park H, Shim KS, Lee HS, Chung MS. Development of fermented functional onion juice using lactic acid bacteria. Food Eng. Prog. 13: 1-7 (2009) 

  3. Di Gioia D, Strahsburger E, de Lacey AML, Bregola V, Marotti I, Aloisio I, Biavati B, Dinelli G. Flavonoid bioconversion in Bifidobacterium pseudocatenulatum B7003: A potential probiotic strain for functional food development. J. Func. Food. 7: 671-679 (2014) 

  4. Fonseca GG, Heinzle E, Wittmann C, Gombert AK. The yeast Kluyveromyces marxianus and its biotechnological potential. App. Microbiol. Biotechnol. 79: 339-354 (2008) 

  5. Gawlik-Dziki U, Swieca M, Sugier D, Cichocka J. Comparison of in vitro lipoxygenas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nica montana and Arnica chamissonis tinctures. Acta Sci. Pol-Hortoru. 10: 15-27 (2011) 

  6. Grimaldi A, Bartowsky E, Jiranek V. Screening of Lactobacillus spp. and Pediococcus spp. for glycosidase activities that are important in oenology. J. Appl. Microbiol. 99: 1061-1069 (2005) 

  7. Hou WN, Go EK. Extractive optimization of functional components for processing of onion health promotion drink.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03-409 (2004) 

  8. Jiang J. Identification of flavour volatile compounds produced by Kluyveromyces lactis. Biotechnol. Tech. 7: 863-866 (1993) 

  9. Kang JK. Lifestyle disease. J. Korean Med. Sci. 47: 188-194 (2004) 

  10. Kim JE, Joo SI, Seo JH, Lee SP. Antioxida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tartary buckwheat extract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different solvents and enzy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89-995 (2009) 

  11. Kim JM, Park E. Effect of onion consumption on cardiovascular disease in human intervention studies: a literature review.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565-1572 (2010) 

  12. Kim J, Seo Y, Noh SK, Cha YJ. A concentrated onion extract lowers serum lipid levels in rats fed a high-fat diet. Korean J. Food Preserv. 17: 398-404 (2010) 

  13. King A, Dickinson JR. Biotransformation of monoterpene alcohols by Saccharomyces cerevisiae, Torulaspora delbrueckii and Kluyveromyces lactis. Yeast 16: 499-506 (2000) 

  14. Kumagai T. Application of plant origin lactic acid bacteria to food. Food Style 21: 46-47 (2009) 

  15. Lee J, Mitchell AE. Quercetin and isorhamnetin glycosides in onion (Allium cepa L.): varietal comparison, physical distribution, coproduct evaluation, and long-term storage stability. J. Agri. Food Chem. 59: 857-863 (2011) 

  16. Lim AK, Jung HK, Hong JH, Oh JS, Kwak JH, Kim YH, Kim DI. Effects of the soybean powder with rich aglycone isoflavon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302-308 (2008) 

  17. Makras L, Van Acker G, De Vuyst L.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 8700: 2 degrades inulin-type fructans exhibiting different degrees of polymerization. Appl. Environ. Microbiol. 71: 6531-6537 (2005) 

  18. McDanell R, McLean AE, Hanley AB, Heaney RK, Fenwick GR.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indole glucosinolates (glucobrassicins): a review. Food Chem. Toxicol. 26: 59-70 (1988) 

  19. Michlmayr H, Kneifel W. ${\beta}$ -Glucosidase activities of lactic acid bacteria: mechanisms, impact on fermented food and human health. FEMS Microbiol. Lett. 352: 1-10 (2014) 

  20. Park YS, Jang JK, Choi YJ, Chung MS, Park H, Shim KS. Lactic acid fermentation of onion juice supplemented with puffed red ginseng extract. Food Eng. Prog. 13: 16-23 (2009) 

  21. Phitsuwan P, Laohakunjit N, Kerdchoechuen O, Kyu KL, Ratanakhanokchai K. Present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cellulases in agriculture, biotechnology, and bioenergy. Folia Microbiol. 58: 163-176 (2013) 

  22. Pyo YH, Lee TC, Lee YC. Enrichment of bioactive isoflavones in soymilk fermented with a-glucosidas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ood Res. Int. 38: 551-559 (2005) 

  23. Ross J, Kasum CM. Dietary flavonoids: bioavailability, metabolic effects, and safety. Annu. Rev. Nutr. 22: 19-34 (2002) 

  24. Rossi M, Corradini C, Amaretti A, Nicolini M, Pompei A, Zanoni S, Matteuzzi D. Fermentation of fructooligosaccharides and inulin by bifidobacteria: a comparative study of pure and fecal cultures. Appl. Environ. Microbiol. 71: 6150-6158 (2005) 

  25. Saha BC. Hemicellulose bioconversion. J. Ind. Microbiol. Biotechnol. 30: 279-291 (2003) 

  26. Siddiq M, Roidoung S, Sogi DS, Dolan KD. Total phenolics, antioxidant properties and quality of fresh-cut onions (Allium cepa L.) treated with mild-heat. Food Chem. 136: 803-806 (2013) 

  27. Ying HZ, Liu YH, Yu B, Wang ZY, Zang JN, Yu CH. Dietary quercetin ameliorates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nduced by a highfat diet in gerbils. Food Chem. Toxicol. 52: 53-60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