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내 재가암환자관리를 받은 환자와 보호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 만족도와 요구
Satisfaction and Needs of Cancer Patients and Caregivers under Home-based Cancer Patients Management in Jeju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8, 2018년, pp.276 - 282  

김현주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가정의학교실) ,  허정식 (제주대학교병원 의학전문대학원 비뇨기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일개 지역암센터에서 제공되는 재가암환자관리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요구에 대한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였다. 재가암환자관리에 등록된 된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2015년 3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자체적으로 개발된 설문지를 통해 면대면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환자 59명과 보호자 41명, 총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암종에서는 유방암이 주된 암이었으며 재가암환자의 방문회수에 대하여 51명(86%)의 환자와 36명(85%)의 환자 보호자가 만족하였다. 서비스 신청경로는 환자의 경우 암센터홍보지가 22명(37.29%), 보호자의 경우에는 주변사람의 권유가 11명(26.19%)으로 가장 많았다. 환자에게 직접 제공되는 처치를 제외하고 가장 선호하는 것은 심리상담이었으며, 나들이와 암종별 교육의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5점 척도에서 $4.14{\pm}1.21$로 비교적 높게 나왔으며 환자가 보호자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었다($4.29{\pm}1.11$, $3.93{\pm}1.31$, p=0.141). 자아존중감은 보호자가 환자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향후 재가암환자와 보호자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심리상담과 환자의 경제적인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home-based cancer management programs through a survey of satisfaction and needs of the program provided by a regional cancer center. From March 2015 to October 2015, we conducted face to face surveys of patients and caregivers enrolled in home-b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들어 재가암과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가정호스피스의 실무자나 이용자 특성 및 서비스 제공 실태에 대한 재가암 환자 중심으로 한 연구가 많으나 환자와 보호자의 의료돌봄 및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조사는 많지 않다[15-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가암환자 돌봄을 받고 있는 재가암환자와 가족에 대한 프로그램 선호도와 기대 등을 조사하여 현재 우리나라 재가암돌봄 및 제공 프로그램의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의 이상적인 임종장소는 자택이 가장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9%, 요양원이 6.5% 순으로 보고되었고 자택을 선택한 이유로 사랑하는 가족들과 같이 임종을 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높게 보고하였다[4]. 영국과 미국 캐나다의 경우, 집에서 생을 마무리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으나 일본, 독일, 포르투갈은 의료기관 즉 병원에서 삶을 마감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5-8].
죽음을 맞이하는 장소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3%는 병원이 아닌 곳에서 임종을 맞이한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점차 병원에서 임종을 맞는 비율이 증가될 것으로 예측하였다[9]. 이러한 차이는 현재 앓고 있는 질환의 정도와 개인적인 요소 즉 교육정도, 사회적 지위 등과 사회적인 뒷받침, 즉 의료정책, 의료돌봄의 정도와 결혼, 동거 상태 등의 환경적인 요소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10-11].
대부분의 사람들이 바라는 바람직한 임종의 모습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바라는 바람직한 임종의 모습은 오랫동안 살아온 정든 집에서 가족들의 보살핌을 받으며 지내다가 인간적인 존엄을 유지하며 죽는 것이다. 2015년 암환자 352명의 임종에 대한 연구는 가정에서 가족과 같이 임종과정을 겪은 경우가 병원에서 사망한 환자보다는 평안하고 슬픔이 덜하다고 보고하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 Gomes, N. Calanzani, J. Koffman, I. J. Higginson. "Is dying in hospital better home in curable cancer and what factors influence this? A population-based study," BMC Medicine, vol.16, no.3, pp. 279, Sep. 2015. DOI: https://doi.org/10.1186/s12916-015-0466-5 

  2. N. R. Park, Y. H. Yun, S. Shin, E. K. Jeong. "Medical expenses during the last 6 months of life in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2, no.2, pp.109-113, Dec. 1999. 

  3. S. H. Long, J. O. Gibbs, J. P. Crozier, D. I. Cooper Jr, J. F. Newman Jr, A. M. Larsen. "Medical expenditur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during the last year of life. Inquiry," Inquiry, vol.21, no.4, pp. 315-327, Winter, 1984. 

  4. Y. H. Yun, Y. S. Rhee, S. Y. Nam, Y. M. Chae, D. S. Heo, S. W. Lee, Y. S. Hong, S. Y. Kim, K. S. Lee. "Public attitudes toward dying with dignity and hospic e.palliative car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7, no.1, pp.17-28, Jun. 2004. 

