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지감귤 단기 저장가능성에 대한 경제적 효과 검토
An Economic Review on the Short-run Storability of Field Citrus in Jeju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8, 2018년, pp.392 - 402  

안경아 (제주연구원 경제산업연구부) ,  문태완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농업경제학과) ,  김배성 (제주대학교 산업응용경제학과.친환경농업연구소.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지역에서 대부분 생산되는 감귤류는 재배방식에 따라 노지에서 재배되는 온주감귤, 시설하우스에서 재배되는 온주감귤, 노지이지만 비가림 시설을 해서 재배되는 온주감귤 그리고 노지 온주감귤 보다 재배 시기가 늦고 품종도 다른 한라봉, 천혜향, 진지향 등 만감류로 구분된다. 만감류는 온주감귤 보다 맛 등 품질이 좋아 소비량이 꾸준히 증대되어 '90년 이후 최근까지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고, 비가림 감귤 재배도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더불어 당도개선 등 품질향상 효과가 있어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반해 2010년 이후 노지 감귤의 재배면적은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이 연구는 감귤류 중 생산비중이 높지만 지속해서 재배면적이 줄고 있는 노지 감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특히 수급 안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는 저장부문의 수급안정 기여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노지감귤 중장기 수급모형 추정 및 전망을 위해 노지감귤 개별 품목에 대한 부분균형모형을 구축하고 품목별 모형내 개별방정식은 계량경제학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생산량 저장 시나리오 분석 결과, 재배면적은 2027년 기준 감귤 생산량을 5% 저장했을 때 14.49ha, 10%인 경우 14.97ha, 15%인 경우 15.50ha에 이를 것으로 분석된다. 이 연구는 현재 산지에서 저장에 초점을 두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저장가능성에 대한 종합적인 기술적 및 경제적인 검토를 하고 있다는 데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itrus fruits can be classified as field citrus, greenhouse citrus, citrus produced by rain proof cultivation and late-harvested citrus such as Hallabong, Chunhaehyang, and Jinjihyang according to cultivation method or variety in Jeju province of Korea. The consumption of late-harvested citrus has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감귤 저장상황은 저장 2개월 후부터 약 30~40% 정도의 높은 부패율을 보이는 등장기간 저장이 어려워 수확기 부득이 홍수출하를 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른 가격하락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연구는 제주지역의 감귤 저장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기존에 개발된 저장 관련 기술을 검토하여 수급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7, 9].
  • 최근 노지 및 하우스 감귤의 지속적인 재배면적 감소에도 불구하고 단수증가에 따른 생산량의 증가로 인해 가격이 떨어지면서 면적축소, 청귤(미숙감귤) 유통, 수출확대, 가공확대 등 다양한 대안들이 논의되고 있으나, 감귤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만한 혁신적인 방안이 뚜렷하지 않아 농가들의 어려움과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감귤류 중 생산비중이 높지만, 최근 재배면적과 소득감소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지 감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특히 수급 안정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저장부문의 수급 안정 기여가능성 탐색에 초점을 두고 있다[3, 9].

