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적 키네시오 테이핑의 탄성정도에 따른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과 근 지구력 비교
A Comparison of Quadriceps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on Convergent Kinesio Taping with Elasticit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4, 2018년, pp.81 - 86  

강지혜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물리치료학과) ,  이수영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적 키네시오 테이핑의 탄성정도에 따른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과 근 지구력을 비교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정상성인 28명이 4그룹으로 무작위 배정되었으며, 그룹은 테이핑을 적용하지 않은 군, 테이프 탄성 0% 군, 테이프 탄성 25% 군, 테이프 탄성 50% 군으로 구성되었다.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과 근 지구력은 CSMI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넙다리네갈래근 근력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테이프 탄성이 클수록 근력이 증가되었다(p<.001). 그러나 근 지구력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결론적으로, 신체 활동 시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 향상을 위해 탄성 25%와 50%로 융합적 키네시오 테이프를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quadriceps strength and endurance on the degree of elasticity of convergent kinesio taping. Twenty-eight normal adul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randomly assigned among 4 groups, that is, group without tape, group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융합적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시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과 근지구력의 효과를 알아보고 테이프의 탄성정도에 따라 근력과 근 지구력을 비교하고자 한다. 그래서 넙다리네갈래근의 근 기능 향상을 위한 키네시오 테이프 탄성정도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 외에도 근력증가를 위해 35%, 50∼70%의 테이프 탄성으로 부착해야 한다는 등의 테이핑 적용 길이에 대한 여러 주장들이 있지만[13,14], 현재까지 테이핑 적용 시 장력에 관한 명확한 효과는 밝혀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융합적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시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과 근지구력의 효과를 알아보고 테이프의 탄성정도에 따라 근력과 근 지구력을 비교하고자 한다. 그래서 넙다리네갈래근의 근 기능 향상을 위한 키네시오 테이프 탄성정도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융합적 키네시오 테이핑의 효과와 효과적인 테이핑의 탄성정도를 알기 위하여 B 대학의 젊은 성인 남녀 28명을 대상으로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과 근 지구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근력은 대조군보다 테이핑을 적용한 군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25%와 50%의 탄성 군에서 가장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릎관절이란? 무릎관절은 체중부하를 담당하는 관절로 구조상 불안정하고 외부 힘을 받기에 좋은 다리의 중간 위치로 손상이 많이 일어나는 관절이다. 그래서 무릎관절의 근육과인대 등 관절 이외의 연부 조직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1].
넙다리네갈래근 근력 강화 운동은 무엇이 있는가? 무릎관절 근육 중 넙다리네갈래근은 무릎관절 폄근의 작용근이고, 보행 시 무릎관절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매우 중요한 근육이다[2]. 널리 알려진 넙다리네갈래근 근력 강화 운동으로는 등척성 운동, 계단 올라가기, 단일관절 운동, 복합관절 운동 등이 있다[3,4] 그리고 다리의 근력 증진을 일시적으로 도와주는 방법으로는 키네시오 테이핑 등이 있다[5].
키네시오 테이핑 요법은 어떤 매커니즘으로 근력 강화를 돕는가? 또한 신체 구조물을 강화시켜 일정하게 탄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는 안정성을 향상시켜 근 기능을 개선시킨다[17]. 다시 말하자면, 키네시오 테이핑은 부착된 피부 아래 근육 내 감마운동신경을 흥분하게 하여 근섬유 탄성을 증가시키고 피부를 자극하게 한다. 이것은 근육의 활동성을 향상시켜 근력 증가와 균형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18,19]. 또한 신경섬유를 강하게 자극할 경우 여러 섬유가 동시에 활동전압을 일으켜 운동신경 연접(synapse)에 전달물질이 분비되면서 역치 이상의 전압이 빠르게 도달하게 되어 공간적 가중현상으로 근력이증가된다[18,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 H. Kim & H. J Kim. (2016). The Effects of a Kinesio Taping on Muscle Activity and Muscle Fatigue in Quadriceps Femori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63, 663-671. 

  2. S. C. Lee, J. R. Chae & H. J. Kim. (2009). The Effect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and Isometric Exercise on the Strength of the Quadriceps Femoris Mus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6(3), 239-245. 

  3. J. H. Jang & S. W. Han. (2011). Effect of Muscle Activity of Quadriceps on Rehabilitation Exercise in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13(3), 97-104. 

  4. S. H. Cho & S. Y. Lee. (2016). A Effect of the Squat Convergence Exercise Among Knee Joint Angle on Quadriceps Strength in the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2), 43-52. 

  5. G. S. Yang. (2016). The Effect of Difference of Sports Taping Application on Lower Limb Leg Strength and Muscle Fatig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1(3), 593-602. 

  6. S. M. Lee. (2007), Effects of Ankle Taping on Single Leg Stability Isokinetic Strength, Endurance, and Range of Motion in Athletes with Ankle. Master's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7. S. Zhang, W. Fu, J. Pan, L. Wang, R. Xia & Y. Liu. (2016). Acute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Muscle Strength and Fatigue in the Forearm of Tennis Players.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19(6), 459-464. 

