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조류 첨가가 쌀코지 제조와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aweeds on Rice Koji Production and Enzyme Activity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1 no.4, 2018년, pp.369 - 375  

전준영 (한국식품연구원) ,  이미향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정인학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정민정 (한국식품연구원) ,  김병목 (한국식품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ected seaweeds on rice koji preparation (rice inoculated with Aspergillus luchuensis) and enzyme activity. Four types of rice koji were prepared using one of three seaweeds (0.5% laver, 0.5% kelp and 0.5% green laver) or a control for 72 h. The changes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72시간동안 12시간 간격으로 시료 100 g 가량을 수집하였고,수집된 시료는 수분, 수분활성도, pH 및 곰팡이 수 측정과 효소 활성 평가를 위한 조효소 추출에 사용되었다. 조효소 추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 pH, 온도 및 NaCl 농도가 코지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앞선 결과에서 가장 효소활성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난 0.5% 김 첨가, 배양 48시간 조건에서 코지를 제조하였고, 조효소 분리 후 다양한 pH, 온도 및 NaCl 농도에서 amylase 활성변화를 측정하였다(Fig. 3). 그 결과, pH 3-9, 온도 15-55℃ 반응조건에서 나타난 amylase 활성은 온도보다 pH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처럼 보였고, 주어진 모든 pH 조건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NaCl의 농도는 반응액의 최종농도 기준으로 NaCl을 첨가하여 조절하였다. pH와 온도에 따른 효소활성 변화를 측정하기위해 반응시간(1시간)과 NaCl 농도(0%)를 고정하였고, NaCl 농도에 따른 효소 활성 변화를 측정하기위해 반응시간(1시간)과 반응온도(35℃)를 고정하였다. 나머지 조건은 앞서 언급한 amylase와 protease 활성 측정 방법과 동일하다.
  • 효소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코지의 산업적 적용범위 고려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pH,온도 및 NaCl 농도를 요인으로 결정하였다. 각 요인의 구간은 pH 3, 5, 7, 9, 온도 15, 25, 35, 45, 55℃, NaCl 농도 0, 2.5, 5,7.5, 10%로 설정하였다. pH의 조정을 위해 다음의 완충용액들을 제조하여 반응액으로 사용하였다.
  • 그 후 4 mL의 탈이온수를 가한 뒤 실온에서 약 15분간 식혔고,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maltose의 양은 0.2% maltose를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여 적절하게 희석한 뒤 위와 동일하게 발색반응 시험을 진행하였고, 측정된 흡광도 값을 이용하여 standard curve를 작성한 후 시료 값을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Amylase 활성은 1 g의 코지가 분당 1 mg의 maltose를 생성하는 것을 1 unit (U)으로 나타내었다.
  • 상징액 200 μL에 o-phthalaldehyde reagent 3 mL를 가하고 약 30초간 혼합함과 동시 정확히 1분 30초 뒤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아미노산량은 0.05% serine을 표준물질로 standard curve를 작성하여 계산하였다. Protease 활성은 1 g의 코지가 분당 serine 1 μg을 유리하는 것을 1 U으로 나타내었다.
