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적 발목관절 불안정성의 등속성 근력과 균형 및 보행 중에 근활성도와 발바닥압의 평가
Evaluation of Muscle Activity and Foot Pressure during Gait, and Isokinetic Strength and Balance in Person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3 no.3, 2018년, pp.27 - 37  

이선아 (단국대학교 대학원 운동의과학과) ,  김아람 (남서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유경태 (남서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호성 (단국대학교 대학원 운동의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evaluate muscle activity and foot pressure during gait, and isokinetic strength and balance in person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I). METHODS: Nine healthy subjects (CON, n=9) without FAI and 11 patients (FAI, n=11) with FAI parti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이 연구에서는 FAI의 등속성 근력과 균형 및 보행 중에 근활성도 및 발바닥압의 평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적불안정성 증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CAI는 기능적불안정성(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I)과 기계적불안정성(mechanical ankle instability; MAI)으로 분류된다. FAI는 발목이 삔 후에 충분하지 못한 재활로 인해 발목관절 주위를 지지하고 있는 근육, 인대 및 힘줄이 이전의 정상상태로 회복하지 못한 결과, 근력의 약화, 균형과 협응 능력의 저하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이러한 증상들을 원인으로 발목관절의 불안정감이나 반복적인 손상이 주관적인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고 보고하였다(Gribble 등, 2014). 반면에, MAI는 방사선학적 또는 임상학적 평가로 측정된 정상범위 이상의 관절 운동 또는 앞목말종아리인대, 뒤목말종아리인대 및 발꿈치종아리인대와 같은 인대의 이완(ligament laxity) 및 파열(ligament rupture)등의 객관적인 형태를 나타내며(Leardini 등, 2014), 의료 현장에서는 MAI의 객관적 평가방법으로 안쪽번짐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stress X-ray)를 주로 이용한다고 보고하였다(Lim et al.
발목관절의 운동범위의 특징은 무엇인가? 발목관절은 종아리뼈(tibia)와 목말뼈(talus)로 구성되어 있는 경첩관절이면서(Leardini 등, 2014), 목말뼈를 중심으로 관절을 구성하고 있는 뼈의 배열 때문에 높은 삠(strain)의 비율을 갖고 있으며(Omar 등, 2016), 급성 손상(acute injury)이 빈번하게 발생한다고 하였다(Golanó 등, 2010). 발목관절의 운동범위는 종아리뼈의 가쪽 복사뼈(lateral mallolus)가 정강이뼈(fibula)의 안쪽 복사뼈(medail malleolus)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가쪽번짐보다 안쪽번짐의 운동범위가 더욱 커지게 되고(Leardini 등, 2014), 이러한 복사뼈의 구조적 특징 때문에 발목관절의 인대 손상은 주로 발목관절의 움직임 중 안쪽번짐에서 손상을 입게 된다. 따라서 앞목말종아리인대(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발꿈치종아리인대(calcaneofibular ligament) 및 뒤목말종아리인대(posterior talofibular ligament)와 같은 가쪽인대의 손상이 주로 발생한다고 하였다(Omar 등, 2016).
발목관절의 특징은 무엇인가? 발목관절은 종아리뼈(tibia)와 목말뼈(talus)로 구성되어 있는 경첩관절이면서(Leardini 등, 2014), 목말뼈를 중심으로 관절을 구성하고 있는 뼈의 배열 때문에 높은 삠(strain)의 비율을 갖고 있으며(Omar 등, 2016), 급성 손상(acute injury)이 빈번하게 발생한다고 하였다(Golanó 등, 2010). 발목관절의 운동범위는 종아리뼈의 가쪽 복사뼈(lateral mallolus)가 정강이뼈(fibula)의 안쪽 복사뼈(medail malleolus)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가쪽번짐보다 안쪽번짐의 운동범위가 더욱 커지게 되고(Leardini 등, 2014), 이러한 복사뼈의 구조적 특징 때문에 발목관절의 인대 손상은 주로 발목관절의 움직임 중 안쪽번짐에서 손상을 입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vancini C, Oliveira, Luciano, et al. Variation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amplitude of surface electromyograms are unlikely explained by changes in the length of medial gastrocnemius fibres with knee joint angle. PLoS One. 2015;10(5):e0126888. 

  2. Bell DR, Guskiewicz KM, Clark MA,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balance error scoring system. Sports Health. 2011;3(3):287-95. 

  3. Bowker S, Terada M, Abbey C, et al. Neural excitability and Joint laxity in chronic ankle instability, coper, and control groups. J Athl Train. 2016;51(4):336-43. 

  4. Brendan J, Kenneth L Cameron, et al.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acute and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in athletic patient populations. World J Orthop. 2015:18;6(2):161-71. 

  5. Choi HJ, Nam KW. The effect of horseback riding simulator on static balance of cerebral palsy. J Korean Soc Phys Ther. 2014;26(4):269-73. 

  6. Chun SY, Choi OJ. The ankle joint position sense, strength and functional ability of the soccer player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009;18(3):1119-30. 

  7. Courtney A, Webster, Maury A, et al. Localized ankle fatigue development and fatigue perception in adults with or without chronic ankle instability. J Athl Train. 2016;51(6): 491-7. 

