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 양식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한 어병세균 내 Erythromycin 내성 유전자 분석
Analysis of Erythromycin Resistance Gene in Pathogenic Bacteria Isolates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Jeju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1 no.4, 2018년, pp.397 - 403  

이다원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  전려진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  김승민 (주식회사 우진비앤지) ,  정준범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determined the resistance rates of pathogenic bacteria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o erythromycin (Em), antibiotic typically used in aquaculture and analyzed the genotypes of resistant bacteria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e isolated and utilized 160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6). 이에 본 연구에서 제주지역에서 분리한 어병세균 내 macrolide계 항생제인 Em에 대해 내성 수준을 확인하고, 내성균주들이 가지는 내성유전자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3%로 oxytetracycline에 이어 국내 양식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항생제로 알려져 있다(APQA, 200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식넙치에서 분리한 어병세균에서 Em 내성균주를 분리하고, PCR을 통해 Em에 대해 내성을 유발 하는 내성유전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m의 내성 기전을 두 가지로 분류하라. Em 내성 기전은 크게 두 가지로 밝혀져 있으며, 내성유전자 또한 내성기작에 따라 구분된다. 첫 번째는 methylase를 통해 세균의 ribosome에 항균제가 결합하는 부위를 변화시키는 기작으로, erm (erythromycin ribosome methylation) 유전자와 연관되어 있으며, 두 번째로 내재성 막 단백질에 의해 일어나는 efflux pump에 의한 것으로 mef(A) (macrolide efflux), msr(A) (macrolide and streptogramine B), vag(virginiamycin factor) 유전자와 관련이 있다(Lee and Kim, 2013). 내성기작의 특성에 따라 Em 내성 유전자도 그 종류를 달리하는데 rRNA methylase의 경우는 erm (A), erm (B), erm (C)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efflux 내성기작을 가지는 유전자는 mef(A)가 대표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Sapkota et al.
동물용 항생제의 남용으로 인한 문제은? 1920년대 항생물질이 발견된 이래로 항생제는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어져 왔으나, 항생제의 오·남용에 의하여 발생한 항생제 내성균은 질병 치료의 어려움 및 약물 잔류에 의한 안전성 문제 등을 야기하였고, 최근 사회적 문제로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동물용 항생제는 감염성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 목적 외에도 사료와 혼합하여 가축이나 어류의 성장 촉진을 목적으로도 사용되어졌으며(Lee et al., 2010a), 이와 같은 무분별하고 광범위한 항생제 사용으로 인하여 내성균의 출현이라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Em의 작용 과정은? 3%의 비중을 차지하며, oxytetracycline에 이어 높은 사용률이 확인되었다. Em은 macrolide계 항생제로서, 세균의 50S ribosome에 가역적으로 결합하여 세균의 ribonucleic acid (RNA) 의존성 단백 합성을 억제함으로서 작용한다(Hansen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PQA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2009. National antibiotic use and monitoring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2015 [Internet]. Retrieved from www.qia.go.kr on Jun 18, 2018. 

  2. Blanco MM, Gibello A, Vela AI, Moreno MA, Dominguez L and Fernandez-Garayzabal JF. 2002. PCR detection and PFGE DNA macrorestriction analyses of clinical isolates of Pseudomonas anguilliseptica from winter disease outbreaks in sea bream Sparus aurata. Dis Aquat Org 50, 19-27. https://dx.doi.org/10.3354/dao050019. 

  3. Cepeda C, Garcia-Marquez S and Santos Y. 2003. Detection of Flexibacter maritimus in fish tissue using nested PCR amplification. J Fish Dis 26, 65-70. https://dx.doi.org/10.1046/j.1365-2761.2003.00431.x. 

  4. CLSI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2017.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28th edition [Internet]. Retrieved from www.clsi.org on Jun 14, 2018. 

  5. Demircan D and Candan A. 2006. Identification of Vibrio anguilliarum by PCR (rpoN Gene) associated with Vibriosis in marine fish in Turkey. Turk J Vet Anim Sci 30, 305-310. 

  6. Domeenech A, Derenaaandez-Garayzabal JF, Pascual C, Garcia JA, Cutuli MT, Moreno MA, Collins MD and Dominguez L. 1996. Streptococcosis in cultured turbot, Scopthalmus maximus, associated with Streptococcus parauberis. J Fish Dis 19, 33-38. https://dx.doi.org/10.1111/j.1365-2761.1996.tb00117.x. 

  7. Eldar A and Ghittino C. 1999. Lactococcus garvieae and Streptococcus iniae infections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similar, but different diseases. Dis Aquat Org 36, 227-231. https://dx.doi.org/10.3354/dao36227. 

  8. Han AR, Yoon YJ and Kim JW. 2012. Antibiotic Resistance and Plasmid Profile of Vibrio parahaemolyticus Strains Isolated from Kyunggi-Incheon Coastal Area. Kor J Microbiol 48, 22-28. https://dx.doi.org/10.7845/kjm.2012.48.1.022. 