  • 수분함량은 상압가열건조법(AOAC, 2005)으로 측정하였다. 수분활성도 측정을 위해, 시료는 수집 후 즉시 일회용 측정용기에 5 g을 칭량하여 커버를 닫고 20℃에서 약 1시간가량 정치시켰고, 수분활성도 측정기(HP23-AW-A, Rotronic, Switzerland)를 사용하여 수분활성도를 측정하였다.
  • 곰팡이 수는 표준평판법(Park and Oh, 1995)으로 측정하였다. 시료 20 g과 멸균된 희석수 0.1% peptone water 180 mL를 멸균시료백에 담고 균질(260 rpm, 5분)하였고, 균질된 시료액을 동일한 희석수를 사용하여 십진법으로 적절하게 희석하였다. 희석된 시료액 1 mL는 potato dextrose agar(Difco; Becton Dckinson, Spark, MD, USA)에 도말하였고,28℃에서 72시간 배양한 뒤 생성된 colony 수(15-150)를 계수하여 log CFU/g으로 나타내었다.
  • 쌀코지는 Jun et al. (2016)의 방법을 응용하여 제조하였다. 즉,원료미(1 kg)를 충분히 수세하고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지 불림하였고, 40분동안 물 빼기 후 3종의 해조류 분말 각각을 불리기전 쌀 중량 대비 0.
  • 5% 첨가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data not shown).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각 해조류 첨가농도를 0.5%로 동일하게 설정하였고, 종균 접종 후 배양하는 동안 각 코지의 수분함량 및 수분활성도에 대한 경시적인 변화를 Table 1로 나타내었다.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함량 및 수분활성도는 모든 구에서 수직적으로 감소되었고, 수분함량의 경우 다시마 첨가구가, 수분활성도의 경우 파래 첨가구가 각각 다른 구들에 비해 빠르게 감소되는 것처럼 보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 식용 해조류인 김(Pyropia yezoensis),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파래(Enteromorpha sp.) 각각을 쌀코지 제조시 첨가하여 제조과정 중 amylase 및 protease 활성변화를 조사하였고, 효소활성이 가장 우수하다 판단된 해조류 첨가 코지로부터 얻어진 조효소액의 pH, 온도, NaCl 농도에 따른 amylase 및 protease 활성 변화를 시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새로운 형태의 효소제를 개발하거나 이것을 응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luchuensis 포자 분말을 3회로 나누어 골고루 접종하였다. 접종된 쌀은 발효기를 사용하여 일정한 상대습도(85%)와 온도(30℃)를 유지하여 72시간동안 배양하여 제조하였다.
  • (2016)의 방법을 응용하여 제조하였다. 즉,원료미(1 kg)를 충분히 수세하고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지 불림하였고, 40분동안 물 빼기 후 3종의 해조류 분말 각각을 불리기전 쌀 중량 대비 0.5% (w/w)가 되도록 첨가하고 골고루 섞어주었다. 대조구는 해조류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 코지 시료내 amylase 활성은 Bechman et al. (2012)이 제안한 3,5-dinitrosalicylic acid 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0.
  • 대조구는 해조류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해조류 첨가 후 고압멸균기 105℃에서 40분간 증기로 익혀 고두밥을 만들었고, UV살균처리된 클린벤치에 만들어진 고두밥을 넓게 펼쳐 실온이 될 때까지 식혔으며, 여기에 원료 쌀 무게 대비 0.2%에 해당하는 종균 A. luchuensis 포자 분말을 3회로 나누어 골고루 접종하였다. 접종된 쌀은 발효기를 사용하여 일정한 상대습도(85%)와 온도(30℃)를 유지하여 72시간동안 배양하여 제조하였다.
  • 효소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코지의 산업적 적용범위 고려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pH,온도 및 NaCl 농도를 요인으로 결정하였다. 각 요인의 구간은 pH 3, 5, 7, 9, 온도 15, 25, 35, 45, 55℃, NaCl 농도 0, 2.

