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 공감능력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Empathy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6, 2020년, pp.286 - 295  

김종임 (중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 공감능력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C도 지역 일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19년 1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이었고, 분석대상은 285명 이었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능력(β=.551, p<.001), 정서인식명확성(β=.288, p<.001), 대학생활만족도(β=.092, p<.001)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47.4%이었다.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상관관계에서는 공감능력(r=.641, p<.001), 정서인식명확성(r=.44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감능력과 자신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을 잘 인식 하여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정서인식명확성, 대학생활을 활기 있게 해주고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맞춤형 개별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추후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인관계 유능성에 대한 정서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을 포함한 반복 및 심층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대인관계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표준화된 연구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empathic ability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d college students in some provinces. The research period was November and December 2019. Two hundred and eighty five students were analyzed. The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정도를 알아보고,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의 평균값으로 볼 때, 대인관계 유능성은 점수범위가 1-195점으로 평균값은 14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는 기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 공감능력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능력, 자아인식명확성, 대학생활만족도가 대인 관계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관련성에서는 대인관계 유능성은 성별, 대학생활 만족도, 봉사활동 유무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상관관계에서는 공감능력과 정서인식명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 공감능력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고 특히 공감능력과 대학생활 만족도가 간호대학생의 대인 관계 유능성에 높은 관련성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겠다. 연구의 제한점은 일부 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한 연구결과이며,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대인관계 유능성 관련 구체적인 선행 연구를 보면 대인관계 능력과 의사소통 중재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21], 대인관계 능력과 공감능력[22], 자아 존중감[1], 자아 탄력성과의 관계[23] 등 단편적으로 보고 되고 있으나 간호대학생을 중심으로 정서인식명확성, 공감능력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만족스런 대인관계 유능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략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인관계 유능성이란 무엇인가? 대인관계 유능성은 사람들 사이의 상호간에 일어나는 역동적이고 상호복합적인 과정으로 서로를 알기 위해 상대방에게 자신을 먼저 개방하고 서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유지, 촉진하는 과정으로[6] 이것은 대인관계 어려움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낮춰주고[7], 삶의 만족과 행복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삶의 질을 좌우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8]. 그렇지만 원만하지 못한 대인관계는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을 낮춤으로써 졸업 후 취업을 위한 진로준비에 부정적인 영향을[9] 주기도 한다.
대인관계 유능성이 낮은 간호대학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대인관계 유능성은 사람들 사이의 상호간에 일어나는 역동적이고 상호복합적인 과정으로 서로를 알기 위해 상대방에게 자신을 먼저 개방하고 서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유지, 촉진하는 과정으로[6] 이것은 대인관계 어려움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낮춰주고[7], 삶의 만족과 행복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삶의 질을 좌우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8]. 그렇지만 원만하지 못한 대인관계는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을 낮춤으로써 졸업 후 취업을 위한 진로준비에 부정적인 영향을[9] 주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을 볼 때 대인관계 유능성 문제는 졸업 후 간호사로 활동하게 되는 간호대학생에게 중요성이 강조되며, 관심이 증가 될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대학 시기에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은? 대학 시기는 미성년에서 성년으로 넘어가는 인생의 과도기적 시점이며 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한 준비 시기로 다른 사람과 효과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원만한 대인 관계를 이루는 것은 이 시기에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1]. 대학생 실태조사에서도 대학 생활 시 대학생들은 경제문제와 학업 문제 다음으로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2], 대학 시기에 친밀한 대인관계를 형성하지 못해 대인관계로 인한 어려움으로 문제가 발생하면 외로움, 불안, 우울 등 정서적인 어려움과 삶의 질이 저하 될 수 있는 것으로[3]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G. J. Na, E. H. Na.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on the degree of campus life satisfaction: major selection in department nursing and health science collage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9, No. 9, pp. 206-221, 2019. DOI: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9.205 

  2.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characteristics of freshmen in the 2014 academic year, Seoul National University, pp.1-6, 2014 

  3. S. S. Sim, M. R. Ba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djustment to a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2, pp. 634-642,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2.634 

  4. B. N. Doh, Y. S. Kim, H. M. Kim, H. S. Kim, H. S. Park, J. M. Seng, H. R. Ahn, K. O. Oh, K. R. Lee, K. J. Lee, M. R. Lee, S. Y. Lee, J. Y. Lee, H. K. Lee, W. H. Jeon, J. Choi,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Seoul: Jungdam Publishing, pp. 105-168, 2009. 

  5. H. J. Kwon, H. S. Kim, G. S. Choi, K. S. Lee, Y. H. Sung,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d at medical cent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3, No. 2, pp. 113-124, 2008. 