  8. Donahue M, Simon J, Docherty CL. Critical review of self-reported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measures. Foot Ankle Int. 2011;32(12):1140-6 

  9. Eniseler N, ?ahan C, Vurgun H, et al. Isokinetic strength responses to season-long training and competition in turkish elite soccer players. J Hum Kinet. 2012; 31:159-68. 

  10. Faul, F, Erdfelder E, Lang A. G, et al.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91. 

  11. Gigi R, Haim A, Luger E, et al. Deviations in gait metrics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a case control study. J Foot Ankle Res. 2015;8(1):1-8. 

  12. Golano P, Vega J, Peter A. J, et al. Anatomy of the ankle ligaments: a pictorial essay.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0;18(5):557-69. 

  13. Gong WT, Cho GY, Han JM. The analysis of static foot pressure on functional leg length inequality. J of the Kor Data Anal Soci. 2009;11(3):1245-56. 

  14. Gribble PA, Delahunt E, Bleakley C, et al. Selection criteria for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in controlled research: a position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ankle consortium. J Athl Train. 2014;49(1):121-7. 

  15. Hagen M, Lescher S, Gerhardt A, et al. Shank muscle strength training changes foot behaviour during a sudden ankle supination. PLoS One. 2015;10(6):e0130290. 

  16. Han J, Anso J, Waddington G, et al. The role of ankle proprioception for balance control in relation to sports performance and Injury. Biomed Res Int. 2015; 2015:842804. 

  17. Hermie J, Hermens, Roberto M, et al. European recommendations for surface electromyography, results of the SENIAM project. Roessingh Research and Development. 1999. 

  18. Hwang HS, Kim JH, Choi BR.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visual feedback training and unstable surface training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J Phys Ther Sci. 2017;29(10):1720-2. J Sport Health Sci. 2013;2(3):131-7. 

  19. Jadelis K, Miller ME, Ettinger WH, et al. Strength, balance, and the modifying effects of obesity and knee pain: results from the observational arthritis study in seniors (oasis). J Am Geriatr Soc. 2001;49(7):884-91. 

  20. John E, Kovaleski, Robert J, et al. Joint st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ankle complex in female athletes with histories of lateral ankle sprain, part II: clinical experience using astrometric measurement. J Athl Train. 2014; 49(2):198?203. 

  21. Kelli R, Snyder, Todd A, et al. Developing a framework for ankle function: a delphi study. J Athl Train. 2014;49(6):747?57. 

  22. Kim HS. The effect of the plantar pressure on dynamic balance by fatigue of leg in the subjec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1):734-42. 

  23. Kim YJ, Ji JG, Kim JT. The 20-year-old women’s shoes steps according to the type of comparative study on the low-pressure zones. J Kor of sports Bio. 2004;14(3): 83-98. 

  24. Ko SU, Eleanor M, Simonsick, et al. Ankle proprioception associated gait patterns in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BLSA. Med Sci Sports Exerc. 2016;48(11):2190-4. 

  25. Leardini A, Connor, Giannini S. Biomechanics of the natural, arthritic, and replaced human ankle joint. J Foot Ankle Res. 2014;7:8. 

  26. Lim JH, Choi SH, Seo SK, et al. The comparison of ultrasound images on trunk muscles according to gender. J Korean Soc Phys Med. 2015;10(2):73-80. 

  27. Lima BN, Lucareli PR, Gomes WA, et al. The acute effects of unilateral ankle plantar flexors static- stretching on postural sway and gastrocnemius muscle activity during single-leg balance tasks. J Sports Sci Med. 2014;13(3):564?70. 

  28. Ludwig O, Kelm J, Frohlich M. The influence of insoles with a peroneal pressure point on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ibialis anterior and peroneus longus during gait. J Foot Ankle Res. 2016;9(1):33. 

  29. Muehlbauer T, Roth R, Mueller S, et al. Intra and intersession reliability of balance measures during one-leg standing in young adults. J Strength Cond Res. 2011;25(8): 2228-34. 

  30. Omar A. Mohrej AI, Nader S, et al. Acute ankle sprain: conservative or surgical approach? EFORT Open Rev. 2016;1(2):34-44. 

  31. Park HJ, Sim SM, Choi JD, et al. The effects of isometric lower limb contraction on the activation of contralateral trunk muscles in healthy young adults in supine position. Phys Ther Korea. 2012;19(3):11-9. 

  32. Schmidt H, Sauer LD, Lee SY, et al. Increased in-shoe lateral plantar pressure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Foot Ankle Int. 2011;32(11):1075-80. 

  33. Shamaei K, Gregory S, Sawicki, et al. Estimation of quasi-stiffness and propulsive work of the human ankle in the stance phase of walking. PLoS One. 2013;8(3):e59935. 

  34. Sheehan DP, Katz L. The effects of a daily, 6-week exergaming curriculum on balance in fourth grade children. J Sport Health Sci. 2013;2(3):131-7. 

  35. Walls J, Ross KA, Fraser EJ, et al. Football injuries of the ankle: A review of injury mechanisms, diagnosis and management. World J Orthop. 2016;18(1):8-19. 

  36. Waterman BR, Owens BD, Davey S, et al. The epidemiology of ankle sprains in the united states. J Bone Joint Surg Am. 2010;92(13):2279-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