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조릿대의 사초생산성과 사료가치평가를 진행하여 조릿대의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현재 한라산에서 발생하고 있는 조릿대로 인한 식물종 다양성 감소문제를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조릿대의 사초생산성은 실험결과 5월과 6월기간에 비교적 우수한 재생력을 보였으나, 예취가 반복 될수록 재생능력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릿대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조단백질은 가을철 함량보다 봄철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6월에서 $8.64{\pm}0.20%$로 다른 기간에 비해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낮은 NDF, ADF의 함량은 6월에서 각각 $77.90{\pm}0.25%$, $42.33{\pm}0.49%$로 나타나 섬유소 함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조릿대는 NDF와 ADF의 함량은 높으나, 볏짚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가축의 특성에 맞추어 급여한다면 이용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조릿대를 사료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섬유소 분해능력이 좋은 흑염소 같은 가축 또는, 조릿대에 대한 기호성이 우수하고, 소화율이 비교적 우수한 말에게 급여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조릿대의 사료화를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축종을 대상으로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 of Sasa borealis (S. borealis) in Jeju Island in order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Sasa borealis and to help mitigate the problem of reduced plant species diversity caused by S. borealis in Hanlla Mountain. To investigat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주조릿대의 사초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대한 평가를 통해 국내 조사료 자급도를 개선시킴과 동시에 최근 한라산에서 발생하고 있는 조릿대 번식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와 식물 종 다양성 감소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릿대는 어떤 작물인가? 조릿대는(Sasa borealis) 온대성 작물로 근경번식이 왕성하여 나지가 된 산지에 침입하거나 경사가 완만한 화산지형에 큰 군락을 형성하며, 관목림의 주요 하층식생으로 자라는 등 그 분포 지역이 넓다(Oshima, 1960). 일본 북해도 지역의 경우 S.
일본 북해도 지역에서의 조릿대류는 어떻게 인식되는가? kurilensis와 S. palmata가 산림면적의 89%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들 조릿대류는 주변 식생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위해 잡초로 간주하고 있다(Saito, 2002; Li et al., 1992).
제주도에서 조릿대 확장의 원인으로 추정하는것은? 우리나라 제주도 한라산의 산림지역에 주요 하층 식생으로 자리잡고 있는 제주조릿대도 다른 식물 종의 발달을 억제하여 종 다양성을 저하시키고 있으며(Kim,2002; Kim and Ko, 2003) 조릿대 확장으로 인해 털진달래, 시로미 등이 피압되어 한라산 내의 식생이 단순화되고 있다(Kim, 2009). 주요 원인으로는 기후변화와 1975년 이후 문화재 보호법 제정에 의해 한라산에서의 가축방목을 금지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Lee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n. Association of Offic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irginia. 

  2. Chae, H.S., Kim., N.Y., Woo, J.H., Back, K.S., Lee, W.S., Kim, S.H., Hwang, K.J., Park, S.H. and Park, N.G. 2015. Changes of nutritive value and productivity according to stockpiled period in mixed Orchardgrass-Tall Fescue pasture of Jeju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5:93-98. 

  3. Chenost, M. and Martin-Rosset, W. 1985. Comparison between species (sheep, horses, cattle) on intake and digestibility of fresh herbage. Ann. Zootech. 34:291-312. 

  4. Choi, S.H., Kim, S.W., Park, B.Y., Sang, B.D., Kim, Y.K., Myung, J.H. and Hur, S.N. 2005. Effects of dietary crude protein level on growth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goats.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45:783-788. 

  5. Devendra, C. and Burns, M. 1983. Goat production in the tropics. Commonwealth Agricultural Bureaux. 

  6. Georing, H.K. and Van Soest, P.J. 1970. Forage fiber analysis, USDA Agronomic Handbook No. 379, Washington D.C. 

  7. Hee, C.J., Sang, H.L., Gi, Y.K., Gi, J.C., Nam, G.P. and Ki, W.L. 2013.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new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cultivar, "Onnur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3:6-9. 

  8. Hofmann, R.R. 1988. Morphophysiological evolutionary adaptations of the ruminant digestive system. In: Dobson, A(ed). Comparative aspects of physiology of digestion in ruminants. Cornell Univ. Press. pp. 1-20. 

  9. Huston, J.E., Rector, B.S., Ellis, W.C. and Allen, M.L. 1986. Dynamics of digestion in cattle, sheep, goats and deer. Journal of Animal Science. 62:208-215. 

  10. Kawai, M., Inaba, H., Kondo, S., Hata, H. and Okubo, M. 2000. Effectof summer and winter woodland grazing of Hokkaido native horses on growing of Sasa nipponica. J. Hokkaido. Grassl. Sci. 24:23-27. 

  11. Kim, H.C. 2002. Growth Characteristics of Jeju Sasa borealis in the Altitude at Halla Mountain. Hallasan Institute Research Report. 1:63-71. 

  12. Kim, H.C. 2009.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methods of Sasa quelpaertensis Nakai. Ph.D. thesis. Jeju. Korea. 

  13. Kim, H.C. and Ko, J.G. 2003. Variation of species diversity according to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Jeju Sasa borealis. Hallasan Institute Research Report. 2:97-109. 

  14. Lee, C.E., Kim, H.C., Whang, K.J., Park, N.G., Kim, N.Y. and Oh, W.Y. 2010. The evaluation of feed valu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asa quelpaertenisis Nakai by horse grazing in the woodland of Jej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0:151-158. 

  15. Miller, D.A. 1984. Forage fertilization. In forage crops. New York: McGraw-Hill, pp. 121-160. 

  16. Nakashizuka, T. and Numata, M. 1980. Regeneration process of climax beech forests II. Structure of a beech forest under the influece of grazing. Japanese Journal of Ecology. 32:473-482. 

  17. Ogawa,Y., Mitamura, T. Okamoto, K. and Teshima, M. 1986. Flora changes on Sasa nipponica grasslands used for grazing in successive and alternate winter seasons. Bull. Natl. Grassl. Res. Inst. 33:85-89. 

  18. Oshima, Y. 1960. Ecological studies of Sasa community. I. Productive structure of some of the Sasa communities in Japan. The Botanical Magazine, Tokyo. 74:208-209. 

  19. Park, H.S., Hwang, K.J., Park, N.G., Choi, G.J., Lee, J.G., Cheon, D.W. and Ko, M.S. 2008. Comparison of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 of winter forage crops in Jej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8:215-220. 

  20. Robinson, P.H., Campbell Mathews, M. and Fadel, J.G. 1999. Influence of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on in vitro digestion of neutral detergent fibre at 48 h, and comparison to 48 h in sacco neutral detergent fibre digestion.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80:257-2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