  5. B. Gomes, I. J. Higginson, N. Calanzani, J. Cohen, L. Deliens, B. A. Daveson, D. Bechinger-English, C. Bausewein, P. L. Ferreira, F. Toscani, A. Menaca, M. Gysels, L. Ceulemans, S. T. Simon, H. R. Pasman, G. Albers, S. Hall, F. E. Murtagh, D. F. Haugen, J. Downing, J. Koffman, F. Pettenati, S. Finetti, B. Antunes, R. Harding; PRISMA. "Preferences for place of death if faced with advanced cancer: a population survey in England, Flanders, Germany, Italy, The Netherlands, Portugal and Spain," Annals Oncology, vol.23, no.8, pp.2006-2015, Aug. 2012. DOI: https://doi.org/10.1093/annonc/mdr602 

  6. J. Flory, Y. X. Yinong, I. Gurol, N. Levinsky, A. Ash, E. Emanuel. "Place of death: US trends since 1980," Health Affairs, vol.23, no.3, pp.194-200, May, 2004. 

  7. D. M. Wilson, C. D. Truman, R. Thomas, R. Fainsinger, K. Kovacs-Burns, K. Froggatt, C. Justice. "The rapidly changing location of death in Canada, 1994-2004,"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8, no.68, pp.1752-1758, May, 2009. DOI: https://doi.org/10.1186/s12916-015-0466-5 

  8. L. Yang, N. Sakamoto, E. Marui. "A study of home deaths in Japan from 1951 to 2002," BMC Palliative Care, vol.5, no.1, pp.2, Mar. 2006. DOI: https://doi.org/10.1186/1472-684X-5-2 

  9. F. Burge, B. Lawson, G. Johnston. "Trend in the place of death of cancer patients,1992-1997,"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vol.168, no.3, pp.265-270, Feb. 2003. 

  10. B. Gomes, I. J. Higginson. "Factors influencing death at home in terminally ill patients with cancer: systematic review," BMJ, vol.332, no.7540, pp.515-521, Mar. 2006. DOI: https://doi.org/10.1136/bmj.38740.614954.55 

  11. J. Cohen, D. Houttekier, B. Onwuteaka-Philipsen, G. Miccinesi, J. Addington-Hall, S. Kaasa, J. Bilsen, L. Deliens. "Which patients with cancer die at home? A study of six European countries using death certificate data,"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28, no.13, pp.267-273, May, 2010. DOI: https://doi.org/10.1200/JCO.2009.23.2850 

  12. J. S. Huh. "The overview of hospice care as urologist," The Korean Journal of Urological Oncology, vol.15, no.1, pp. 16-20, Apr. 2017. DOI: https://doi.org/10.22465/kjuo.2017.15.1.16 

  13. C. G. Kim. "Hospice & palliatuve care policy in Korea,"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20 no.1, pp8-17, Mar. 2017. 

  14. J. S. Huh, H. J. Kim. "Current statu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management in Jeju,"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3, no.2, pp76-80, Jun. 2010. 

  15. H. S. Kim, K. J. June, Y. S. Son. "Home-based hospice care provided by free-standing hospice center: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service condition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9, no.2, pp.145-153, Jun. 2016. DOI: https://doi.org/10.14475/kjhpc.2016.19.2.145 

  16. S. H. Kang, H. Y. Lee, J. S. Kim, J. K. Lee, H. K. Jung. "Home-based hospice-palliative care service administered at university-based family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vol.27, no.11, pp.889-894, Nov. 2006. 

  17. B. H. Kim, H. J. Kang. "Experience of home-based hospice care of terminal-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7, no.4, pp.223-231, Dec. 2014. DOI: https://doi.org/10.14475/kjhpc.2014.17.4.223 

  18. K. K. Park, S. D. Kim, Y. J. Kim, H. J. Kim, J. S. Huh. "Trends in urogenital cancer incidence in Jeju(1992-2012)," The Korean Journal of Urological Oncology, vol.14, no.1, pp.27-31, Apr. 2016. DOI: https://doi.org/10.14475/kjhpc.2017.20.1.08 

  19. C. G. Kim. "Hospice & palliative care policy in Korea,"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20, no.1, pp 8-17, Mar. 2017. DOI: https://doi.org/10.14475/kjhpc.2017.20.1.8 

  20. B. H. Kim, H. O. Park. "Comparison in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between hospital and home hospic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4, no.3, pp292-301, Sep. 2013.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3.292 

  21. S. O. Choi, S. N. Kim.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symptoms in home-based hospice palliative care patients registered at local public health center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8, no.4, pp.329-334, Dec. 2015. DOI: https://doi.org/10.14475/kjhpc.2015.18.4.329 

  22. K. H. Kim, Y. S. Shin. "The effect of caregiver re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9, no.6, pp647-656, Dec. 2017. DOI: https://doi.org/10.7475/kjan.2017.29.6.6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