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트 폭력에 관한 최근 국내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cent Research on Dating Violence in Korea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4, 2018년, pp.153 - 161  

이현정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 사회에서 데이트 폭력이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나 2009년 이후 국내 연구에 대한 개관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국내 데이트 폭력 관련 최근 연구 동향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트 폭력과 관련된 키워드 검색을 통해 2010년부터 현재 시점까지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선정된 70개의 논문을 내용 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발표 연도, 연구 대상, 주제, 방법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주제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 대상별로는 대학생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별 분석 결과, 데이트 폭력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주제의 비중이 높았으며, 실증적 연구가 비실증적 연구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연구에서 연구 주제, 대상 및 방법론에서 범위를 넓히기 위한 학문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ven that reviewing domestic articles on dating violence since 2009 has not been produced in Korea compared to the seriousness of dating violence, this study aimed to suggest research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by exploring trends of recent domestic academic literature on dating violence. For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여 국외 연구에 대한 검토 작업을 통해 국내 연구에의 함의를 도출해 내는 작업 또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9년 이후 데이트 폭력에 대한 연구를 개관하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기존 연구들을 이전에 비해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기여한 점은 본 연구의 성과라고 할 수 있겠다.
  •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데이트 폭력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 연구가 전체 논문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고무적인 경향으로는 이러한 연구들 중 다수(40편의 연구 중 23편)가 앞서 논의하였던 데이트 폭력 관련 선행 개관 연구[13, 14]에서 추후 연구의 방향으로 공통적으로 제기되었던 제 3 변인의 매개 또는 조절 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라는 점이다. 수적인 비교를 보자면, 2009년까지의 국내 연구에서는 매개 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단 2건으로 대학생의 문제 음주와 데이트 폭력 관계에서의 특성 분노 [34], 가정폭력 경험과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가해 행동 관계에서의 폭력 허용도[35] 정도가 연구되었다.
  •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서경현[14]은 국내 연구에서 특정 하위 요인과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를 포함한 다각적인 실증적 연구 및 한국 상황과 문화에 맞는 데이트 폭력 중재나 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주제 면에서 대부분의 국내 연구들이 가정폭력의 경험이나 폭력에 대한 태도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데이트 폭력 연구에 있어 향후 좀 더 포괄적인 주제가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에 수행되었던 데이트 폭력 관련 국내 논문을 개관한 연구들[13,14]의 연속선상에서 이를 확장한 것으로 기존의 이러한 개관 연구 이후 수행된 데이트 폭력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수행된 탐색적 성격을 갖는다. 본 연구 결과는 이 분야에서의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성과 관련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데이트 폭력 관련 국내 연구 분석에 있어 내용 분석을 활용하여 위에서 살펴 본 선행 개관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연구 발표 연도, 연구 대상, 연구 주제 및 방법론 등 보다 폭넓은 측면들을 추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국내 데이트 폭력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이트 경험은 무슨 의미를 갖는가? 데이트 경험은 이성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친밀한 관계 형성이라는 과업의 성취뿐 아니라 전반적인 대인관계 기술 향상에 도움을 주며 미래 결혼 생활의 준비 과정으로써 의미를 갖는다[1]. 한편 데이트 경험은 강한 정서적 유대감과 상호작용의 특성상 갈등, 좌절, 분노와 같은 부정적 정서를 수반하며 이는 폭력적인 행동을 유발할 확률이 높은 양면성의 특징을 가진다고 볼 때[2], 데이트 관계에서 발생하는 폭력에 대한 논의는 중요하다고 하겠다.
국내 데이트 폭력 관련 최근 연구 동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분석 결과, 해당 주제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 대상별로는 대학생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별 분석 결과, 데이트 폭력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주제의 비중이 높았으며, 실증적 연구가 비실증적 연구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연구에서 연구 주제, 대상 및 방법론에서 범위를 넓히기 위한 학문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우리나라 데이트 폭력의 연구 대상 측면에서 어떤 경향을 보이는가? 둘째, 연구 대상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 결과는 기존 연구의 대다수가 대학생 위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어 연구 대상의 편향이 여전히 관찰되었다. 일반적으로 생애 주기에 있어 본격적으로 이성 교제를 하는 시기가 대학 시절이며 그에 따라 데이트 폭력의 발생 확률도 높아지는 시점이 대학생이라는 측면에서[13] 본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Y. J. Ha & M. K. Seo. (2014). A Study of 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Dating Violence.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30(4), 79-103. 

  2. H. A. Sears, E. S. Byers, J. J. Whelan & M. Saint-Pierre. (2006). If it hurts you, the nit is not a joke: Adolescents' ideas about girls' and boys' use and experience of abusive behavior in dating relationship.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1. 1191-1207. 

  3. S. R. Shin & Y. S. Kim. (2016). How does college student's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victimization affect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Korean Journal of Victimology, 24(2), 5-32. 

  4. K. S. Son. (2017). For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dating violence: A study on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14(2), 19-42. 

  5.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2016). Statistics of Crime Statistics by the Police Agency (Sexual Violence). www.police.go.kr 

  6. M. J. Hanley & P. O'Nelill. (1997). Violence and commitment: A study of dating couple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2, 383-400. 

