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중문화 흐름 속의 청소년문화
Youth Culture in the Stream of Popular Cultur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4 no.3, 2018년, pp.105 - 111  

김천영 (강릉원주대학교 자치행정학과)

초록

본 연구는 관계적 접근으로 대중문화흐름 속의 청소년문화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중문화의 흐름속에서 청소년문화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청소년문화의 의미와 실천과제가 확인되었는데, 그것의 주요내용은 청소년문화가 가능성을 갖는 문화적 의미를 갖는다는 사실이다. 수동적인 문화나 수신자 문화, 소비자의 문화가 아니라 능동적인 문화와 발신자의 문화, 생산자의 문화적 성격을 갖는 문화라는 점이다. 아울러 대중문화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갖는 문화로서의 청소년문화의 실천과제는 인식적 실천과제와 제도적 실천과제 속에서 접근되어야 함이 발견되었다. 청소년문화의 인식적 실천의 중요성은 대중문화의 접근시각의 중요성으로 드러난다. 청소년문화가 배제적 관점 속에서 접근되는 것은 닫힌 청소년문화의 한계성을 가져오는 반면, 수렴적 관점 속에서 접근될 수 있어야 열린 청소년문화의 가능성이 수반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문화의 열린 가능성은 열린 관점에 의한 열린 문화의 개념 속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가질 것이다. 그것은 작은 협의의 문화개념이 아닌 큰 광의의 문화개념 속에서 열려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Youth Culture in the Stream of Popular Culture by 'The Relation-Approach'. For this,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were reviewed, through which the meaning and practical actions were identified as main finding of the fact that youth culture has cultural meaning with 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상의 문제인식에 근저 하여 대중문화의 흐름 속에서 청소년문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청소년문화가 능동성을 지니며 사회발전에 있어 새로운 창조적 역량을 담는 건강한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타진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문화를 대중문화의 흐름과 나아가 사회와의 관계에서 접근하여 청소년문화가 비생산적이거나 수동적 지위의 반응문화가 아니라 생산적 잠재력 을 갖는 동태성을 보여주며 능동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중문화의 흐름과 청소년문화의 관계는 일방적 관계가 아니라 상호작용적 관계로서 청소년문화는 대중문화의 유연적 흐름의 변화에 능동 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문화임을 발견하였다.
  • 본 연구는 이상의 문제인식에 근저 하여 대중문화의 흐름 속에서 청소년문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청소년문화가 능동성을 지니며 사회발전에 있어 새로운 창조적 역량을 담는 건강한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타진하고자 한다. 청소년문화의 비정상적 소비성에 초점을 두는 것에서 새로운 정상의 생산성에 초점을 두고 청소년문화가 갖는 잠재적인 역량을 파악하며 이를 위한 실천과제를 제시한다.
  • 청소년문화가 능동성을 지니며 사회발전에 있어 새로운 창조적 역량을 담는 건강한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타진하고자 한다. 청소년문화의 비정상적 소비성에 초점을 두는 것에서 새로운 정상의 생산성에 초점을 두고 청소년문화가 갖는 잠재적인 역량을 파악하며 이를 위한 실천과제를 제시한다. 연구의 접근방법은  기성세대문화와 분리적 성격의 청소년문화가 아니라 사회발전의 중요한 문화영역으로 존재하는 청소년문화로 인식하는 수렴적 시각에 입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문화가 대중문화의 흐름 속에서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청소년문화가 대중문화의 흐름 속에서 갖는 의미는 대중문화의 발전에 능동적인 참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이다. 대중문화의 발전이 사회발전의 동인이 된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청소년문화가 사회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문화의 시대의 도래는 문화의 역할을 무엇으로 바꾸었는가? 그동안 문화는 경제의 변경에서 선택적인 사항으로 인식되어왔으나, 이제 문화는 경제의 새로운 토대로서 등장한다. 문화와 경제의 관계는 토대와 상부구조의 관계로 문화가 경제의 수동적인 반영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점차 문화가 경제의 새로운 토대로 그 역할이 이동하고 있다. 문화는 이제 더이상 수동적인 그 무엇이 아니고 사회발전의 능동적인 동인으로 변모하고 있다.
문화의 시대의 도래는 어떤 것의 도래라고도 볼 수 있는가?  문화의 시대의 도래[1][2][3][4][5]는 문화의 중요성 인식의 도래로, 삶의 질서 변화의 도래다. 그동안 문화는 경제의 변경에서 선택적인 사항으로 인식되어왔으나, 이제 문화는 경제의 새로운 토대로서 등장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nderson, Kay et al. Handbook of Cultural Geography. London: Routledge, 2003. 

  2. Alexander, J.C. and Seidman, S.(eds). Culture and Society: Contemporary Deb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3. Adorno, Theodor. The Culture Industry. London: Routledge, 1991. 

  4. Bell, David et. als., Cyberculture: The Key Concepts, New York: Routledge. 

  5. Bell, David. An Introduction to Cybercultures. London: Routledge, 2001. 

  6. Kim Cheon-Young. "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Planning Model,"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4, No. 1, pp. 75-84, 2018. 

  7. Fog, Agne. Cultural Selection.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9. 

  8. Kendall, Gavin and Gary Wickham. Understanding Culture: cultural studies, order, ordering. London: Sage Publications, 2001. 

  9. Jameson, Fredric.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New Left Review,146, 1984. 

  10. Kim Cheon-Young."Searching Managerial Approach in Cultural Studies," Korean Local Government Review Vol. 14 No. 1 Spring, pp. 227-255, 2002. 

  11. Kim Cheon-Young."Searching National-Local Cultural Relations," Korean Local Government Review Vol. 16 No. 1 Spring, pp. 113-140,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