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이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path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20 no.3, 2018년, pp.196 - 203  

오지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황영희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path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5 to 30, 2018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measuring empathy, interpersonal relation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선행연구에서 대인관계 능력, 공감,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구는 관련 변인과의 관계만을 단편적으로 살펴보았다. 공감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영향을 미치고[11],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대인관계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또 다른 선행연구에 근거하여[1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자아탄력성은 중재를 통해 긍정적 변화가 가능하므로[13] 대인관계 능력 향상을 위해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공감과 대인관계 능력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라는 개인 내적 요인이 두 변수를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요구된다.
  • 자아탄력성은 중재를 통해 긍정적 변화가 가능하므로[13] 대인관계 능력 향상을 위해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공감과 대인관계 능력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라는 개인 내적 요인이 두 변수를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이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통하여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공감능력이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향후 간호대 학생의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이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 학생의 공감능력이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이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이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통하여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탄력성이란 무엇인가? 자아탄력성은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 적절한 자아통제를 통 해 융통성 있게 반응하여 성공적으로 환경에 적응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이다 [8]. 자아탄력적인 사람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유연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9] 대인관계가 어렵거나, 갈등 상황에 처했을 때 이에 대한 적응을 잘 할 수 있게 한다 [8,9].
진실한 공감능력이 간호사에게 주는 영향은 무엇인가? 간호사가 때때로 환자와의 관계에서 치료적 의사소통이 아닌 비전문적이고 비이성적인 행동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이럴 때 공감능력이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6]. 공감은 간호사와 대상자의 치료적 대인관계의 기본이 되며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명확히 이해해야만 느낄 수 있어, 진실한 공감능력은 대상자에 대한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고, 안전사고 비율도 감소하게 한다[7].
Baron 과 Kenny에 따르면 매개효과를 가지기 위해 충족해야할 4가지 조건은 무엇인가? Baron과 Kenny [19]에 따르면 매개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다음의 4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첫째 방정식에서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대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둘째 방정식에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대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셋째 방정식에서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마지막으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둘째 방정식보다 셋째 방정식에서 더 작아야 한다. 만약 셋째 방정식에서 매개변수가 통제되었을 때,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으면 완전매개, 유의하면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Oh EJ, Lee SY, Sung KM. Interpersonal relations, hop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styles in early stag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4):491-500.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4.491 

  2. Medigovich K. Satisfactory, good and outstanding nurses: Perceptions of nurses, their colleagues and patients [dissertation]. Australia: Murdoch University; 2012. p. 263. 

  3. Choi KS, Lee WS, Park YS, Jun MH, Lee SY, Park YW,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ompetency and the importance of nurses' qualities perceived by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6;27(2):163-172.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2.163 

  4. Yoo CS, Kim JH, Kim MY, Kim SJ, Kim YS, Kim JA, et al. Factors related to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2):239-250. 

  5. Catlett S, Lovan SR. Being a good nurse and doing the right thing: A replication study. Nursing Ethics. 2011;18(1):54-63. https://doi.org/10.1177/0969733010386162 

  6. Wolf ZR. Nursing practice break downs: Good and bad nursing. Journal of the Academy of Medical-Surgical Nurse. 2012;21(1):16-36. 

  7. Chae MO. Ego resilience,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5):95-103. https://doi.org/10.5762/kais.2016.17.5.95 

  8. Klohnen EC.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5):1067-1079. https://doi.org/10.1037//0022-3514.70.5.1067 

  9. Kim KN. Effects of didimdol learning on ego-resiliency, self efficacy,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5;9(2):193-202. https://doi.org/10.21184/jkeia.2015.06.9.2.193 

  10. Lee OS, Gu MO, Kim MJ.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6):3902-3910. https://doi.org/10.5762/kais.2015.16.6.3902 

  11. Lim YJ.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s' empathic attitude on peer relationship for middle school students :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master's thesis]. Seoul: Seoul Women's University; 2016. p. 85. 

  12. Seo MH. Mediator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families recognized by children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y [master's thesis]. Inche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6. p. 64. 

  13. Park JS, Shin HJ. The effects of ego-resiliency enhancing program on ego-resiliency and empath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7;24(2):151-170. 

  14. Davis M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980;10:1-85. 

  15. Kang I, Kee S, Kim SE, Jeong B, Hwang JH, Song JE,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version of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9;48(5):352-358. 

  16. Buhrmester D, Furman W, Wittenberg MT, Reis HT.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8:55(6):991-1008. https://doi.org/10.1037//0022-3514.55.6.991 

  17. Han NR, Lee DG.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n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2010;22(1):137-156. 

  18. Park HJ. Perceived stress, coping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ego-resilience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1997. p. 45. 

  19.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0. Kim HJ, Yi MS. Factors influencing empathy in nursing student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5;21(2):237-245.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2.237 

  21. Cho WS. Cor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major-interest correspond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Gyeonggi-do: Daejin University; 2009. p. 82. 

  22. Chung MS. Relations on self-esteem, empath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reinforcing competence in communicat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2):332-340.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332 

  23. Jeong HS, Lee KL. Empath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9):6044-6052. https://doi.org/10.5762/kais.2015.16.9.6044 

  24. We JH, Chang BH, Lim MH. The Relationship of the empathy and biomedical ethics awareness with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7;17(4):500-509. 

  25. Yeo HJ. Predictors of empathy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1):177-184. https://doi.org/10.5762/kais.2017.18.1.177 

  26. Lee EA. A study on empathy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empathy ability: With the focus on the Ewha Womans University course 'homo empathicus: communication, empathy, trust'.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017;23(5):149-168. https://doi.org/10.24159/joec.2017.23.5.149 

  27. Park SJ, Kwon MA, Baek MJ, Han NR. 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5):289-297.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289 

  28. Choi SY, Yoo MR, Lee M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adets' life adjustment, stress, self-esteem, and ego-resilience in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014;32(1):1-13. 

  29. Kim JI, Lee TW. The influence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6;22(2):109-117. 

  30. Cho HJ, Jung MS. Effect of empathy, resilience, self-care on compassion fatigue in oncolog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4):373-382.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4.3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