  7. K. A. Chase, D. Treboux & D. O'leary. (2002). Characteristics of high-risk adolescents' dating violenc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7(1), 33-49. 

  8. R. M. Bossarte, T. R. Simon & M. H. Swahn. (2008). Clustering of adolescent dating violence, peer violence, and suicidal behavior.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3(6), 815-833. 

  9. S. A. Kaura & B. J. Lohman. (2007).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mental health problems, and acceptability of violence: A Comparison of men and women. Journal of Family Violence, 22, 367-369. 

  10. K. D. O'Leary, J. Malone & A. Tyree. (1994). Physical aggression in early marriage: pre-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effec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3), 594-602. 

  11. J. M. Makepeace. (1981). Courtship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Family Relations, 30, 97-102. 

  12. Y. M. Kim. (1996). Premarital Violence: Review of literature in 90'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7(9), 179-204. 

  13. G. Y. R. Ahn. (2006). Research review about psycho-social risk markers related to dating violenc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4), 709-726. 

  14. K. H. Suh. (2009). A review of researches on violence in the heterosexual dating relationship.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4), 699-727. 

  15. K. Krippendorff. (1980).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Newburry Park, CA: Sage publication. 

  16. M. J. Kim & K. E. Kim. (2018). An analysis of multicultual research trends in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11(1), 1-27. 

  17. A. Nichols-Casebolt, J. Krysik & B. Hamilton. (1994). Coverage of women's issues in social work journals: Are we building an adequate knowledge base?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30, 348-363. 

  18. B. Marietta. (2001). Social work, women, and feminism: A review of social work journals, 1988-1997. Affilia, Fall, 266-294. 

  19. Y. S. Choi, E. H. Lee & E. J. Lee. (2017). Self-esteem, gender-stereotype activation, violence perception, and date violence coping types among college students.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21(1), 23-33. 

  20. H. J. Woo, S. H. Jang & H. I. Kwon. (2017). A study on the overcoming experience of women suffering from dating violence.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Women, 22(3), 315-335.. 

  21. Y. J. Ha & M. K. Shu. (2008). A study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Social Science Research, 30(4), 79-103. 

  22. K. E. Park. (2017).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experience of marriageable age mal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8(4), 409-430. 

  23. H. Y. Chung & H. S. Min. (201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eb-based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627-639. 

  24. Choo. B. Cho & H. Lee. (2013). The effect of physical child abuse on date violence in youth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Studies on Korean Youth, 71, 31-54. 

  25. K. E. Park & Y. G. You. (2017).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innerness in female victims of dating violenc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9(3), 711-742. 

  26. H. Y. Koo. (2015)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Future Social Work Research, 8(1), 37-68. 

  27. K. S. Shon & S. M. Jeong. (2016). The mediation effects of sexual assertiveness between gender-role stereotypes and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Women, 21(3), 441-457. 

  28. J. Yoon, S. Y. Yang & B. K. Park. (2012). The influence of domestic violence, patriarchal gender role attitude, and inferiority complex on acceptability of college dating violenc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exual Assault Recognition,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and Sexual Assertiveness in Dating Relationship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6), 79-107. 

  29. S. S. Lee. (2018). Daily categories of sexual harassment dating violence in a university and restorative justice: Focusing on P university. Journal Of Women's Studies, 28(1), 7-45. 

  30. H. M. L. Kim. (2015). A Young progress columnist: Remembering Summer. Women's Theories, 33, 166-180. 

  31. J. A. Bae. (2015). A cornerstone for gender equal society: Prevention of dating violence. Women and Us, 54. 28-29. 

  32. K. H. Shu. (2011).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of college students: Korea, Mongolian, Filipino, and Russian Sampl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5), 219-243. 

  33. S. R. Shin. (2017). How Does College Student's Experience of Neglect and Sexual Abuse in Family Affect Offence of Dating Violence?: Focused on Mediate of Violence Approval. Korean Journal of Public Peace and Administration, 26(1), 11-35. 

  34. N. M. Yang. (2009). The Mediating role of trait-ang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0(4), 2539-2554. 

  35. D. K. Kim. (2009). The Stduy of relationship between family violence and dating violence, and mediation effect of the acceptability of viol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6), 135-159. 

  36. K. H. Shu. (2004). The Moderate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Dating Violence among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1), 147-162. 

  37. D. K. Kim & E. H. Shagong. (2007). A Study on effect of school violence on dating violence and the moderate effect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4(5), 99-124. 

  38. A. N. Weisz & B. M. Black. (2001). Evaluating a sexual assault and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urban youths. Social Work Research, 25, 89-101. 

  39. M. T. Theriot. (2008).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for assessment and prevention of adolescent dating violence and stalking at school. Children & Schools, 30, 223-233. 

  40. V. A. Foshee, K. E. Bauman, W. F. Greene, G. G. Koch, G. F. Linder & J. E. MacDougall. (2000). The Safe Dates program: 1-year follow-up result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0(10), 1619-16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