  9. Hansen LH, Mauvais P and Douthwaite S. 1999. The macrolide-ketolide antibiotic binding site is formed by structures in domains II and V of 23S ribosomal RNA. Mol Microbiol 31, 623-631. https://dx.doi.org/10.1046/j.1365-2958.1999.01202.x. 

  10. Hiroshi N. 1996. Multidrug Efflux Pumps of Gram-Negative Bacteria. J Bacteriol 178, 5853-5859. 

  11. Jeong YU, Kang CY, Kim MJ, Heo MS, Oh DC and Kang BJ. 2006. Characterization of Streptococcosis occurrence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he pathogens of cultured flounder in Jeju island. J Microbiol 42, 199-204. 

  12. Jo MR. 2006. Rapid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Vibrio spp. Isolated from the farmed olive flounders in Jeju island, Korea.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13. Jun LJ. 2010. Characterization of antibiotic resistant genes carried by fish pathogens in Korea. Ph. 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4. Kim HJ, Ryu JO, Lee SY, Kim ES and Kim HY. 2015. Multiplex PCR for detection of the Vibrio genus and five pathogenic Vibrio species with primer sets designed using comparative genomics. BMC Microbiol 15, 239. https://dx.doi.org/10.1186/s12866-015--577-3. 

  15. Kim MS, Cho JY and Choi HS. 2014. Identification of Vibrio harveyi, Vibrio ichthyoenteri and Photobacterium damselae isolated from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Korea by multiplex PCR developed using the rpoB gene. J Fish Sci 80, 333-339. https://dx.doi.org/10.1007/s12562-014-0702-5. 

  16. Lee SY and Kim YH. 2013. Incidence of Erythromycin Resistance Genes, erm(B) and mef(A), in Streptococci Isolated from Dental Plaques of Koreans. Int J Oral Biol 38, 61-65. https://dx.doi.org/10.11620/IJOB.2013.38.2.061. 

  17. Lee DW, Jun LJ and Jeong JB. 2016. Distribution of Tetracycline Resistance Genes in Pathogenic Bacteria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Jeju in 2016. JFMSE 29, 834-846. https://dx.doi.org/10.13000/JFMSE.2017.29.3.834. 

  18. Lee HI, Jung JH, Lee SJ and Choi SS. 2010a. Analysis of Genotype and Phenotype of Erythromycin Resistance in Enterococci spp. Isolated from Raw Milk Samples. Kor J Microbiol 46, 148-151. 

  19. Lee HY, Lim JE, Kim SC, Kim KR, Lee SS, Kwon OK, Yang JE and Ok YS. 2010b. Environmental Monitoring of Selected Veterinary Antibiotics in Soils, Sediments and Water Adjacent to a Poultry Manure Composting Facility in Gangwon Province, Korea. J Korean Soc Environ Eng 32, 278-286. 

  20. Luna VA, Coates P, Eady EA, Cove JH, Nguyen TH and Roberts MC. 1999. A variety of Gram-positive bacteria carry mobile mef genes. J Antimicro Chemother 44, 19-25. https://dx.doi.org/10.1093/jac/44.1.19. 

  21. Nonaka L, Maruyama F, Suzuki S and Masuda M. 2015. Novel macrolide-resistance genes, mef (C) and mph (G), carried by plasmids from Vibrio and Photobacterium isolated from sediment and seawater of a coastal aquaculture site. Appl Microbiol 61, 1-6.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11/lam.12414. 

  22. Portillo A, Ruiz-Larrea F, Zarazaga M, Alonso A, Martinez JL and Torres C. 2000. Macrolide Resistance Genes in Enterococcus spp.. Antimicrob Agents Chemother 44, 967-971. https://dx.doi.org/10.1128/AAC.44.4. 

  23. Sakai T, Iida T, Osatomi K and Kanai K. 2007. Detection of type 1 fimbrial genes in fish pathogenic and non-pathogenic Edwardsiella tarda strains by PCR. Fish Pathol 42, 115-117. https://dx.doi.org/ 10.3147/jsfp.42.115. 

  24. Sapkota AR, Ojo KK, Roberts MC and Schwab KJ. 2006. Antibiotic resistance genes in multidrug-resistant Enterococcus spp. And Streptococcus spp. Recovered from the indoor air of a large-scale swine-feeding operation. Lett Appl Microbiol 43, 534-540. https://dx.doi.org/10.1111/j.1472-765X.2006.01996.x. 

  25. Sung CH, Chon JW, Kwak HS, Kim HS and Seo KH. 2013. Prevalenc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nterococcus faecalis and Enterococcus faecium Isolated from Beef, Pork, Chicken and Sashimi. Korean J Food Sci 33, 133-138. https://dx.doi.org/ 10.5851/kosfa.2013.33.1.133. 

  26. Thompson FL, Iida T and Swings J. 2004. Biodiversity of Vibrios. Microbiol Mol Biol Rev 68, 403-431. https://dx.doi.org/10.1128/MMBR.68.3. 

  27. Woo SH, Kim HJ, Lee JS, Kim JW and Park SI. 2006. Pathogenicity and classification of streptococci isolated from cultured marine fishes. J Fish Pathol 19, 17-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