대상 데이터

  • 종균으로 사용된 Aspergillus luchuensis는 포자 분말로 된 것을 ㈜충무발효(Ulsan, Republic of Kore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김과 다시마는 건조된 상태로 강릉시 중앙시장에서 구입하였고, 코지제조에 사용하기전 가정용 블랜더로 분쇄 후 40 mesh채에 내려 사용하였다. 파래는 온라인몰을 통하여 분말로 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쌀은 2016년 그해 재배된 것을 강릉시 사천농협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종균으로 사용된 Aspergillus luchuensis는 포자 분말로 된 것을 ㈜충무발효(Ulsan, Republic of Kore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쌀은 2016년 그해 재배된 것을 강릉시 사천농협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종균으로 사용된 Aspergillus luchuensis는 포자 분말로 된 것을 ㈜충무발효(Ulsan, Republic of Kore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김과 다시마는 건조된 상태로 강릉시 중앙시장에서 구입하였고, 코지제조에 사용하기전 가정용 블랜더로 분쇄 후 40 mesh채에 내려 사용하였다.
  • 김과 다시마는 건조된 상태로 강릉시 중앙시장에서 구입하였고, 코지제조에 사용하기전 가정용 블랜더로 분쇄 후 40 mesh채에 내려 사용하였다. 파래는 온라인몰을 통하여 분말로 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모든 실험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평균값들 사이 유의적 차이는 IBM SPSS statistics program (Version 23;IBM Co., Amork, NY, USA)을 사용하여 one-way ANOVA 방법에 따라 유의수준 95%에서 Tukey’s test에 의해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 Protease 활성은 o-phthalaldehyde 법(Shakerian et al., 2014)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0.
  • pH 측정을 위해, 시료 5 g과 탈이온수 45 mL를 합한 후 약 1분간 균질하였고, 원심분리(7,000 g, 15분)하여 얻은 상등액을 pH meter (CH/Seven Easy-s20K, Mettler Toledo, Switzerland)로 측정하였다. 곰팡이 수는 표준평판법(Park and Oh, 1995)으로 측정하였다. 시료 20 g과 멸균된 희석수 0.
  • 수분함량은 상압가열건조법(AOAC, 2005)으로 측정하였다. 수분활성도 측정을 위해, 시료는 수집 후 즉시 일회용 측정용기에 5 g을 칭량하여 커버를 닫고 20℃에서 약 1시간가량 정치시켰고, 수분활성도 측정기(HP23-AW-A, Rotronic, Switzerland)를 사용하여 수분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역, 다시마, 파래 등에 함유되어 있는 다당류의 효능은? , 2005). 해조류는 비타민 및 미네랄 중 마그네슘, 칼슘, 요오드, 철 등의 함량이 높고 그 중에서도 미역, 다시마, 파래 등에 함유되어 있는 다당류는 항암, 항종양 및 면역 활성과 고혈압 예방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and Lyu,2010). 해조류의 국내 산업적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전통적으로 식용하여 왔던 건제품과 염장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일부는 식품 첨가물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미비하게 가공되고 있는 실정이다(Lim, 2008; Park et al.
코지란? 코지(koji)는 쌀, 콩 등에 유용 미생물을 접종 배양한 효소제(또는 발효제)로 전분 혹은 단백질을 가수분해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술 제조에는 쌀이, 간장제조에는 콩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전분질 분해용으로의 입국은 백국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Kim et al.
전분질 분해용 코지에 사용되는 주요 균의 특징은? , 2012). 백국균이라 불리는 Aspergillus luchuensis(syn. A. kawachii)는 Aspergillus niger의 변이균으로 내산성 amylase, maltase의 활성이 강력하고, A. oryzae에 비해 유기산 생성력이 높아 pH를 낮추는 특징이 있어 술과 음료 등의 제조에 이용된다(Kim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OAC. 2005.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OAC International publishing, Gaithersburg, MD, U.S.A. 

  2. Bechman A, Phillips RD and Chen J. 2012. Changes in selected physical property and enzyme activity of rice and barley koji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J Food Sci 77, M318-M322. https://doi.org/10.1111/j.1750-3841.2012.02691.x. 

  3. Choi I.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cultivar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13-1319. https://doi.org/10.3746/jkfn.2010.39.9.1313. 

  4. Choi JS, Jung ST, Kim JY, Choi JH, Choi HS and Yeo S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 nuruk and optimum condition of liquid starters for Aspergillus sp.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357-363. 

  5. Jun JY, Lim YS, Lee MH, Kim BM and Jeong IH. 2016. Changes in the physiochemical quality of sailfin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sauces fermented with soybean koji or rice koji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Korean J Fish Aquat Sci 49, 101-108. https://doi.org/10.5657/KFAS.2016.0101. 

  6. Kim BM, Lim JH, Jung JH, Jung MJ, Kim DS, Lee KP, Jun JY and Jeong IH. 2015a. Quality changes and processing of fermented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sauce using Aspergillus kawachii koji. Korean J Fish Aquat Sci 48, 644-654. http://doi.org/10.5657/KFAS.2015.0644. 