가설 설정

  • 노지감귤 중장기 수급전망 및 분석을 위해 주요 거시경제 변수가 이용되었다. 먼저 총인구는 통계청의 장래 추계인구를 사용하였고, 경제성장률은 한국은행 전망치(2015년 10월)을 기초로 2015~2025년 동안 연평균 2.8%가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환율은 2015년 1~12월 11일까지 평균수준이 이후에도 유지되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7년 이후 연평균 1.3%수준이 지속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귤류는 재배 방식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제주지역에서 대부분 생산되는 감귤류는 통상 재배방식에 따라 노지에서 재배되는 온주감귤, 시설하우스에서 재배되는 온주감귤, 노지이지만 비가림 시설을 해서 재배되는 온주감귤 그리고 노지 온주감귤 보다 재배 시기가 늦고 품종도 다른 한라봉, 천혜향, 진지향 등 만감류로 구분된다. 만감류는 온주감귤 보다 맛 등 품질이 좋아 소비량이 꾸준히 증대되어 ’90년 이후 최근까지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고, 비가림 감귤 재배도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더불어 당도개선 등 품질향상 효과가 있어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감귤의 부패를 일으키는 균은 무엇인가? 감귤의 부패를 일으키는 것은 녹색곰팡이병과 청색곰팡이병이며 이를 방제하기 위해 저장 전 처리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곰팡이균을 방제하기 위해서 기존에 감귤을 왁스로 코팅하는 대신 농약, 미생물제재, 오존 등 살균효과가 있는 물질을 활용할 수 있다.
감귤에 대해 LEDP필름으로 MA(Modified Atmosphere)저장을 했을 때 장단점은? CA 저장과 저온저장은 시설비가 비싸고 장기간 저장에 필요하지만 20일 이내의 유통기간 동안 신선도를 유지하고 싶다면 간단히 30마이크로미터의 LEDP필름으로 MA(Modified Atmosphere) 저장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연구가 있다[5]. 이 연구에 의하면, 필름이 증산에 의한 중량 감소를 억제하여 외관상 품질을 유지하여 상온에서 저온저장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장기간 저장 시에는 필름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오히려 높아져서 감귤의 호흡 억제 효과가 없고 호흡량이 같거나 오히려 다소 증가하여 부패율이 오히려 높아졌음을 지적하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H. G. Kim, S. C. Min, D. H. Oh, J. J. Koo, K. B. Song, "Combined Treatment of Chlorine Dioxide Gas, Mild Heat, and Fumaric Acid on Inactiv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Quality of Citrus unshiu Marc. during Stor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45, No.8, pp.1233-1238. 2016. DOI: https://dx.doi.org/10.3746/jkfn.2016.45.8.1233 

  2. H. H. Lee, S. I. Hong, S. M. Son, D. M. Kim, "Effect of On-site Postharvest Hot Water Treatment on Storage Quality of Commercial Greenhouse Satsuma Mandari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43, No.5, pp.577-582, 2011. DOI: https://dx.doi.org/10.9721/KJFST.2011.43.5.577 

  3. J. W. Hyun, S. C. Lee, Y. B. Ihm, D. H. Kim, S. W. Ko, K. S. Kim, "Protective Effect of Iminoctadine tris(albesilate) and Kresoxim-methyl Fungicides to Citrus Postharvest Diseases caused by Penicillium spp.",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ol.5, No.2, pp.37-44, June, 2001. 

  4. J. S. Koh, Y. T. Yang, S. C. Song, S. H. Kim, J. Y. Kim, "Cold Storage Characteristics of Early Variety of Citrus unshiu Produced in Cheju with Various Treatments",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Vol.40, No.2, pp.117-122, 1997. 

  5. J. H. Lee, M. W. Seo, H. G. Kim,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agonistic Endophytic Bacterium Bacillus velezensis CB3 the Control of Citrus Green Mold Pathogen Penicillium digitatum",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ol.40, No.2, pp.118-123, 2012. DOI: https://dx.doi.org/10.4489/KJM.2012.40.2.118 

  6. K. J. Park, H. J. An, S. S. Kim, Y. H. Choi, "Effect of Citrus Essential Oils for Postharvest Decay Control of Satsuma Mandarine (Citrus unshiu Marc.) during Storage", Horticulture Abstract,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pp.153-154, May 2016. 

  7. S. W. Park, J. R. Lee, D. Y. Moon, "Effect of ozone treatment on storability and quality of mandarine orang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ol.17, No.2, pp.240-240, April 1999. UCI: http://uci.or.kr/I410-ECN-0102-2009-520-002542886 

  8. Y. J. Yang, "Postharvest Quality of Satsuma Mandarin Fruit Affected by Controlled Atomspher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ol.19, No.2, pp.145-148, April 2001. 

  9. B. S. Kim, S. B. Ko, T. W. Moon, M. S. Kim, A Review on the Structure of Processing, Storage, and Marketing in Jeju Citrus Industry, Research Repor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p.41-50. 2017(In the course of publication). 

  10. J. S. Koh, Development of Citrus Storage Technolog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01. 

  11. NACF,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and Processing of Jeju Citrus,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