  8. S. H. Lee, I. Y. Kim & S. C. Han. (2010). The Effects of Apply Kinesio Taping on Swimmer Muscular Strength, Flexibility, Performance and Lactic Acid.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1(2), 677-686. 

  9. M. K. Kim, B. K. Kim, Y. J. Park, S. S. Kim & S. K. Lee. (2008). The Effects of Muscle Activity and Fatigue for Vertical Jumping on Kinesio Taping the Lower Limb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4(2), 915-923. 

  10. Y. S. Woon. (2015), The Effects of Knee Stabilizing Taping of Dominant Knee on Musular Function and Balance in Men's Professional Volleyball Player. Master's dissertatio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Seoul. 

  11. W. Gilleard, J. McConnell & D. Parsons. (1998). The Effect of Patellar Taping in the Onset of Vastus Medialis Obliquus with Patella of Femoral Pain. Physical Therapy, 78(1), 25-32. 

  12. S. W. Han. (2015). The Effect of Kinesio Taping Treatment on Isokinetic Muscle Function on Endurance Exercis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4(5), 1427-1435. 

  13. K. Kase, J. Wallis & T. Kase. (2013). Clinical Therapeutic Applications of the Kinesio Taping Methods. Tokyo : LCL. 

  14. K. Y. Poon, S. M. Li, M. G. Roper, M. K. M. Wong, O. Wong & R. T. H. Cheung. (2015). Kinesiology Tape Does Not Facilitate Muscle Performance: A deceptive controlled trial. Manual Therapy, 20, 130-133. 

  15. D. I. Ko. (2002). Kinesio Tapping Treatment by Disease. Seoul : Pureunsol 

  16. M. H, Kang, G. S. Han, G. D. Kim & H. S. Kim. (2012). The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Isokinetic Muscle Strength of the Lower Limbs in male and female Soccer Player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1(6), 1053-1061. 

  17. T. Ramon, M. Prades, L. Armengou, J. L. Lanovaz, D. R. Mullineaus, & H. M. Clayton. (2002). Effects of Athletic Taping of the Fetlock on Distal Limb Mechanics. Equine Veterinary Journal, 36(8), 764-768. 

  18. J. T. Park. (2008). Research on the Effect of Kinesio Taping Method on Muscular Strength and Fatigue. Master's dissertation. Myong Ji University, Seoul 

  19. S. J. Park & D. D. Kim. (2017). The Impact of Joint Mobilization with an Elastic Taping on Immediate Standing Balance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295-304. 

  20. D. J. Lee, J. H. Shim, S. I. Yoon & S. J. Park. (2017). Effect of Convergence-Based Russian Current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t Quadriceps Muscles on Pain, Strength, and Performance in Person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 77-87. 

  21. H. G. Kim & Y. K. Kim. (2013). Effect of Kinesio-taping on the Performance and Fatigue of Muscular Endurance Exercise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2(3), 1409-1416. 

  22. B. K. Park. (2013). Effects of Kinesio Taping Application on Isokinetic Muscle Power and Muscle Endurance of Handball Athlete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2(2), 967-976. 

  23. J. W. Lee. (2018). The Effect of Changing the Tension According to the Taping Length and the Applied Angle on the Femoral Muscle Functions. Master's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4. E. K. Kim, Y. J. Kim & H. K. Choi. (2015). A Study on the Change of Subacromial Space Parameters Measured on Ultrasonography after Applying Kinesiotape in Elite Badminton Player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4(6), 1211-1225. 

  25. Y. H. Hsu, W. Y. Chen, H. C Lin, W. T. Wang & Y. F. Shih. (2009). The Effects of Taping on Scapular Kinematics and Muscle Performance in Baseball Players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19(6), 1092-1099. 

  26. H. K. Mohammadi et al. (2014). Immediate and Delayed Effects of Forearm Kinesio Taping on Grip Strength. Iranian Red Crescent Medical Journal, 16(8), e19797. 

  27. J. S. Kim. (2017). Effects of Knee Extensor Muscle Strength, Endurance, and Knee Joint Proprioception During Exercise-induced Muscle Fatigue Based on the Kinesio Tape Stretch Rate. Master's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Busan. 

  28. R. Bravi, E. J. Cohen, E. Quarta, A. Martinelli & D. Minciacchi (2016). Effect of Direction and Tension of Kinesio Taping Application on Sensorimotor Coord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37(11), 909-914. 

  29. J. S. Kim & M. C. Park. (2015). Changes of Shoulder Muscles Activity during Maintaining and Lifting Shoulder Depending on Stretch Rate of Kinesio Tap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27(5), 299-303. 

  30. T. V. Lemos, A. C. G. Albino, J. P. C. Matheus & A. de Melo Barbosa. (2014). The Effect of Kinesio Taping in Forward Bending of the Lumbar Spin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6(9), 1371-1375. 

  31. D. K. Nelson. (2011). The Effect of Kinesio Tape on Quadriceps Muscle Power Output, Length/Tension, and Hip and Knee Range of Motion in Asymptomatic Cyclists. Doctoral dissertation. Durban University of Technology, KwaZulu.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