  7. Kim JS, Lee JH, Chang YE, Kim GC and Kim KM. 2013.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mash by mixing ratios of rice and rice koj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2035-2041. http://doi.org/10.3746/jkfn.2013.42.12.2035. 

  8. Kim JH, Kwon YH, Lee AR, Kim HR and Ahn BH. 2012. Manufacture of koji using fungi isolation from nuruk and identification of koji molds. Kor J Mycol 40, 187-190. http://doi.org/10.4489/KJM.2012.40.4.187. 

  9. Kim MJ, Kim YH, Kim DW, Park HS and Kim MK. 2015b. Brew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wine using Basidionmycetes rice koji. J Agric Life Sci 46, 24-32. 

  10. Kim HS and Lyu ES. 2010. Optimization of sulgidduk with green laver powder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 Sci 26, 54-61. 

  11. Kwon YH, Lee AR, Kim HR, Kim JH and Ahn BH. 2013. Quality properties of makgeolli brewed with various rice and koji.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70-76. http://doi.org/10.9721/KJFST.2013.45.1.70. 

  12. Lee MK, Park JK and Lee SK. 2005.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ed mash prepared with koji.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99-205. 

  13. Lee SE, Suh HJ and Hwang JH. 2011. Characteristics of rice doenjang prepared with brown rice koji. Korean J Food Preserv 18, 859-868. http://dx.doi.org/10.11002/kjfp.2011.18.6.859. 

  14. Lim E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Enteromorpha intenstina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300-305. 

  15. Medigan MT and Martinko JM. 2006.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11th edn. Pearson Education Inc, NJ, U.S.A., 470-471. 

  16. Mikami S, Iwano K, Shinoki S and Shimada T. 1987.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acid-stable ${\alpha}$ -amylases from shochu koji (Aspergillus kawachii). Agric Biol Chem 51, 2495-2501. https://doi.org/10.1271/bbb1961.51.2495. 

  17. Mok JS, Park HY and Kim JH. 2005. Trace metal contents and safety evaluation of major edible seaweeds from Korean coas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464-1470. 

  18. Nagamine K, Murashima K, Kato T, Shimoi H and Ito K. 2003. Mode of ${\alpha}$ -amylase production by the shochu koji mold Aspergillus kawachii. Biosci Biotechnol Biochem 67, 2194-2202. https://doi.org/10.1271/bbb.67.2194. 

  19. Park JM and Oh HI. 1995.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me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56-62. 

  20. Park YK, Kang SG, Jung ST, Kim DH, Kim SJ, Pak JI, Kim CH, Rhim JW and Kim JM. 2007. Development of value-added products using seaweeds. J Mar Biosci Biotechnol 2, 133-141. 

  21. Siala R, Sellami-Kamoun A, Hajji M, Abid I, Gharsallah N and Nasri M. 2009. Extracellular acid protease from Aspergillus niger I1: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Afr J Biotechnol 8, 4582-4589. 

  22. So MH and Lee YS. 2010.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f rhizopus sp. ZB9 on the production of protease during preparation of rice koj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399-404. 

  23. Song YC and Lee SP. 2013. Evaluation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 sauce fortified with soymilk residue (okara koji). Korean J Food Preserv 20, 818-826. http://doi.org/10.11002/kjfp.2013.20.6.818. 

  24. Shakerian M, Razavi SH, Khodaiyan F, Zial SA, Yarmand MS and Moayedi A. 2014.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fat and inulin on the microbial growth and metabolites in probiotic yogurt containing nonviable. Int J Food Sci Technol 49, 261-268. https://doi.org/10.1111/ijfs.12315. 

  25. Stevenson A, Cray JA, Williams JP, Santos R, Sahay R. Neuenkirchen N et al. 2015. Is there a common water-activity limit for the three domains of life? ISME J 9, 1333-1351. http://doi.org/10.1038/ismej.2014.2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