  6. E. Polan, D. Taylor, "Human development and health promotion", Hyunmoonsa, pp. 1-423, 2014. 

  7. S, J. Ju, "The Effects of human relationships class on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 level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Korean Association of Adolescent Welfare, Vol. 19. No. 7, pp. 79-99, 2012. UCI : G704-000387.2012.19.7.009 

  8. H. D. Lee, "Step-by-step development process of self-growth group counseling",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 1, No. 1, pp. 35-61, 1998. 

  9. Y. H. Kwon, O. G. Kwag, "Effect of ready planned small group collaboration learning program through MBTL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1, No. 11, pp. 4441-4448, 2010.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2.229 

  10. D. Rogers, C. Hudson, "The role of emotion control and emotional rumination in stress management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Vol. 2, No. 1, pp. 119-132, 1995. DOI: https://doi.org/10.1007/BF01740298 

  11. S. Y. Chung, "The effects of breath mediation with neurofeedback on memory and concentration of healthy adult volunteers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14. 

  12. Penprase, B. Oakley, B. Temes, R. Driscoll, D. "Empathy as a determining factor for nursing career selection",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52, No. 4, pp. 192-197, 2013. DOI: https://doi.org/10.3928/01484834-20130314-02 

  13. C. L. Gohm, G. L. Clore, "Mood 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dividual differen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4, pp. 594-607. 2003.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84.3.594 

  14. P. Salovey, J. D. Mayer, S. L. Goleman, C. Turney, P. Palfai.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Wasington, DC: APA 125-154, 1995. DOI: https://doi.org/10.1037/10182-006 

  15. M. Berking, P. Wupperman, "Emotional regulation and mental health recent findings, current s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Vol. 25, pp. 243-255. 2012. DOI: https://doi.org/10.1097/yco.0b013e3283503669 

  16. S. M. Park, C. D. Kim, C. S. Kyung, "Influence of emotional awar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 and emotional regulation style of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2, pp. 300-311, 2014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300 

  17. H. S. Kim, W. J. Park, T. H. Ha, "The influencing 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12, No. 2, pp. 229-237, 2006. 

  18. J. H. You, "Psychology and consultation for the youth", pp. 12-339, Yansewon, 2014. 

  19. H. J. Jang, Y. K. Kwang, "Comparis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smartphone over-usage focusing on self control, mental health and interrelationship",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 pp. 149-154,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1.146 

  20. H. H. Jung, J. N. Kim, "The mediating effects of body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problem between narcissism propensity personal of female university", Journal of Korea Counseling, Vol. 12, No. 5, pp. 1599-1611, 2011. 

  21. H. M. Kim, "The effect of the solution-focused communication training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Vol. 18, No.4, pp. 399-408, 2009. 

  22. M. Jong, "Influence of ego states, self esteem, and empath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614-4620,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614 

  23. M. O. Chae, "Ego resilience,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5, pp. 95-103,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5.95 

  24.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39, pp. 175-191, 2007. DOI: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5. S. J. Lee, S. K. Lee. "The Research on the validation of the trait meta-mood scale: the domain expira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11, No. 1, pp. 95-116, 1997. 

  26. M. H. Davis. "Empathy: a social psychological approch", Boulder: Westview Press, 1996. DOI: https://doi.org/10.4324/9780429493898 

  27. B. S. Je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altruistic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003. 

  28. D. Buhrmester, W. Forman, M. T. Wittenberg, H. T. Reis. Five Psychological Association, 1988. 

  29. C. D. Kim, S. I.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student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Student Life Institute, Vol. 35, No. 1, pp. 83-95. 1999. 

  30. H. S. Jeong, K. L. Lee,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4, No. 5, pp. 2635-2647. UCI :G704-000930.2012.14.5.025 

  31. M. H. Kim, "A study on ego-identity, interpersonal relations ability, and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Vol. 17, No. 1, pp. 55-64. 2008. 

  32. M. S. Chung, "Relations on self-esteem, empath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reinforcing competence in communicat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2, pp. 332-340, 2014.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332 

  33. S. E. Wilson, J. Prescott, O. Becket, "Empathy levels in frist and thrid year students in health and non health discipline",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Vol. 76, No. 2. pp. 1-4, 2012. DOI: https://doi.org/10.5688/ajpe76224 

  34. H. J. Yeo, "Predictors of empathy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 pp. 177-184,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1.177 

  35. H. W. Lee, D. M. Yum, M. H. Lee, "Impact of college students' mood awarenes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 30, No. 2, pp. 415-433, 2014. 

  36. M. A. Kim, K. I. Kwon, "A study on the emotional clarity an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f resilient adolescents",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Vol. 16, No. 1, pp. 15-32, 2008. DOI: https://doi.org/10.35151/kyci.2008.16.1.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